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2 Download: 0

의사소통을 위한 상호교환 유형

Title
의사소통을 위한 상호교환 유형
Other Titles
(La) typologie des interactions dans les manuels de francais
Authors
이혜열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불어교육분야
Keywords
의사소통고등학교불어교과서상호교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정희
Abstract
한 외국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문법적인 지식(savoir)과 관련된 언어적인 능력(Compe'tence linguistique)을 습득하는 것 뿐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생활에서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활용지식(savoir-faire)인 의사소통능력(Compe'tence communicative)을 습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교육현실에서 이에 대한 계속적인 문제제기와 현실 적응으로 점진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의사소통능력은 무엇보다 상호교환으로 습득된다. 따라서 의사소통능력과 상호교환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후, 우리나라 불어교육에서 다루어지는 상호교환유형은 어떠한 것이 있고 그에 따르는 자리관계는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교재 분석을 하여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상호교환유형 분포에 있어 대화의 상호교환 유형이 모든 교과서에서 거의 일률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조사, 대담, 토론은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있다. 상호교환 유형 종류에 있어서는 한개의 상호교환 자체의 유형도 다양하지 못할뿐더러 다양하게 적용 가능한 두개 이상의 상호교환 유형도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었다. 둘째, 이러한 상호교환 유형의 종류와 분포에 따르는 자리관계는 상호교환 유형과의 관련성에 의해 마찬가지로 불균형적으로 사회적 동일성에 의한 자리관계에 집중되어 있었고, 실생활에서 활용의 가치가 높은 역할과 지위에 의한 자리관계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처럼,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들은 각각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상호교환 유형에 있어서, 단순성과 불균형을 드러낸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새로운 교재작성시에는 의사소통능력의 습득을 위해 학생들이 다양한 상호교환 유형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L'enseignement d'une langue etrangere a pour but de faire acquerir a nos eleves non seulement la competence linguistique, mais aussi la competence communicative. Il leur faut a la fois un savoir et un savoir-faire, Malgre les efforts des professeurs et le progres de la methodologie dans l'enseignement du francais, il nous reste beaucoup de problemes a resoudre dans la situation actuelle. Etant donne que la competence communicative s'acquiert par les interactions a plusieurs niveaux, nous avons d'abord observe des types d'interaction et leurs rapports de place, Ensuite nous avms analyse les manuels de francais que les lyceens utilisent en classe. D'ou nous avons obtenu les resultats suivants. Premierement, en ce qui concerne la distribution des types d'interaction, c'est la conversation qui est uniforme´ment la plus frequente dans tous les manuels, Par contre, l'enquete, l'entretien et la discussion n'apparaissent dans aucun manuel. Il n'y a pas de variete dans un type d'interaction. Et en plus, il est rare de trouver une suite d'interactions qu'on peut appliquer dans des situations diverses. Deuxiemement, les rapports de place suivant la distribution des types d'interaction sont tres desequllibres et centres sur ceux de l'identite sociale des interactants. Par consequent, nous trouvons peu de rapports de place effectues par le statut et le ro le qui sont pourtant frequents dans la vie reelle. En conclusion, nous pouvons dire que les manuels de lycee se caracterisent par la simplicite et par le desequilibre. Quand on redige un nouveau manuel dans les jours qui viennent, il faudrait prendrs en consideration les types d'interaction diversifies afin que nos eleves puissent acquerir la competence communicative du francais viva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불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