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6 Download: 0

우리나라 포도 품종별 주산지의 지리학적 연구

Title
우리나라 포도 품종별 주산지의 지리학적 연구
Authors
朴愛圭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지리교육분야
Keywords
우리나라포도 품종별지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효겁
Abstract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pressure on an open-door in agricultural market and the improvement of food consumption pattern, the agricultural policy should aim at producing the superior varities of agricultural products. For the geographical study on the superior varieties products in viticulture, First, the change of spatial distribution in viticulture since 1960s is examined. Second, the change of the area of grape plantation by varieties since 1970s is investigated. Third, the chief producing places of grapes by varieties are considered. Fourth, the natural environment of viticulture by varieties in Korea is stud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hange of location pattern on viticulture since 1960s, whereas the chief producing places of grapes in 1960s are in the suburbs of Seoul and it showed the market oriented pattern, it changed into Kyungsang and Chungcheong provinces and showed lineal distribution along the highway in 1970s and 1980s. In addition to the primary core of viticulture in 1980s, new viticulture core is showed in Cheon Won in 1987-1990. This change on the chief producing places of grapes is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ffic network and the introducing new superior variety. Therefore the location of viticulture become to be oriented into much more suitable natural environment. Second, in the change of the area of grape plantation by varieties, Campbell Early tends to decrease, while Geobong, Tanored and Neo muscat tend to increase. Third, in considering the chief producing place of grapes by varieties, whereas Campbell Early is cultivated through all over the country, the spatial distribution in the other varieties are showed regional variation. Fourth, in the study of natural environment for grapes by varieties, the chief products places of Geobong, Neo muscat and Seibel 9110 varieties have much more advantageous natural environment in comparison with main producer of Campbell Early in climate and soil aspect. All varieties of grapes are cultivated in similar geomorphic environment which is in hills, alluvial plains, and valley plains. Final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ffic network and the change of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into preferring the products of superior varieties, the spatial distribution in viticulture will be oriented to more suitable natural environment.;우리나라는 國民 經濟 成長에 따른 所得 水準의 向上으로 食品 消費 構造의 變化가 同 作物間 高級 品種의 需要를 增加시킬 것은 물론 農産物 市場 開放 壓力으로 各 作物別 比較 優位性이 높은 品種開發이 必須 不可缺한 要因으로 登場하였다. 이러한 時點에서 同 作物間 比較 優位에 影響을 줄 수 있는 地理的 接近은 作物別 品種別 分類와 그의 空間 分布를 通하여 品種別 立地패턴을 提示해 줄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本 硏究는 農業 地域 形成 過程의 一部分으로 葡萄 作物을 單一 指標로 使用하여 葡萄 品種産地에 適合한 地域을 提示 하기 위해 葡萄 主産地 變遷과 品種別 裁培 面積의 變化 및 品種別 主産地의 立地패턴을 考察하고 各 品種別 主産地의 自然 環境 要素를 比較 考察하였다. 硏究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葡萄 主産地 變遷에서 1960年代는 葡萄 作物의 立地가 서울을 中心으로한 消費地 指向的이었고, 1970年代와 1980年代는 交通의 發達과 더불어 高速道路를 따라 보다 나은 自然 環境 立地 移動이 이루어 졌다. 1987年과 1990年度의 葡萄 主産地는 新品種의 導入이 擴散, 傳播되면서 새로운 立地패턴이 形成되었다고 본다. 둘째, 食品 消費 構造의 質的인 向上에 依한 品種別 栽培 變化로서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이 栽培되는 캠벨얼리 품종은 漸次 減少 傾向을 나타 내었고, 거봉, 다노레드, 네오 마스캇 품종의 增加 傾向을 볼 수 있었다. 세째, 品種別 栽培 分布를 보면 캠벨얼리 品種은 全國的으로 고루 栽培되고 있었고 最大 産地로는 경산과 금릉地域 이었으며, 김포地域은 立地係數 1.5인 캠벨얼리 品種이 特化된 地域이었다. 거봉 品種의 主産地는 立地係數 12.1인 忠南 천원地域 이었고, 다노레드 品種은 立地係數 11.0인 京畿 안성地域이 主産地이다. 네오 마스캇 品種의 主産地는 立地係數가 각각 11.2, 11.3, 6.2인 忠南 천원, 慶南 함안, 京畿 안성 地域으로 나타 났으며 씨벨 品種의 主産地로는 立地係數 19.7인 慶北 군위, 의성地域 이었다. 네째, 品種別 主産地의 自然 環境 特徵은 캠벨 얼리 品種의 栽培 地域으로 김포地域은 自然 環境面에서 葡萄 栽培에 全體的으로 不適合하였고, 경산地域은 自然 環境이 良好한 편이나 氣候面에서 糖度와 關係된 日照時數가 다른 調査 地域들 보다 낮게 나타남으로써 보다 질이 좋은 品種의 栽培로는 理想的이지 못했다. 거봉, 네오 마스캇, 다노레드 品種의 천편, 안성地域은 日照 時數, 溫度 較差, 土性面에서 다른 調査 地域들 보다 葡萄 作物栽培에 優秀한 것으로 나타 났고, 군위, 의성地域은 氣候面과 土壤面에서 全般的으로 葡萄 栽培에 適合하였다. 이들 葡萄 栽培 地域의 地形은 丘陵地, 沖積 平野, 谷低 平野 順으로 대체로 類似한 形態로 나타 났다. 다섯째, 本 調査 結果를 綜合하여 品種別 主産地의 葡萄 作物의 立地패턴을 展望해 보면 캠벨얼리 품종의 主産地인 김포지역은 自然環境이 葡萄栽培에 適合하지 않고, 輸送 體系의 安定과 食品 消費構造의 質的인 向上으로 葡萄 栽培面積이 減少될 地域으로 豫想되며, 경산지역은 葡萄 栽培에 最大 産地로서 日照時數이외에 自然環境이 葡萄栽培에 良好한 편이나 需要가 큰 高級 品種으로의 轉換이 要求되는 地域이다. 거봉, 네오 마스캇, 다노레드 主産地인 천원, 안성지역은 自然 環境과 消費 市場에 隣接한 社會, 經濟的 側面에서도 最 適格地라 할 수 있다. 씨벨 품종의 군위, 의성지역은 自然環境은 良好하나 씨벨 품종의 輸送力이 弱한 缺點과 消費 減少로 葡萄 主産地로서 相對的 重要性이 減少되는 地域으로 이들 地域에서 栽培되는 品種의 需要가 增加하면 葡萄 主産地로서의 可能性이 增加될 수 있다고 展望 된다. 1990年代 以後로는 輸送 體系의 安定과 食品 消費 構造의 質的인 向上으로 自然環境 要素가 立地패턴에 主要한 因子로 登場하게 될 것이다. 特히, 同 作物間 比較 優位性이 높은 品種의 空間 分布에 影饗을 줄 수 있는 地理的 硏究는 作物 環境에 適合한 立地패턴을 提示해 줄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品種別 空間 分布의 考察과 함께 作物品種別 立地 要因 중 自然 環境 要素에 綿密한 檢討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