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2 Download: 0

중세국어 선어말어미'-거-'에 대한 연구

Title
중세국어 선어말어미'-거-'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efinal Ending '-k?-' of the Middle Korean
Authors
구재희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중세국어선어말어미-거Middle Korea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현실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confirming allomorphs of'-k^(∂)-' and finding out the grmmatical meaning of it, which had productivity in the middle Korean. In chapter Ⅱ, Ⅰ identified the morphologically conditioned allomorph '-na-' and '-(∂)-' of '-k^(∂)-'. Also I examined another '-(∂)-'.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morphologically conditioned allomorph '-^(∂)-'.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k^(∂)-' and '-^(∂)-' in meaning and distribution- In chapter Ⅲ. the grammatical meaning of '-k^(∂)-' was studied through the distribution in which '-k^(∂)-' was used, that is to say, through the relationship of verbs, other prefinal endings, endings. Compared with the aorist form, the grammatical meaning of '-k^(∂)-' was not concerned with the past tense and perfective aspect. Namely, '-k^(∂)-' was concerned with the attitude of a speaker, who believes the situation as confirmed, fixed affairs. The arrangement order and combination of prefinal endings supported the meaning of '-t^(∂)-' and the change of the meaning. I examined the arrangement order of prefinal endings and found out '-k^(∂)-' was used alternatively in the form of '-sik^(∂)-' or '-k^(∂)si-'. This arrangement gradually became fixed into '-sik^(∂)-', and the meaning of '-k^(∂)-' was changing into that of Mood, that was concerned with the speakers confirmative, emotions. This Kind of change was the same in the '-t^(∂)-'. The cause of these change is supposed to be the forming of '-^(∂)ss-'. I found out that '-k^(∂)-' in '-^(∂)ssk^(∂)-' represents not perfective aspect but confirmation. The meaning of '-ka-' in the Mood was clearly presented in the declarative sentence. But it seems that '-k^(∂)-' being joined to conjunctive endings, they became comfound-form and '-k^(∂)-' lost its meaning. '-k^(∂)-' had already lost temporal and aspectual meaning in Middle Korean, and that means '-k^(∂)-' was chosen by the speaker's attitude. When a speaker affirmed that a situation would happen or happened, '-k^(∂)-' was used.;본 연구는 비교적 생산성이 있었던 중제국어 선어말어미 '-거-'의 형태론적, 통사론적 문제를 검토하여, '-거-'의 범위를 확정하고 '-거-'의 문법적 의미를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Ⅱ장에서는 '-거-'의 이형태 '-어1-'과 '-나-'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어1-'과는 구별되는 또다른 '-어2-'를 검토하여 '-거-'와 분포와 의미에 있어 차이가 없고 용언의 종류에 의해 선택되는 이형태임을 보았다. Ⅲ장에서는 '-거-'가 쓰이는 환경, 즉 용언과 선어말어미, 어말어미와의 관계속에서 '-거-'의 기능이 무엇인가를 살폈다. 용언과의 관계를 통해 중세국어에서 '-거-'의 주된 기능이 과거나 완료와는 직접 관련이 없는 화자의 사태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것임을 보았다. 용언의 상적 특성에 따라 '-거-'가 쓰인 용례는 완료와 현재상태로 해석되었다. [-상태성]의 상적 특성을 가지는 용언에 쓰인 '-거-'는 발화시 직전에 완료된 과거로 해석이 되고, [+상태성]의 상적 특성을 가진 용언에 쓰인 '-거-'는 현재상태로 해석됨을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시제성은 어떠한 時相 선어말어미도 쓰이지 않은 용례와 비교해볼 때 용언의 상적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것임을 보았다. 즉, '-거-'의 기능은 時相기능이 아니고 화자의 태도와 관련되어 선택되는 것이다. 화자가 사태를 확정적으로 파악하거나 사태에 대한 확신이나 정감을 표현하는 기능이 '-거-'의 주된 기능임을 보았다. 선어말어미와의 관계를 통해 '-거-'의 기능 변화의 가능성을 찾았다. 선어말어미들의 배열순위는 '-거-'의 기능이 변화과정에 있음을 보여준다. '-거-'는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에 선행하기도 하고 후행하기도 한다. 즉'-시거-'의 위치로 고정되고 '-거-'의 기능은 시상범주에서 서범범주로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더-'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더-'는 '-거-'와 배열순위가 같고 배타적인 분포였다. '-거-'와 '-더-'의 변화의 원인은 '-엇-'의 형성으로 추정했으며 '-엇더-'와 '-엇거-'형을 통해 '-거-'와 '-더-'가 서법 기능임을 보았다. 그러나 '-거-'기 본래의 相기능을 잃고 서법화 과정을 통해 語尾와 통합되어 어미화가 진행되거나 쓰임이 한정되는 것과는 달리 '-더-'는 時相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거-'의 서법적 의미는 평서형 종결어미에서 비교적 분명히 나타났다. 그러나 연결어미와의 결합은 점차 굳어져 어미화되고 있으며, 時相기능의 쓰임은 관형형에서 볼 수 있는데 점차 제한되어 쓰였다. '-거-'의 통합상의 특성 고찰을 통해 '-거-'가 완료의 시상범주에서 서법범주로 진행되어 중세국어에서는 이미 시상기능은 소실되어 가고, '-거-'의 주된 기능은 서법적 쓰임, 즉 화자의 확정적인 태도에 의해 선택되는 형태소임을 보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