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5 Download: 0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기관흡인 카테테르 세척용액관리에 따른 오염정도

Title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기관흡인 카테테르 세척용액관리에 따른 오염정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Bacterial Contamination Degree according to the Management of Irrigation Solution for Endotracheal Suctioning Catheter in a Neonate Intensive Care Unit
Authors
이성희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신생아중환자실기관흡인카테테르세척용액관리오염정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자형
Abstract
Respiratory problems explain the majority of the deaths in neonates. These respiratory problems can result in respiratory failure the require endotracheal intub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Even if endotracheal intubation is needed to maintain the patent airway, it impairs an infant's natural ability to clear lung secretions. So endotracheal suctioning( ETS) for removing the secretion from the trachea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bedside nursing care, and it needs strict aseptic technique. Most hospitals use endotracheal catheter dipped in normal saline and exchange the catheter with normal saline one time a day,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change the suction catheter and irrigation solution in every ETS in our medical environment. So, this study was tried to find out the best way to manage irrigation solution for ETS catheter , which would be very helpful in preventing respiratiory hospital infection in infants who get endotracheal intubation. The concrete aims were to compare the degree of bacterial contamination caused by methods to manage irrigation solution for ETS catheter and to examine the types of organisms and time with frequency of bacterial colonization in trachea. From March 15 to May 14, 1994, the object were 19 neonates who had endotracheal tubes inserted in a neonate intensive care unit(N1CU). 19 neonat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Group one used a catheter in a tray of suction set for 24 hours and irrigated the catheter by pouring normal saline into a bowl of suction set whenever ETS was necessary. Group two used a catheter dipped into the normal saline bottle for 24 hours. Bacterial culture tests for tracheal secretion were conducted every other day. Bacterial culture tests for specimen which had been swabbed in a bowl of suction set in Group one and other specimens which had collected irrigation solution after using catheters with normal saline for 24 hours in Group two were conducted dai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to χ^(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percent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management method of irrigation solution for ETS catheter, bacterial contamination degree of normal saline, irrigation solution for the catheter which two groups had used for 24 hours was as follow. Even if some bacterial organisms were isolated from tracheal secretion, specimens of group one which swabbed bowl of suction set showed none(contamination rate:0%). On the other hand, in group two, when some bacterial organisms were isolated from tracheal secretion, the contamination rate was 77.8% and when no bacterial organisms were isolated from tracheal secretion, it was 30%. Therefore,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method of group one (which irrigated catheter by pouring normal saline into a bowl of suction set) with the method of group two (which used the catheters dipped into the normal saline bottle for 24 hour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1:y. That is, group one's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group two's the case(χ^(2)=6. 667, P=0. 0296) in which no bacterial organisms were isolated from tracheal secretion as well as the case(χ^(2)=12. 315, P=0. 000714) in which some bacterial organisms were isolated from tracheal secretion. 2. In observing the types of organisms isolated from the trachea, in group one, Streptococcus viridans and Diphtheroid (which were Gram positive bacterial organisms), each 1 time( total 14.2%),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Pseudomonas paucimobi1is and Alcaligenes xylosoxidans subspecies xylosoxidans which were Gram negative bacterial organisms, each 1 time(tota1 28.6%) and Normal flora 8 times(57.1%) were observed. In group two, Staphylococcus aureus and Streptococcus pneumoniae which were Gram positive bacterial organisms, each 1 time( total 16.6%), Citrobacter diversus 8 times( 66.7%), Enterococcus cloacae 1 time(8.3%) which were Gram negative bacterial organisms and Normal flora 1 time( 8.3%) were observed, 3. The bacterial culture test was studied 54 times, and group one(8 cases) was tested 