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명완-
dc.contributor.author김혜자-
dc.creator김혜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3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6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6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693-
dc.description.abstract제 5차 국어과 교육 과정은 국어과 교육의 목적을 언어 기능의 신장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교과서의 단원 목표는 교육 과정의 지도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것이며, 이 목표를 각 학년별로 반복 심화함으로써 국민학교 국어과 교육 목표를 성취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교육 과정의 지도 내용과 교과서의 단원 목표가 일치하지 않는 곳이 있고, 학년별 학습 목표에 교육 과정의 지도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것이 있다. 교사가 교육 과정의 지도 내용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아동들의 교육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게 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국민학교 국어과 교육 과정에 나타난 읽기의 지도 내용과 <읽기> 교과서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국민학교 5차 교육 과정의 4∼6학년 읽기의 지도 내용과 4∼6학년 <읽기> 교과서이다. 먼저 교육 과정과 교과서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이상적인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읽기에 대한 이론을 살펴본 후 교육 과정에 나타난 읽기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육 과정에 나타난 읽기의 내용들이 교과서의 단원 목표 및 학습 문제에 잘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1∼3학년과 4∼6학년의 <읽기> 교과서 체제 비교를 겸함으로써 1∼3학년 <읽기> 교과서와 4∼6학년 <읽기> 교과서간의 차이도 규명해 보았다. 국어과 교육 과정은 활동이 포함된 내용으로 진술되어 있으며 지도 내용 요소, 학습 과정 및 자료, 수업 방법을 알 수 있도록 포괄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였으며 학습자의 언어 활동을 극대화하였다. 4∼6학년의 <읽기> 교과서는 대체적으로 교육 과정의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으나, 단원 목표를 살펴보면 여러 곳에서 교육 과정의 지도 내용이 포함되지 않는 면이 발견된다. 또한 단원 목표 진술이 추상적인 경우가 있어 학생들에게 학습을 안내하지 못하고 있다. 학습 문제 또한 단원 목표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학습 문제가 추상적으로 되어 산만해졌거나, 단원 목표를 충실히 반영하지 못하였거나, 단원 목표가 학습 문제에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단원 목표 달성을 위한 과정 없이 단원 목표를 그대로 진술하여 학습의 정착을 꾀할 수 없는 학습 문제도 있다. 그리고 교과서 기능을 준거로 <읽기> 교과서 체계를 살펴 봄에 있어서 1∼3학년과 4∼6학년은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The 5th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focuses on the students' linguistic enhancement. The sectional purposes of the textbook were extracted from the manuals of the curriculum, and it intends to achieve its goal through iterative enlargement at each grade. There are, however, some mismatch between the manuals and the sectional purposes, and also some contents not included in the purposes. This fallacy may gives difficulties to unaccustomed teachers at the contents to educate the children. An idea struck this researcher, so that the manuals and the textbooks of 'reading' shown in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analysed and compared. This research faces with the 'reading' manuals and textbooks in 4∼6th grade. First, the ide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were analysed through inspecting them. Also after a overview of the theories of 'reading', the contents were analysed. It examined that the purpose and the exercises reflect the contents of 'reading' well, and also examine clos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xtbooks of 1~3th grade and 4~6th grade, comparing the systems of them. The purposes of 'reading' curriculum are presented with 3 levels of 1∼2th, 3∼4th, and 5∼6th grade, in forms of the repeated cyclic hierarchy. The curriculum is stated in contents including the activities, and presents the factors of the manuals, learning process and the data, and teaching methods. It is positively derive the students to participate, and maximize their linguistic activities. The 'reading' textbooks of 4∼6th grade is wholly good at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however, the purposes of them do not include the manuals several times. Also they fail to introduce the students into learning, due to its abstract statement. The exercises, in addition, not clearly presents it, so that they comes to be abstract and diffused, or not fully reflecting the purpose of the section, or not presenting the purpose in them. Some of them simply state the purpose of the section without the process for the achievement, so that the learning cannot be fixed. In the inquiry of systems of the 'reading' textbooks in terms of the functions of them, there are much difference between the 1∼3the and 4∼6th gra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머리말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교육 과정과 교과서에 대한 이해 = 5 1. 교육 과정과 교과서에 대한 이해 = 5 2. 교육 과정의 개념과 국어과 교육 과정 = 8 3. 교과서의 개념과 교과서의 체제와 기능 = 14 B. 읽기에 대한 이해 = 24 1. 읽기의 정의 = 24 2. 읽기의 과정 모형 = 29 Ⅲ. 교육 과정에 나타난 읽기의 내용 분석 = 33 A. 학년 목표 분석 = 38 B. 지도 내용 분석 = 40 1. 글자 읽기(음독) = 42 2. 독해 = 45 Ⅳ. 교과서에 나타난 읽기의 내용 분석 = 52 A. 단원 구성의 구조와 기능 = 52 B. 딘원 목표 분석 = 74 C. 학습 문제 분석 = 80 Ⅴ. 맺음말 = 91 참고문헌 = 95 부록 = 99 ABSTRACT = 1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706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국민학교-
dc.subject국어과-
dc.subject교육 과정-
dc.subject교과서-
dc.subject읽기-
dc.subject내용분석-
dc.title국민학교 국어과 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내용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4, 5, 6학년 읽기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Analytic Study on the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and Its Contents : Focused on 'reading' in 4th and 6th grade-
dc.format.page1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