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제5차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생물영역)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천 조사

Title
제5차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생물영역)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천 조사
Other Titles
(A) survey of the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e the 5th revised curriculum in science teaching (biological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
Authors
위혜선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Keywords
중학교과학과생물영역생물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자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중학교 생물 교사들의 5차 과학과(생물 영역) 교육 과정의 개정된 부분에 대한 실행 정도를 조사하고, 교육 과정의 적절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가 교육 과정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요구하는 지원을 분석해 봄으로써 생물 교육 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는데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제4차 과학과(생물 영역) 교육 과정과 비교하여 현행 제5차 과학과(생물 영역) 교육 과정에서 개정된 교육 내용을 어느 정도로 실행하고 있는가? 둘째, 현행 제5차 과학과(생물 영역) 교육 과정의 적절성에 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교사들은 제5차 과학과(생물 영역) 교육 과정 실행에 있어서 어떤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서울 시내 중학교 생물 교사 78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였고, 현직 생물 교사 3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보완되어 25개의 문항을 추출하였다. 연구 방법은 서울 시내 생물 교사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그 중 회수된 78개(60%)의 질문지를 백분률로 빈도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5차 과학과(생물 영역) 교육 과정의 개발 의도와는 달리 실제 수업에서는 탐구 방법보다 과학적 지식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개정된 부분에 대한 교사의 실행과 관련하여 1학년 교육 과정은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2학년 교육 과정은 4차 과학과(생물 영역) 교육과정 때와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2학년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지도 방법의 개선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2학년 교육 과정 중 「생식기관」 단원은 청소년 성교육의 필요성이 반영된 것으로써 대부분의 교사가 교과서 수준 이상으로 가르치고 있어 교사가 이 단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3학년 교육과정 중 「자연 환경과 우리 생활」 단원은 제 5차 과학과(생물 영역) 교육과정의 학년 목표에서 '주변의 환경 오염 실태를 조사하여 환경오염이 인간에게 끼치는 영향을 이해하게 하고 자연과 자원보존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한다.'라고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실제 수업에서는 교과서 범위내에서만 설명하고 있다고 반응함으로써 이 단원의 목표와 일관된 결과를 얻기 어렵다고 볼 수 있다. 실험 활동을 살펴보면, 교과서에 수록된 실험 활동을 전부 다 한다라고 반응한 교사가 소수(3.8%)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전반적으로 실험·실습 위주의 과학 교육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는 없지만, 필수적인 것 혹은 실험이 용이한 것만의 실험 활동이라도 한다고 반응한 전체 교사의 실험·실습 기능에 대한 평가 실시는 중학교에서의 지식 암기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실험·실습 위주로 가야 할 과학과 학습 지도의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3학년 교육과정에서 생물 단원이 앞당겨진 것에 대하여 대다수의 교사가 예전과 별 차이가 없다고 반응하고 있어 자료 준비 및 지도 시기를 고려하여 생물 단원을 앞당긴 교육과정 개발자의 의도가 교사 수준에서 반영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과정의 적절성과 관련하여 1학년과 2학년 교육 과정은 내용 수준, 학습 분량, 흥미도 및 학습 자료 준비가 적절하다고 볼 수 있으나, 3학년 교육 과정은 전반적으로 학습 자료 준비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교수-학습 자료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교육 과정의 운영에 있어 교사는 교과 지도외의 과중한 업무 부담을 줄임으로써 교과 지도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제일 필요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후속 연구로는 실제로 교사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부분에 대한 현장 조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teachers' operating the 5th revised curriculum in science teaching(biological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 and to anayze the teachers' understanding the accuracy of the curriculum, required support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ereby giving suggestions as to 'efficient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e issu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how much do the teachers perform the 5th revised curriculum compared with the 4th in science teaching(biological curriculum)? Second, how much do the teachers understand the accuracy of the 5th revised curriculum in science teaching(biological curriculum)? Third, what kind of support is needed in operating the 5th revised curriculum in science teaching(biological curriculum)? As for the subject, 78 biology teachers in the middle school(in Seoul) contributed to this survey. I framed a questionnaire used in the survey, extracting 25 corrrected and supplemented questions through the teachers' opinions. The method used was like: I launched a questionnaire drive, with 78 returns (60%), and then transformed it a percentag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the teachers have dealt not with the experimental method, but with the sciential information in teaching, which is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a developmental curriculum in the 5th revision, in science(biological curriculum). While the curriculum in the 1st grade has done well compared to their accomplishment on the revised parts, the one in the 2nd grade has made a little advance compared to the original curriculum(the 4th), so that it is required to improve its teaching method. We may assume that they are aware of the necessity of the chapter on 『The Reproductive Organs』 in the 2nd-grade-curriculum, because it reflects on the necessity of juvenile sex education, and the teachers instruct to them over the text. By the way, in the 3rd-grade-curriculum, although the chapter on 『Natural Environment & Our Life』 suggests that, "we are to make the students understand the influence to ma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o recognize that we need to reserve the nature and the resources through a fact-finding survey o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the text is all that they teach to them, hence the consistent results are short of the goal in this chapter. As for the experimentation, a few number (3.8%) of the teachers replied that they did all the experimentation in the text, accordingly we cannot regard a experimental curriculum in science as a wholly successful one. In spite of this slight results of a test for the experimental curriculum, we may take it desirable, for a curriculum in science in the middle school should go forward to experimentation from memorizing the information. Second, many teachers repli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as before about the biological curriculums(revised) in the 3rd-grade-curriculum in advance, so it shows that the developer's intention, which took prepation for materials and time for teaching into account, has not reflected on the teachers' side. Thinking the accuracy of the curriculum, it also shows that they have difficulties in many parts on preparing materials in the 3rd-grade-curriculum compared to the 1st and the 2nd, which have adequate level, quantity, interest, and preparation for materials, hence they require to get support on teaching materials. Third, the teachers in operating the curriculum are requiring a condition to absorb themselves in curriculum by reducing too great a burden to them besides it. The next study should be the survey and the research on the parts being performed by the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