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교육이론의 언어에 관한 해석학적 고찰

Title
교육이론의 언어에 관한 해석학적 고찰
Other Titles
(A) HERMENEUTIC INVESTIGATION ABOUT THE LANGUAGE OF EDUCATIONAL THEORY
Authors
송수연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교육이론언어해석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세화
Abstract
Language is not mere means to communication of man's thought and knowledge. Language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world, and to reconstruct those understanding creatively. Therefore we can say that language itself provides both limits and possibilities of saying new things. In these days, most educational research and theories are based on Empirical scientism. The language of empirical scientific research and theories are based on Logical positivism, the language of science. Logical positivist proposed the principle of Verifiability as a criterion of meaningfulness, that means every statement can have a meaning only if it can be examined empirically. And they require artificial language to explain the world with certainty and objectivity. Artificial language implies the view of empirical scientists who believe all theories and research are unified and reduced to empirical science. Such a view of language shows us empirical scientist' understanding of language, they regard language as mechanical system to describe or refer the fact, not open and creative system to recreate human understandings and meaning. On the contrary in hermeneutics, hermeneutists says that the language is to reconstruct human understandings constantly through inter-subjectivity conversation and to constitute new understanding and meanings. According to hermeneutics language has an active roles to constitute new understandings and meaning and to reflect the basis of human thinking named Pre-understanding, and to construct new understnading and meanings. Hermeneutic approach criticized empirical scientific research, hermeneutists says that empirical scientific educational research becomes a closed discourse for their blind faith in empirical science and empirical and scientific method, as a result they restrict and fix one's thinking to be lost the power of critics and reflections, and to be far gradually from the essential reality of education. essential reality means real education phenomena. It means each participant has their own identity as an original subject and find his own meaning through the active relation to their situation. Therefore education is very active, humanistic and ethical process, not passive mechanical neutral- valuable process. To get over the problem of empirical scientific approach in educational research, hermeneutic approach regards the poetic conversation as a new language system of educational theory and research. The poetic conversation as a new language system of educational theory transcendence the empirical scientism to be open to one's eye toward the essential nature and reality of education and make it possible to reflect and criticize the education from the basis of it. It is possible that poetic conversation becomes an effective alternative regarding empirical scientific theory as power of reflection and open way to the real education. But people say there are one problem that the active and open manner of hermeneutics can't be the theory as a firm system such as scientific approach. Though we have to accept the limits, hermeneutic reflection and their open manner intervening or not in the real educational situation, have as greate influence on our educational practice, With a recognition that language can make human thinking open or closed, we have to adopt hermeneutic language as a language of our educational theory for an alternative way of empirical scientific educational theory.;언어는 인간의 사고를 제한하기도 하고 또 그 가능성을 열어 놓기도 한다. 언어는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수단이거나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대상의 이해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대상의 이해를 창조적으로 재구성하기 때문이다. 대상의 창조적 이해와 재구성이라는 언어의 적극적 기능을 인정하고 교육이론을 볼 때, 교육이론의 언어가 그 연구의 가능성을 제한하기도 하며 열어 놓기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현재 교육이론 연구는 대개 경험과학주의에 입각하여 조직되어왔다. 경험과학주의는 분석철학, 더 좁게 말하면 논리실증주의에 의해 제안된 과학적 언어를 그 이론의 언어로 채택하고 있다. 논리실증주의의 언어는, 그 의미의 기준으로서는 경험적으로 확인된 것만을 사실로 인정하려는 검증의 원칙을 채택하고 있고, 인공언어라는 언어 형식을 채택함으로서 세계에 대한 객관적이고도 완전한 설명을 추구하려고 하였다. 특히 인공언어라는 언어의 형식은, 모든 학문의 언어는 과학적 언어로 환원되고 통일될 수 있다는 보편적인 언어 체계에 대한 신념에 근거한 언어 형식이기 때문에 경험과학적 연구의 근간을 이룬다. 이러한 언어관은 언어를 단순히 사실을 기술하는 도구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의 기술(describe)이라는 기계적 과정 속에 인간의 사고가 고착하는 것을 간과하고 만다. 이에 반하여 해석학은 상호주관성을 그 의미 기준으로 받아들이고, 대화라는 형식을 그 이론의 언어로 선택하기 때문에, 인간의 사교가 언어의 고정된 틀 속에서 고착하는 것이 아니라, 선이해(先理解, Pre-understanding ; 독, Vorverstandnis)라는 인간 사고과정의 근거를 드러낼 수 있으며, 이로부터 새로운 이해를 구성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반성의 힘을 제공한다. 해석학에서는 경험과학주의적인 교육이론이 과학이라는 이름 하에 오히려 폐쇄적인 담론이 되어서, 단순히 문제에 대한 처방으로 일관하게 되었으며, 인간의 사고를 제한하고 고착화함으로서 비판과 반성의 힘을 상실한 채 점점 교육 본질로부터 벌어지고 있다고 비판한다. 교육의 본질이란 교육 참가자들에 교육의 주체로서 역동적인 상호 관계를 맺으며 그 안에서 스스로 의미 있는 것을 배우고 이해하는 실천적인 과정이라는데 있다. 해석학에서는 시적(詩的) 대화라는 언어 체제를 교육이론의 언어로 채택함으로서 경험과학주의를 극복하려고 시도하였다. 시적 대화라는 새로운 언어 형식은 경험과학주의의 경직된 폐쇄적 사고를 초월하여 교육이 근거한 배경에 대한 비판과 반성의 시각을 회복할 수 있게하여, 교육이론을 교육에 참여하는 주체라는 측면에서 새로이 구성하게 함으로서 항상 개방적으로 교육의 본질을 탐구할 수 있고, 교육 실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준다. 근거를 반성하게 하는 힘으로서, 또는 교육 본질에로의 길을 열어 준다는 점에서 해석학은 경험과학주의의 효과적인 대안으로 제안될 수 있지만, 해석학적 언어의 유동적인 개방의 태도는 경험과학에 있어서처럼 견고한 이론으로 구성되기에는 미흡한 면도 없지 않다. 그러나 해석학이 경험과학에 대한 적극적인 대안을 제시하지는 못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생각이 교육 속에 배제되고 있는가 아닌가는 실제의 교육 실천에 큰 영향을 미치리라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