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초ㆍ 중ㆍ고등학교 지구과학 실험내용 및 연계성에 관한 연구

Title
초ㆍ 중ㆍ고등학교 지구과학 실험내용 및 연계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CONNECTION ON EARTH SCIENCE EXPERIMENTS IN THE SCIENCE TEXTBOOK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Authors
趙善眞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지구과학교육분야
Keywords
초ㆍ 중ㆍ고등학교지구과학실험내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규한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numbers of Earth Science experiment and the teaching instruments used in experiments treated at the science textbook of primary, middle and huh school, which are reorganized by the 5th curriculum, and to find their connection. From the abov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1. The science textbook of primary school mostly consists of the experimental activities, the qualitative observations and the confirming experiments prevail in the lower grade, the propotion of experiments for deciples and regularities is resonably increased toward higher grade. 2. The numbers of experiment in five kinds of middle school text are from 22 to 45, showing of quite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subject of experiment. In more than three kinds of tent the same contents of experiment are included26.8% and 51.3% of the whole experiments are treated in only one kind of textbook. 3. The numbers from 20 to 36 of experiment in five kinds of high school text, indicate very different in item of experiment from one another. In more than three kinds of text the same contents of experiment are treated at the percentage of 18.3 and 14.2 in Science(Ⅰ) and in Earth Science, respectively. 4. Most teaching instruments in the Earth Science text, geological laboratory works needs. The teaching instruments commonly used 38.5%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and 53.8% in middle and high school only 28.2% of teaching instrument are needed commonly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5.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experiments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are deepened by stages from lower to higher in concept, showing the good connection in general. Based on above conclusions, some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1.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the same experiments be included in every kind of texts at 40~50% of the whole experiments, for each kind of tents has so different experimental contents that students are likely to be embarrassed in learning. 2. Oceanographic experiments should be added in texts to balance with other subjects of Earth science experiments. 3. The contents on environments are treated only biological area in primary, middle school, but treated at the area of Earth Science in high school. Therefore the balanced teaching on environments are impossible, so they should be collectively included at the area of Earth Sciences. 4. The researcher thinks that the contents of experiments should be connected oneanother more closely and deepened toward higher grade.;본 연구에서는 국민학교 자연(3,4,5,6학년)과 중학교 과학(1,2,3학년) 교과서 5종중에 포함되어 있는 지구과학분야 실험과 고등학교 과학(Ⅰ-하), 지구과학 교과서 각 5종내에 수록된 실험을 대상으로 실험의 내용, 실험에 사용되는 교구, 중복실험, 실험의 체계, 계열성, 연계성및 단절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국민학교 자연교과서에는 거의 대부분이 실험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구과학의 분야인 지질 및 지구물리, 기상, 해양, 천문등의 여러영역 중에 지질 및 지구물리 영역의 실험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고 저학년 실험의 대부분은 정성적 관찰 및 확인실험이나, 학년이 높아질수록 원리 및 규칙성의 발견을 이루는 실험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2.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포함된 실험내용 중 5종 교과서에 모두 포함되어 있는 실험내용은 전체실험의 3.7%에 불과하며, 3종이상의 교과서에 들어있는 실험내용이 26.8%를 차지하고, 1종의 교과서에만 들어있는 실험이 57.3%에 이른다. 3. 고등학교 과학(Ⅰ-하), 지구과학 교과서의 실험내용 중 5종 교과서에 모두 포함된 실험내용은 없으며, 전체실험 중 3종 이상의 교과서에만 들어있는 실험내용이 과학(Ⅰ-하)에서 18.3%, 지구과학에서 14.2% 차지한다. 또한 1종의 교과서에만 포함된 실험이 과학(Ⅰ-하)에서 65.3%, 지구과학에서 76.2%를 차지하고 있어 각 출판사별로 대부분의 실험내용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4. 지구과학 실험에 사용되는 교구는 국민학교 39종, 중학교 39종, 고등학교 51종이고, 국민학교와 중학교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교구는 38.5%이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교구는 53.8%이며, 국민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모두 사용되는 교구는 28.2%이다. 5. 지질 및 지구물리, 기상, 해양, 천문등 지구과학의 여러영역 증 해양분야의 내용은 국민학교에서 'Ⅳ-1. 강과 바다' 한 단원에만 나와있고, 중학교, 고등학교 과학(Ⅰ-하), 지구과학 모두 기상및 해양을 한 단원에서 다루면서 해양분야의 내용이 기상보다 상대적으로 적고, 실험도 다른 분야보다 현저히 적다. 이에 따라 초·중·고등학교의 실험내용의 연계성도 해양분야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6. 초·중·고등학교의 실험내용 중 해양을 제외한 지구과학의 여러영역이 하위개념에서 상위개념으로 심화되어 대체로 연계가 잘되어 있으나, 교과서 제작시 전단계의 내용및 실험을 조금 더 연구하여 상급학교로 갈수록 심화·발전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