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0 Download: 0

정신지체아 어머니가 받는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Title
정신지체아 어머니가 받는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ocial support and stress of the mothers with mentally retarded children
Authors
문정희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정신지체아사회적 지지스트레스어머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준만
Abstract
장애아의 존재는 그가 속한 가족 구성원의 심리와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이들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가족 구성원은 또한 사회체계와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러므로 장애아와 관련된 문제는 장애아 본인뿐만 아니라 장애아가 의존하고 상호작용하는 가족체계 및 사회체계와의 관계에서 파악되어져야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정신지체아와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는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아동, 어머니, 및 가정의 특성과 관련지어 정신지체아의 어머니가 받는 사회적 지지의 구조면과 기능면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어머니의 스트레스,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 보았다. 본 조사연구는 서울소재 장애인종합복지관, 장애아 조기교실, 재활원, 및 특수학교에 다니거나 상담을 하러 온 정신지체아의 어머니 1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정신지체아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구조면과 기능면에 관한 문항과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 측정을 위해서는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했으며, 스트레스에 관한 질문은 Abidin(1990)의 Parenting Stress Index(PSI/SF)와 단축형 QRS척도, 윤수영(1992)의 자폐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사정도구, 및 장애아 어머니와 실무자를 통해 얻은 자료와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NOVA, T-test, 단순상관관계분석을 했으며 사후결정을 위해 Duncan Procedure를 사용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지지의 구조변인인 지지의 크기(제공자의 수), 접촉빈도, 밀도, 친밀성, 동질성 중 밀도는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크기는 가정의 소득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즉, 중졸 및 고졸어머니의 지지제공자들이 대졸 어머니의 지지제공자들보다 서로 잘 알고 지냈으며, 월수입 200만원이상인 가정이 월수입 50-100만원인 가정과 월수입 150-200만원인 가정보다 지지제공자의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사회적 지지의 기능변인인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는 아동의 장애정도, 가정의 월소득, 총 자녀수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단순장애아동의 어머니가 중복장애아동의 어머니보다 정서적, 물질적, 평가적 지지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스트레스의 요인을 어머니의 부정적 심리, 아동의 장애특성, 장애자녀와의 상호작용, 가족 및 사회관계, 장애자녀의 치료, 교육 및 예후의 5가지로 구분 했는데, 정신지체아의 어머니는 이 중에서 어머니의 부정적 심리, 장애자녀의 치료, 교육, 및 예후와 관련된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나 장애자녀와의 상호작용에 따른 스트레스는 비교적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자녀의 생활주기상의 위치 중에서 학령기 자녀의 어머니가 성인기 및 청소년기 자녀의 어머니보다, 학령기 자녀의 어머니가 성인기 자녀의 어머니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정도에 따라서는 장애가 심한 아동을 가진 어머니가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중복 유무에 있어서는 중복장애를 가진 아동의 어머니가 단순장애아동의 어머니보다 가족 사회적 관계에서의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의 성별에 있어서는 남아의 어머니가 여아의 어머니보다 자신의 부정적 심리상태 및 장애자녀의 역기능적 상호작용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종교에 따라서 어머니의 부정적 심리상태, 자녀의 장애원인, 치료교육 예후와 관련된 스트레스수준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종교가 있는 사람이 종교가 없는 사람보다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수가 많을수록 일상생활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학력, 가정의 월소득 등에 따른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어머니의 스트레스는 지지의 구조와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기능면의 사회적 지지 중에서 정보적, 정서적, 평가적 지지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스트레스는 이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한 정보적, 정서적, 평가적 지지를 통해 완화될 수 있으며, 객관적으로 보이는 구조면의 사회적 지지와는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정신지체아의 어머니가 장애자녀로 인해 겪는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완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아동의 연령, 장애특성, 생활주기, 가족의 특성과 자원 등을 고려한 개별화된 사회적지지 프로그램의 개발과 아울러 스트레스의 특정 영역에 맞는 사회적 지지를 위한 스트레스-사회적 지지모형(stressor-specific support system)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스트레스 요인 중 장애원인, 치료 교육 및 예후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다른 것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장애발견과 진단, 교육, 진로 등을 위한 정보체계개발과 장애아 교육, 탁아, 직업훈련, 보호작업장, 집단가정, 및 성인 정신지체시설 등의 양적ㆍ질적 향상을 도모해야할 필요성을 재확인시켜준다. 또한 객관적인 사회적 지지구조보다 주관적으로 느끼는 기능면의 사회적 지지정도가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주위 사람이나 교사를 비롯한 전문가들의 실제적 도움이 어머니의 자존심 고취나 진정한 이해심과 함께 주어져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더해 주어야 함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stress of the mothers with mentally retarded children. Most of the former studies on the handicapped had focus upon the handicapped as a separate person, but this study had focus upon the family and society around him as an affecting system. For the purpose, 122 mothers with mentally retarded children were selected from rehabilitation centers,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early child education center. Park, Ji Won(1985) Scale was used to measure mothers' social support and Questionnaire about stress was made from Abidin's Parenting Stress Index(PSI/SF), QRS and Yun, Soo Young'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ANOVA and T-test were us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groups. Duncan's multiple-range test was used to compare pairs of group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Density of support struct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size of soc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family's monthly income. 2. Appraisal support was perceived by the mothers of mentally retarded as the highest among 4 types of social support(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Mother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duplication of handicap, but i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degree of retardation, family's monthly income and the number of children. 3. There are 5 factors of mother's stress: a)mother's negative thinking, b)difficulties of everyday life from child' handicap, c)dysfunctional interaction with the child, d)th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and society, e)cause of handicap, lack of treatment and education etc. Mother's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children's life cycle, degree of retardation, duplication of handicap, and mother's religion,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y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In the aspect of family's situation, mother's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not by the monthly income but by the number of children in a family. 4.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erceived support and stress, but no relation between mother's support structure and stress. Emotional, informational, and appraisal support among 4 types of social support had correlation with mother's str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