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2 Download: 0

주관적 연령지각과 자아개념 및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Title
주관적 연령지각과 자아개념 및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 between subjective age identification, self-concept and life satisfaction from adolescence to old age
Authors
손원숙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연령지각자아개념생활만족도self-concept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태련
Abstract
본 연구는 각 연령집단에서 보이는 주관적 연령지각 양상의 차이를 알아보고, 주관적 연령지각이 심리적 기능 수준을 나타내는 자아개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에 포함된 배경변인들이 주관적 연령지각, 자아개념 그리고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13세 이상의 남,녀 414명으로, 연령범위는 1)만13-17세(100명) 2)만 23-39세(106명) 3)만 40-60세(102명) 4)만 61세이상(106명 )으로 분류되었다. 연구도구는 주관적 연령을 측정하기 위해 Montepare & Lachman(1989)이 사용한 질문지를 김원경(1990)이 수정, 보완한 척도와 정원식(1968)의 자아개념 검사, 그리고 Bradburn(1969)의 감정균형척도(Affect Balance Scale)를 본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PC^(+)4.0 Version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계수, 단순회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연령집단에서 보이는 주관적 연령지각의 양상에는 차이가 있었다. 즉, 청소년집단에서는 자신들을 역연령보다 더 늙게 지각하였으며, 중/노년 집단에서는 자신들을 역연령보다 더 젊게 지각하고 있었고, 성인초기 집단에서는 자신들을 역연령과 비슷하게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성인기 이후 역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주관적 연령지각 점수와 역연령간의 불일치 크기가 점차 커지고 있었는데. 즉 역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신들을 젊게 지각하는 정도가 커짐을 의미하였다. 2. 성인초기 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연령집단에서 주관적 연령지각은 심리적 기능수준을 나타내는 자아개념과 생활만족도를 예언하늘 중요한 변인임이 밝혀졌다. 청소년 집단에선 주관적 연령지각을 늙게 할수록, 중/노년 집단에선 주관적 연령지각을 젊게 할수록 심리적 기능 수준이 높았다. 3. 본 연구에 포함된 성별, 교육수준, 은퇴여부, 사회경제적 지위, 신체척 건강, 결혼상태, 사회참여활동(여가활동)등 7개의 배경변인들의 영향력도 살펴보았다. 1) 청소년 집단에서는 신체적 건강이, 중/노년 집단에서는 은퇴여부, 사회 경제적, 결혼상태순으로 주관적 연령지각을 설명하는 변인들이었다. 2) 자아개념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로는 사회경제적 지위, 신체적 건강, 결혼상태, 사회참여활동 순이었다. 3) 생활만족도에는 사회경제적지위, 결혼상태, 사회참여활동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difference in subjective age identification from adolescence to old age and the relation between subjective age, self-concept and life satisfaction. And also, the effects of seven background characteristics variables(physical health, education, retirement, SES, marital statu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sex) on subjective age identification, self-concept & life satisfaction were examined.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414 males and females from 13 to 90 years of age, who were divided into four age groups ;1) adolescents (13-17 2) early adulthood(23-39) 3) middle adulthood(40-60) 4) late adulthood(61-) Subjects completed subjective indentification scale which Montepare Lachman(1989) used for their research, Wonsik Jeong's(1968) self-concept scale and Bradburn's(1969) affect balance scale.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stepwise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re were differences in patterns of subjective age identification from adolescence to old age. Individuals in their teens held older subjective age identities, whereas during the early adult years, individual maintained same age identities. Across the middle and later adult years, individuals reported younger age identities. 2. The subjective age identification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self-concept and life satifaction in the other age groups except early adults. The adolescents with older age identities and middle/older adult with younger age identities reported greater self-concept and life satisfaction. 3. 1) Physical health in adoescents and retirement status, SES & marital status in middle/older adults had effects on subjective age identification. 2) SES, health, marital status &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had effects on self-concept. 3) SES, marital status &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had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