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성은-
dc.contributor.author이봄희-
dc.creator이봄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0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8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5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80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to consist of following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by finding out to what ext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hey have thought about the utility of curriculum and acquired confidence in the course of their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to graduates of a national and a private university. The questions of study to achieve this goal are in the following: 1. How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ieve the utility of their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uates of a national and a private university? 2. How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ieve the confidence in the Is there any significant course of their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difference between graduates of a national and a private university? 2-1. Confidence about knowledge of a learner and the course of study. 2-2. Confidence about teaching plan. 2-3. Confidence about teaching method. 2-4. Confidence about evaluation 2-5. Confidence about classroom management. The questio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269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25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graduates of a national and a private university were compared by chi-square and t -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pre-service curriculum. The teachers who graduated from a national university were less satisfied than those from a private university. Between a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y, their perception was differed significantly. Teacher's perception about organization of the course of study was negative generally. There was not a difference significantly in perception of the utility about a course of study. Many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ir teaching practice, but the teachers who satisfied from a national university were more satisfied than those from a private university. 2. Teacher's perception of the confidence about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cquired in a course of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was mid-level degree. Teachers who graduated from a private university were more confident entirely and in each field. Teacher's perception of the confidence in knowledge about a learner and a course of study and teaching plan was mid-level degree. Teachers who graduated from a private university were more confident than those of a national university. In teacher's perception of the confidence about teaching method, teachers who graduated from a private university were more confident than those from a national university. but between graduates of a national and a private university, there was not a difference significantly. In teacher's perception of the confidence about evaluation, teachers were more confident than in other fields. Between graduates of a national and a private university, there was not a difference significantly. Teachers percieved highly in confidence about classroom management than in other fields. Especially teachers who graduated from a private university revealed high confidence.;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양성 교육과정이 교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얼마나 유용했으며, 교육과정을 통해 자신감을 어느정도로 성취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을 졸업한 교사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앞으로의 초등교사 양성 교육과정 구성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유용성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하며, 국립 대학을 졸업한 교사와 사립대학을 졸업한 교사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2.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통해 성취한 초등교사들의 자신감은 어떠하며, 국립대학을 졸업한 교사와 사립대학을 졸업한 교사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2-1. 학습자와 교과에 대한 지식에 있어서의 자신감은 어떠한가? 2-2. 수업계획에 대한 자신감은 어떠한가? 2-3. 교수방법에 대한 자신감은 어떠한가? 2-4. 평가에 대한 자신감은 어떠한가? 2-5. 교실운영에 대한 자신감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을 조사하기 위한 검사도구로서 21문항으로 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 2를 위하여 학습자와 교과에 대한 지식, 수업계획, 교수방법, 평가, 교실운영의 영역을 포함하는 4점 평정척도의 25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작성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25개 초등학교에 재직중인 3년 미만의 경력의 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후 자료처리하였다. 