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묵유염(墨流染)에 관한 조형성 연구

Title
묵유염(墨流染)에 관한 조형성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Marbling
Authors
김은성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활미술학과
Keywords
묵유염조형성생활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Arts and Crafts in moderndays aim at filling up the artistic needs of individuals in current society, where people are deprived of their humanity and become easily alienated. Modern Craft leads people to express themselves freely of their ideas and further lets them recover the ego they lost in today of complicated environment. With such nature, Arts and Crafts are acknowledged as a part of Formative Arts, whose works are being rediscovered through formative point of view. formative expression can be attained when individuals express and create images from their inner world through their renewed visual thinking and mental picture. Current artistic trend have diversified with various methods in the technical area as well as the spiritual side. Such variation exercised a favorable influence upon flam-color as well, where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and brought and exceeding transition in presentation of many artists. Shifting from the abstract expression of mere reconstruction of the nature, artists have started to research the features of their materials and have become formatively expressive through mix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ith their imagination. The Effect of Contingency is widely used among the artists who pursue free mode in the expression of their inner world. But in their actual stage of work, it is unavoidable that the artists' consciousness of having to perform unconscious intervene in their projects, meaning that ever work of art using contingency already involves the artists' intention to show the effect of contingency. Thus there can be no work of art which is entirely unconscious, at the same time, throughly contingent. So the artists, in order to present the intended contingency, should continue to train themselves of reconstructing and improving their artistic intuition. The ‘Intended Contingency’ as above, is the important technique that is continuously brought into use in modern abstract art. Contingency can be represented in various ways up to the materials and its performing methods. The researcher on this thesis applied the effect of contingency in marbling techniques to my won work, after having experimented the absorption timing of the marbling-sizes on my different types of material. From the results, the researcher came to conclude that using the unique effect of combining chinese ink with gouache would be the most suitable to her artistic intention. Chinese ink is the traditional writing material in the orient, which creates mystic and abstract atmosphere on work. When used in the marbling, it shows a fine division from the margin with pertinent effect of line and texture. The roaring and graceful color sensation of gouache makes all the better combination with chinese ink. The researcher, at her work, tried engraftiing the image of orient into that of the west by joining chinese ink and gouache, which represent the typical artistic character of each side. In producing the work, the researcher focused on presenting the intended contingency by using moderated colouration, and confronted a limit in representing complete intend of an artist during the actual performance. It is essential to continue experimenting through creative activities so to overcome the limitation and further improve in the artistic techniques.;현대공예의 의미는 기계문명사회의 획일화된 구조속에서 인간미를 상실하고 소외당한 현대인들의 미적 욕구의 고갈을 충족시켜주고 나아가서는 자신의 의지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잃어버린 자아를 되찾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같은 맥락에서 공예는 조형 예술의 한 부분으로 인정받고 있고 모든 작품들이 조형적 시각에서 재인식 되고 있다. 조형적 표현은 인간이 먼저 눈으로 지각하고 그것을 잠재의식이나 기억으로 경험함으로써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능력을 발전시키고, 새로운 시각적 사고와 시각적 심상에 의해서 내면세계의 이미지들을 표현하고 창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방법적인 면과 정신적인 면에서 현대에는 다양한 예술사조와 기법들이 산재해 다변화된 양상을 띠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염색에서도 영향을 미쳐서 독특한 소재와 기법이 새롭게 개발되어 작가의 표현양식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단순한 자연의 재구성이나 충동적인 우연의 효과로 표현하는 추상이 아니라 재료의 특성을 연구와 실험과정을 거쳐서 얻어진 결과를 가지고 작가의 창조적인 상상력과 무의식적인 잠재의식을 절제된 내적 표현행위를 통하여 조형적으로 표현하게 된 것이다. 우연의 효과는 예술가들이 추구하는 내적세계의 자유로운 표현양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의 작업과정 속에서는 작가의 의지 즉 무의식적인 의식의 완전한 배제가 이루어 질 수 없기 때문에 우연성을 이용하여 표현한 모든 예술작품에는 이미 우연의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결국 완전히 무의식적이고 우연적인 예술표현은 있을 수 없으며, 예술가는 추구하는 의도된 우연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작가 자신의 직관을 가치있게 재구성하고 발전시키는 의도적 훈련이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의도된 우연성'은 현대 추상작품에서 쓰여지는 중요한 기법으로 계속적으로 쓰여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우연성은 재료와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으로 본연구자는 마블링 기법에서의 우연적 효과를 염색 작품에 적용하였는데, 마블링 기법은 공예염색에 있어서 아직 재료에 따른 효과상의 차이점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각 염료와 천, 호료간의 염착시간, 천의 전처리 둥을 실험을 통하여 본 연구자의 제작의도와 가장 적합한 먹과 과슈의 독특한 효과를 찾아내어 마블링염의 조형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먹(墨)은 동양의 전통적인 표현재료로서 그 자체 의미만으로도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데 특히 마블링에서 보여지는 먹의 효과는 자연스럽게 화면을 나누는 여백의 미, 적절한 결의 효과와 선(線)적인 효과를 나타내는데 매우 뛰어났으며, 과슈의 은은하고 우아한 색감이 어우러져 본 연구자의 의도와 조화를 이루었다. 이것은 서구에서 많이 발달한 마블링 기법과 동양의 회화재료인 수묵을 접목시킨 것이며, 또한 천연염료인 먹과 화학안료인 과슈를 함께 사용하여 재료적 측면에서의 동서양의 접목을 시도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 본 연구자는 절제된 색채를 사용하여 의도된 우연성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붓으로 직접 그리지 않고 호료위에 나타난 우연적 효과를 전사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의지와 직관이 그대로 표현되기가 어려운 한계를 더 많은 연구와 지속적인 노력으로 해결해 나아가야 하는 것이 앞으로의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고, 실험적인 사고와 무한한 창조적인 활동을 통하여 더욱 더 독창적인 작품제작에 정진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