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5 Download: 0

중년여성의 상태불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중년여성의 상태불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tate Anxiety upon The Mental Health of Middle-Aged Women
Authors
송은영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강교육과
Keywords
중년여성상태불안정신건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양자
Abstract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정신건강의 유지 및 증진을 위한 예방적 측면에서 상태불안과 정신건강실태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밝힘으로서 중년기의 위기를 바람직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년기 건강교욱의 기초자료 제공과 사회적인 활동과 참여기회에 대한 제도적인 배려, 중년기의 건강교육 필요성을 인식하는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고, 둘째, 상태불안과 정신건강수준을 파악하고, 셋째, 일반적 특성과 상태불안,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넷째, 상태불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중년여성 46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Spielberger의 상태불안 척도를 김정택이 번역한 20개 문항과 Derogatis등이 만든 간이 정신진단검사(SCL-90)를 이훈구가 요인분석하여 제작한 47개 문항을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c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상태불안 수준은 불량한 계층이 14.8%, 매우 불량한 계층이 2.1%로 전체의 16.9%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상태불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살피본 결과 학력 (P<0.01), 월지출액(P<0.05), 건강상태(P<0.001), 결혼만족도(P<0.001)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간이 정신진단검사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정신건강을 조사한 결과 연구대상자의 3.4%가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정신건강상태를 각 증상차원별로 분석한 결과 신체화 증상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우울증, 강박증 순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학력(P<0.001), 결혼상태(P<0.05), 배우자의 직업(P<0.05), 동거가족수 (P<0.05), 건강상태(P<0.001), 결혼만족도(P<0.001)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상태불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태불안 수준이 낮을 수록 정신건강이 좋은 정적관계를 나타내었다(r=0.57, (P<0.001).;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recognize the status of stateanxiety and mental health of the middle-aged women and effects of the state-anxiety upon the mental health of the their. This study also intended to, firstly, awaken the necessity of health education for middle-aged women, secondly, provide a basic data for study of middle-aged women and lastly, research the desirable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this purpose, 466 middle-aged women were surved through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20 questions of the state-anxiety inventory by Spielberger and the Lee, Hoon Koo's 47 questions dervied from the SCL-90 by Derogatis and the oth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e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1. The state-anxiety status showed that 16.9% of the total respondents had badness state-anxiety. 2. The mental health assessment scale (SCL-90) showed that 3.4% of the total respondents had mental health problems. The most prevalent one was somatization, the 2nd and 3rd were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ve. 3. The test of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background and the status of state-anxiety revealved that, there seemed to be sta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tate-anxiety and the academic background(p<0.01), family income(p<0.05), physical health status(p<0.001) and marital satisfaction(p<0.001). 4. The test of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background and the status of mental health revealved that, there seemed to be sta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ntal health and the academic background(p<0.001), marriage status(p<0.05), husband's occupation(p<0.05), number of family live with(p<0.05), physical health status(p<0.001) and marital satisfaction(p<0.001). 5. Between the state-anxiety and the mental health of the subjects, there was a correlation that the lower score of state-anxiety was, the lower score of the mental health(r=0.57, p<0.001).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