경력 3년 미만의 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한 것은 그들이 현행 교육과정과 동일한 교육과정을 이수한 교사들로서 현행 교육 과정에 대한 인식을 가장 잘 나타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교사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유용성은 각 영역에 속한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내서 전체적인 인식의 경향을 알아보고, 국립대학을 졸업한 교사와 사립대학을 졸업한 교사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x^(2)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교육과정을 통해 얻은 자신감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사양성 교육과정이 유용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국립대학을 졸업한 교사가 사립대학을 졸업한 교사보다 교육과정이 더 유용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들은 대체로 교육과정에서의 교수-학습활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답하였다. 교수-학습활동의 운영방식에 대해서는 교수의 이론중심 강의로 가장 많이 반응한 반면, 현장위주의 실제학습이라고 답한 교사는 가장 적었다.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동해 얻은 학습결과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사가 투철한 사명감과 교사관으로 답하였으며, 교과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의 습득은 가장 낮은 반응을 보였다. 교과목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교사들은 교양과목에서는 심리학, 음악, 한국사를, 교직과목에서는 교육실습과 교육심리, 교과지도를 유용하다고 답하였고, 전공과목에서 대해서는 국립대학을 졸업한 교사가 초등수학교육, 초등미술교육, 교육실습을, 사립대학을 졸업한 교사는 현장관찰, 초등사회교육, 아동발달을 유용한 과목으로 답하였다. 교육실습의 실시 현황에 대해서는 국립대학을 졸업한 교사와 사립대학을 졸업한 교사 모두가 잘 실시되고 있다는 반응을 나타냈으며, 국립대학을 졸업한 교사의 인식이 보다 긍정적이었다. 실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로는 실습을 위한 환경과 시설이 부족하다는 점이 가장 많이 지적되었고, 특히 사립대학을 졸업한 교사는 실습기간의 부족을 가장 많이 지적하여 실습기간의 연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은 또한 교육실습을 통하여 교육과정에서 배운 여러 수업방법들과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는 점을 가장 유용하다고 하였으며, 가장 희망하는 교육실습의 시기를 4학년 1학기로 반응하였고, 교육실습 기간으로는 8주를 가장 희망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통해 보통정도의 자신감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립대학을 졸업한 교사가 국립대학을 졸업한 교사에 비해 더 자신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자신감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영역별로는 학습자와 교사에 대한 지식, 수업계획, 교실운영에 대한 자신감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학습자와 교과에 대한 지식에 있어서 교사들은 보통수준의 자신감을 갖고 있었으며, 국립대학을 졸업한 교사보다는 사립대학을 졸업한 교사의 자신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계획에 있어서는 사립대학을 졸업한 교사가 국립대학을 졸업한 교사보다 자신감이 더 높았으며, 적절한 학습목표를 선택하고 구성하는 능력, 학습수준에 맞는 학습자료의 선택, 아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학습자료의 개발에서 더 자신감을 나타냈다. 교수방법에 대한 자신감에서는 국립대학을 졸업한 교사와 사립대학을 졸업한 교사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사립대학을 졸업한 교사의 자신감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차에 따라 아동을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지도하는 것과 아동의 요구에 부합되는 교수방법의 사용, 교수자료의 효과적인 사용에 있어서 국립대학을 졸업한 교사보다 자신감이 높았다. 평가에 있어서는 다른 영역에서보다 교사들의 자신감이 낮았으며, 국립대학을 졸업한 교사의 자신감이 사립대학을 졸업한 교사보다 더 낮았다. 모든 하위문항에 있어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인 자신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교실운영에 대한 자신감은 두 집단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사립대학을 졸업한 교사의 자신감이 국립대학을 졸업한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특히 아동으로 하여금 자아개념을 갖게 하는 기술에 있어서는 두 집단이 매우 높은 자신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살펴볼 때 초등교사들은 자신들이 이수한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유용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을 통해서 보통 정도의 자신감을 얻었음을 알 수 있다. 전문인으로서 초등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수행해야 할 역할이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통해 습득되어야 하고, 교직에 입문하기 전에 이러한 전문적인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가 최대한으로 모색되어야 한다고 할 때, 유능한 초등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전문적인 교육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초등교육의 전문성과 교사의 역할 = 4 B. 초등교사 양성 교육과정 = 8 C. 선행연구 = 22 Ⅲ. 연구방법 = 28 A. 연구대상 = 28 B. 연구도구 = 28 C. 연구절차 = 31 D. 자료분석 = 31 Ⅵ. 연구결과 및 해석 = 33 A. 교사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유용성 = 33 1. 교수-학습활동 = 33 2.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통해 얻은 학습결과 = 37 3. 교과목 = 41 4.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 = 46 B.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통해 얻은 초등교사의 자신감 = 50 1. 학습자와 교과에 대한 지식에 있어서의 자신감 = 51 2. 수업계획에 대한 자신감 = 54 3. 교수방법에 대한 자신감 = 56 4. 평가에 대한 자신감 = 57 5. 교실운영에 대한 자신감 = 59 Ⅴ. 결론 및 제언 = 62 A. 결론 및 논의 = 62 B. 제언 = 68 참고문헌 = 71 부록-1 교사용 질문지 = 76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266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사양성-
dc.subject교육과정-
dc.subject초등교사-
dc.subject인식-
dc.subject초등교육-
dc.subject.ddc300-
dc.title교사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dc.format.page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