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제5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생물교과서의 개념도에 의한 분석

Title
제5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생물교과서의 개념도에 의한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High School Biology Text Book By Concept Map
Authors
金美玉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생물교육분야
Keywords
제5차 교육과정고등학교생물교과서개념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란
Abstract
본 연구는 1988년 제5차 교육과정이 개정된 이후 우리 나라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등학교 「생물」 검인정 교과서 7종 중 1종을 선택하여 「Ⅰ.세포」 단원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교과서에 나타나 있는 내용을 Novak의 방법에 의한 개념도로 작성하여 교과서가 제시하고 있는 개념 중 학습자가 획득하기에 적절치 못한 점과 학습자의 수준에서 개념을 올바르게 획득하기 위하여 보충되어야 할 개념을 찾아 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보다 개선된 개념도를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생물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교과서의 [Ⅰ. 세포] 대단원을 구성하고 있는 중단원 및 소단원의 항목간에는 연관성이 없거나 혹은 증복되는 개념을 갖는 단원명이 나열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관련이 있는 내용들이 중복되지 않도록 소단원 항목간의 재배열이 필요하다. 2. 교과서의 전개방식은 부분적으로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학생들의 개념형성에 있어 장애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개념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전개방식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3. 교과서에서 학생의 학습에 도움이 되고자 고딕체로 강조된 개념이 적절히 선택되어 있지 않다. 세포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적절한 학습요소들만이 강조되어야 하겠다. 4. 개념들간의 연결이 견고하도록 하기 위해 학습 내용과 관련이 있는 예를 실생활 주변에서 찾아 학습자의 경험과 관련을 맺도록 해야 한다. 5. 미시적인 분자수준의 개념은 추상적이어서 학습자의 개념형성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그림이나 사진 등의 수업 보조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추상적인 개념의 이해를 도와야 한다.;Analysis of biology textbook is important to make biology educational basement better than the present time. To research about textbook content analysis appears the results as emphasis level, topic emphasis level, number of map, number of diagram, and number of table contents. Concepts contained in textbook are not researched actively how harmonyful and narrative applicated. This research analyzed one of the seve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that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5th reformed curriculum.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set up right concep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o operation of more effective biological education. Novak's concept map was used to analyze the textbook. Concept map can play a role in teaching, learning, curriculum, and governance. For the learner, they help to make evident the key concepts or propositions to be learned, and also suggest linkages between the new knowledge and what he or she already knows. Concept maps' most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educating may be the ultimate improvement of evaluation techniques, especially as they are applied in research. As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Items in middle and small composed chapters in chapter [Ⅰ. Cell ] were arrayed unsystematically or they were overlapping. In order to make more effective understanding, it is necessary to rearrange items. 2. Higher concepts and lower concepts were not arrayed hierarchycal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way of it was hard to set up concept for students. unfolding concepts. 3. The concepts emphasized by bold letters were not chosen properly. Appropriate words should be chosen. 4. In order to make up sure concepts, the concept should be connected to the students' rear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5. It was hard to set up concepts on molecular content because it was so abstract. Therfor, many audio-visual materials should be aid to help set up concep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