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8 Download: 0

현행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5종) 비교 분석 연구

Title
현행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5종) 비교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5TH REVISED MUSIC TEXTS FOR THE 7TH GRADE : Centering on Singing Literature
Authors
이옥규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중학교음악교과서가창곡음악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금주
Abstract
There have been curriculum revision five times in Korea form 1955 to 1987. The fifth revised curriculum implementing at present integrates the ability of expression with appreciation. The aim of newly revised curriculum a not usual, is based on the two reform bills of music education, (MMCP, CMP) which has been studied by music educator, composer musicalogist etc. for about twenty years beginning with the early part of 1960's. In relation to this matte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establishing aim and process of the revised textbook. Curriculum and textbook are the most important parts, which are emphasized on by educational policy in Korea. This theis have a purpose on analyzing songs of the current textbook for freshman in junior high school, based on comprehensive educational theory of the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This study shows us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al theory and the perspectives of the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the general contents of music curriculum including the analysis of five types of textbooks. This study analyzed songs of textbooks into parts, distribution of Korean and Foreign songs, types of time, performing types of unison and polyphony, composition, vocal range, forms, the periods of songs, contents of rhythm, etc. The result of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oal of music course, which is represented in the fifth revised curriculum, is the integral learning for music, but the contents of textbooks is especially partial for singing part. 2. The current curriculum makes student keep more contact with western song than Korean song. 3. In view of the types of rhythm, the have tendency to be partial for a particular type of time in textbooks. 4. Textbooks don't contain various types of tonality. That is to say, they contain more majors than minors. 5. In music textbooks, most songs are composed of duet songs or unisons compared with polyphony songs. So it is not enough to stimulate students interest and sense of harmony and balance. 6. Considering the vocal range, most of songs are beyond one octave than within it. That is to say, it is necessary that teachers have to modulate songs for students according to the vocal range of puberty. 7. In the form of songs, most of songs are composed of two forms By providing various forms of songs, it is desirable that students can apprehend the structural character of songs. 8. It puts too much importance to western songs of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while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is neglected. In view of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various kinds of songs should be offered so enough that, only through the experience of apprehending them, each student can develop his positive and aesthetic attitudes. Therefore I hope desirable reorganization of textbooks through research for concrete process which supplements the above unbalanced contents of textbooks.;교육 과정과 교과서는 음악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들이다. 단일 교육 과정 및 교과서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교육 과정 및 교과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 과정과 새로운 교육 과정의 구성 방향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포괄적 음악 교육 이론을 배경으로 하여 현행 중학교 1학년 음악 교과서의 가창곡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 연구함으로써 현대의 음악 교육이 요구하는 교과서로의 편찬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교육 과정은 1955년 부터 5차례의 개정이 있었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5차 교육과정은 1987년도에 개정한 것으로서 표현능력과 감상능력으로 통합하고 있다. 새로운 교육 과정의 구성방향은 여느 때와는 달리 1960년도의 초반부터 약 20년간에 걸쳐서 미국의 음악 교육자와 연구가, 작곡가, 음악학자등 여러인사들이 연구한 끝에 발표된 두 개의 음악 교육 개혁안, 즉 MMCP와 CMP에 근거를 두고 그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서 개편된 교과서가 어떻게 편찬되었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음악과 교육 과정 개정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포괄적 음악 교육론과 현대 음악 교육의 방향에 관하여 살펴보고 음악과 교육 과정의 전반적인 내용과 5종의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가창곡을 영역별, 한국 곡과 외국 곡의 분포, 박자의 형태별, 단선·다성음악의 연주 형태, 조성, 음역, 형식, 작품의 시대별 분포 , 필수 악곡의 내용 등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제 5차 교육 과정 개정안의 교과 목표는 음악의 모든 영역을 어느 한 영역에 치우침이 없는 통합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내용을 조정하였으나 현행 음악 교과서의 교과 내용은 지나치게 가창 영역에 치중되어 있다. 2. 현행 음악 교과서의 악곡이 우리 나라의 음악 보다는 외국 곡이 더 많이 선정되어있다. 3. 악곡이 다양한 박자의 곡들로 선정되어있지 않고 특정한 박자의 유형의 곡에만 치우쳐 있다. 4. 단조의 곡에 비해서 장조의 곡에 편중되어 있어 다양한 조성의 곡들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5. 현행 음악 교과서의 악곡이 주로 제창과 2부 합창의 곡들로 되어 있어서 좀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화성미와 조화미를 체득할 수 있도록 하기에는 곡이 미비하다. 6. 악곡이 옥타브 이내의 곡보다는 이상의 곡에 치중되어 있어 교사들이 가창을 지도할 때는 변성기의 성역에 맞게 조절하여야 한다. 7. 제재곡에 선정된 악곡의 형식은 두도막 형식의 악곡이 가장 많다. 여러 형식의 악곡을 통해서 형식의 짜임을 이해하고 구조적인 특징을 감지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악곡이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8. 현행 음악 교과서의 작품들이 대부분 18,19C의 음악들에 한정되어 있다. 모든 시대, 양식, 문화의 음악, 대중 음악, 젊은이들의 음악 등을 체험하게 함으로서 음악을 애호하고 즐기는 적극적이고 심미적인 태도를 기르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교과 내용의 불균형한 점들을 시정, 보완하는 구체적인 방안들이 모색되어서 바람직한 교과서로 개편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