32 times and group two(11 cases,) was tested 22 times. In these examinations, bacterial plaque was observed 14 times(about 43.8%) in group one and 12 times(54.5%) in group two. In group one, the first bacterial plaque formation after intubation was 2 samples(25%) on the first day, total 3 times(37.5%) 1 sample of each day, on the 5th, the 7th and the 9th day. So bacterial plaque formed 4 samples(50%) within 1 week. By the way various organisms were observed in a case from the 7th day to the 15th day. In group two, the formation was 2 sample(l8.2%) on the 1st day and 3 samples(27.3%) on the 3rd day. So it was 5 objects(45.5%) within 3 days. Tracheal samples were not collected from the 5th day in group two because the intubation period was too short(average 2.9days). From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made. Shortly after birth, the neonate did not have any bacterial organisms in their tracheas. But according to the increasing period of using endotracheal intubation and ventilator, the bacterial organisms increased in their tracheas. Therefore all the nurses and other hospital workers should try to prevent from hospital infection by using asceptic technique.;신생아 사망율의 주요원인인 호흡기 질환은 인공호흡기(mechanical ventilator)를 필요로하는 호흡부전(respiratory failure)을 초래하게 된다. 인공호흡기가 신생아의 호흡을 유지시키기 위해 꼭 필요하다 하여도 이는 호흡기내 분비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신생아의 자연능력을 저하시키므로 기관내 분비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기관 흡인술(endotracheal suctioning)은 임상간호의 중요한 일부분이 되었고 엄격한 무균술을 요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병원은 기관흡인시 카테테르(chtheter)를 세척용액인 생리식염수에 담근 채로 사용하고 1일 1회 세척용액과 함께 교환하고 있으며, 사실 우리의 의료현실로는 흡인시마다 카테테르아 세척용액을 교환한다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기관 삽관술을 받은 신생아의 호흡기계 병원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전략의 하나로 우리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기관흡인 카테테르 세척용액 관리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냄으로써 이에 따른 간호중재의 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기관내 삽관술을 받은 신생아의 기관흡인 카테테르 세척용액을 흡인시 마다 흡인세트의 Bowl에 부어서 사용한 것과 카테테르를 세척용액에 담궈 놓고 24시간 사용한 것의 오염정동를 비교하고 기관내 균종, 균집락화 시기 및 빈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1994년 3월 15일부터 1994년 5월 14일까지 K대학 부소 A병원과 G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기관 삽관술을 받은 신생아 19명을 대상으로 카테테르를 흡인세트의 Tray안에 넣어두고 24시간 사용하면서 흡인시마다 흡인세트의 Bowl에 생리식염수를 부어서 카테테르를 세척한 제 1군과 카테테르를 세첵용액인 생리식염수병에 담궈 놓고 24시간 사용한 제 2군으로 나누어서 기관 분비물은 격일로 균배양검사를 실시하였고, 24시간 사용한 흡인세트의 Bowl을 Swab한 가검물과 카테테르를 생리식염수에 담궈놓고 24시간 사용한 세척용액을 채취한 가검물은 매일(24시간마다) 균배양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χ^(2)-test, 피셔의 정확검사(Fisher's exact test) 및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관흡인 카테테르 세척용액 관리방법에 따라 두군에서 사용한 세척용액의 오염정도는 24시간 사용후 제 1군의 경우에는 기관 분비물로부터 균이 분리된 경우에도 흡인세트의 Bowl에서는 전혀 오염상태를 보이지 않은 반면, 생리식염수에 카테테르를 담궈놓고 24시간 사용한 제 2군의 경우에는 기관 분비물에서 균이 분리된 경우 세척용액인 생리식염수에서 77.8%의 오염도를 나타내었으며, 기관 분비물에서 균이 분리 되지 않은 경우에도 30%의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흡인세트의 Bowl에 생리식염수를 부어서 카테테르를 세척한 제 1군의 방법과 카테테르를 세척용액인 생리식염수에 담궈놓고 사용한 제 2군의 방법간에 효과를 비교해본 결과 제 1군의 방법과 제 2군의 방법간에는 기관 분비물에서 균이 분리된 경우(χ^(2)=12.315, P=0.000714)에는 물론 기관 분비물에서 균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χ^(2)=6.667, P=0.0296)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기관내 분비물에서 분리된 균종으로는 제 1군의 경우 균분리 횟수 총 14회중 그람 양성균으로는 Streptococcus viridans 1회(7.1%)와 Diphtheroid 1회(7.1%)가, 그람 음성균으로는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Pseudomonas paucimobilis, Alcaligenes xylosoxidans subspecies xylosoxindans 등이 각각 1회씩 총 4회(28.6%) 그리고 정상균총(normal flora)이 8회(57.1%) 분리되었고, 제 2군의 경우에는 균분리 횟수 총 12회중 그람 양성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 1회(8.3%)와 Streptococcus peneumonias 1ghl(8.3%)가, 그람 음성균으로는 Citrobacter diversus 8회(66.7%), Enterococcus cloacae 1회(8.3%) 및 정상균총이 1회(8.3%) 분리되었다. 3. 총 대상자 19명중 재 1군의 대상자 8명과 제 2군의 22회였다. 이 중균이 분리된 횟수는 제 1군이 14회(43.8%), 제 2군이 12회(54.5%)였고, 기관내에서 최초의 균집락화는 제 1군에서는 기관삽관 제 1일(직후)에 2예(25%), 제 5일, 제 7일 및 9일에 각각 1예씩 총 3예(37.5%)에서 이루어졌고, 기관 삽관 1주일이내에 4예(50%)의 대상자에게서 균집락화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제 7일에 처음균이 분리된 1예에서는 제 15일에 사망할때까지 3종류의 균이 분리되었다. 또한 제 2군에서는 기관삽관 3일 이내에 5예(45.5%)의 대상자에게서 균집락화가 이루어졌고 제 2군의 경우 2예를 제외하고는 기관 삽관 유지기간이 짧아서(평균 2.9일) 제 5일 이후의 기관 분비물을 채취하지 못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출생 직후 신생아의 기관내는 무균상태이나 기관삽관 기간 및 인공호흡기의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기관내에 감염율이 높아지므로 기관 흡인시마다 카테테르와 세척용액을 교환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기관 호흡시마다 흡인세트의 Bowl에 세척용액을 부어서 카테테르를 세척하는 방법이 자가감염, 교차감염, 공기감연의 차단에 있어 보다 효과적이라고 사료되며, 호흡기계 병원감염 예방을 위해 간호사와 모든 병원 종사자들은 무균적 처치를 통하여 대상자가 병원감염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불이익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해야 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