View : 661 Download: 0

결손가정 아동의 인성변화를 위한 발달놀이 프로그램의 실천연구

Title
결손가정 아동의 인성변화를 위한 발달놀이 프로그램의 실천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ffects of Developmental Play Program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the Defective Family Children
Authors
최명민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결손가정 아동인성변화발달놀이프로그램사회사업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명흥
Abstract
In growth of a man, school age is the socially important stage where children expand the range of living and learn useful informations and skills that could be used in social life. It is said that children in this stage should accomplish several developmental tasks. According to many scholors, self-esteem, motivation, and sociability are the main developmental tasks in school age. And we might think that to achieve these developmental tasks, the family life through affection, acceptance and permission from their friends, and proper success experiences are essencial factors. But many of the defective family (father-absence, mother-absence, or parents-absence) children experience parents' death, divorce, seperation, and lack interacts with father, mother, or both. So, they are likely to have relative inferiority or troubles in appropriate personality development. Also many of the defective families contact economical problems as well as emotional ones. Actually a lot of studies show that self-esteem, motivation, sociability of defective family children are lower than those of common family children. However the social welfare services in Korea to approach the emotional espects of defective family children are not enough to deal with them. So,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help the defective family children in order to enhance their self-esteem, motivation, and sociability by practicing developmental play which was made to assist the children who experience emotional, social, and cultural deficiency. Furthermore, developing and utilizing developmental play as a group work program for the defective family children through evaluation of this program by objective scales was also intended. Developmental play made by Brody is a kind of group play therapy which can satisfy the children's desire for affectiveness, and promote growth of children's personality through play with enjoyment and suitable bonding with adult- assistants (volunteers) or peer group members. Ten sessions - during ten weeks - of the developmental play which was proved effective for the emotinally disturbed children were carried out on five school age children from defective families associated with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The methods of experiment are as follows ; 35 questions for self-esteem, 21 for motivation, and 30 for sociability. These were given to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change of self-esteem, motivation, sociability after intervention and case study on the basis of the process by the attend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 First, developmental play helped the defective family children to enhance self-esteem. (14.51%) Second, developmental play helped the defective family children to enhance motivation. (12.95%) Third, developmental play helped the defective family children to enhance sociability. (12.00%) Forth, as a result of case study, in the pre-test most of the children received lower score than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and less than 50% of self-esteem and sociability except motivation. Really in an early stage, they were withdrawn or hyperactive. In the post-test, though one attendant was equeal to pre-test score in sociability, the rest of the participants enhanced in self-esteem, motivation, and sociability by getting positive support, experiencing accomplishment, and making new relationships with adults and peer group through developmental play. Therefore it was proved by this study that development play was a very of effective group work program for self-esteem, motivation, and sociability defective family children. And it could be suggested that we should develop various treatment and prevention program for defective family children, make follow-up study applicate developmental play on various subjects, and apply adult-assistants in many ways to practice developmental play as a group work program in the social work field.;인간의 발달과정 중 학령기 또는 아동 중기는 활동범위가 확장되고 생활에 필요한 지식 및 심성을 습득해야 하는 사회적으로 결정적인 시기이다. 이 시기의 아동들은 여러가지 발달과업을 성취해야 하는데 여러 학자들에 따르면 자아존중감, 성취동기, 그리고 사회성의 발달이 학령기 아동의 주요 성장과업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성장과업의 달성을 위해서는 애정을 바탕으로 한 안정적인 가정 생활과 또래들의 수용과 인정, 그리고 적절한 성공경험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런데 결손가정의 자녀는 부친의 사별, 이혼, 격리 등을 경험하고 한쪽 또는 양쪽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결여되기 때문에 상대적인 열등감을 지니거나 적절한 인성발달이 어려운 환경에 처하기가 쉽다. 또 결손가정은 정서적 문제 뿐 아니라 경제적 문제에도 접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 이들 아동의 자존감, 성취동기, 그리고 사회성이 일반 가정의 아동에 비해 약하다는 것이 여러 연구들에서 밝혀져 왔다. 그러나 현행 사회복지 서어비스는 이러한 결손가정 아동의 정서적 측면에 접근하는 구체적 프로그램의 운영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서적, 사회적, 문화적 결핍을 경험한 아동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발달놀이를 결손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측정하고, 결손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성취동기, 사회성 향상을 돕기 위한 집단 프로그램으로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발달놀이는 Brody에 의해 개발된 일종의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인데, 놀이를 통해 재미와 즐거움을 느끼면서 성인 조력자 및 집단 성원들과 적절한 관계를 경험함으로써, 아동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아동의 인정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동의 정서적 손상에 대한 치료와 성장에 효과가 입증된 발달놀이를 p지역 사회복지관에 연결되어 있는 결손가정 중 학령기 아동 5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 10주 10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또한 측정도구는 자아존중감을 묻는 척도 35문항, 성취동기를 묻는 척도 21문항, 사회성을 묻는 척도 30문항으로 구성하고 이를 프로그램의 사전-사후에 참여자들에게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의 수치는 퍼센트를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대상자들의 발달놀이 참여 과정 및 사전-사후 변화 경향을 해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놀이 실시 후 대상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14.51% 수준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어 발달놀이가 결손가정 아동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집단 프로그램임이 입증되었다. 둘째, 발달놀이 실시 사전-사후에 측정한 참여자의 성취동기가 12.95%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본 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아동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제시하였다. 셋째, 발달놀이를 통하여 대상 아동들의 사회성이 12.00% 유의 수준에서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이로써 발달놀이가 결손가정 아동들의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집단상담 프로그램임이 입증되었다. 넷째, 사례분석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사전 검사에서는 대부분의 아동들이 일반 아동들의 검사 결과보다 낮은 점수와, 성취동기를 제외한 자신감과 사회성에서 50% 이하를 나타났으며 실제로 자존감 없이 위축되어 있거나 과도한 행동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발달놀이를 통해 긍정적인 지지를 받고 성취감을 경험하며 성인 및 또래들과 새로운 관계들을 형성함으로써 사후 검사에서는 모든 아동들이 자존감과 성취동기 향상이 있었고 사회성에서도 한 아동만이 정체되었을 뿐 모두 증가를 보였다. 위의 연구를 통하여 결손가정 아동들을 위한 치료적이고 예방적인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 지속적인 효과 연구 그리고 발달놀이의 사회사업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대상 연구 및 성인 조력자의 응용 시도를 제언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