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중학교 교사의 직업적 갈등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교 교사의 직업적 갈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ers' Occupational Conflicts in Middle School
Authors
박영순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Keywords
중학교교사직업갈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chool organization in these days has more conflicts than ever before because of the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education, bureaucrat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education, Whether those conflicts produce desirable and useful results of destructive ones depends on how to manage them.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school administrators to find ways of effective conflict management in which school administrators analyze, diagnose, and prescribe conflicts, and thus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flict level of teachers as members of schools and find out of there is any difference in conflict levels among teachers groups in terms of conflict materials in explaining the definition, types, functions, influences, conditions and factors of conflicts, the charactoristics of school organization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conflict. In the observation study, I used Gerhardt's C.A.Q(Conflict Assessment Questionnaire) composed of 34 items. I divided these questionnaires items into eight groups based on the conflict factors of C.A.Q - desirable physical work conditions, material inducements, non-material opportunities, school priorities and standard, decision-sharing, student relationship, administrative relationships, staff relationships. Two categories of variables are considered: one is personal variables (sex, career, age, educational level and position), and the other is school variables(public or private school, competitive or non-competitive reg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500 randomly sampled teachers from 27 public and private middle school in Seoul, and 435 questionnaires of them, which is 90.6%, were retrieved. I calculated from the collected data the average score of each variable and group, and compared them with each other. Then, I observed the statistic probability at 5% level by using T-test and ANOVA(Analysis of Variance). From the analysis of the above observation study, I concluded as follows: 1. The conflict level of teachers is high, in general. And the conflict level of each conflict factor is low in the order of desirable physical work condition, material inducement, decision-sharing, school priorities and standards, non-material opportunity, student relationships, administrative relationships, staff relationships. 2. The conflict level of teachers in public schools i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in private schools in all variables of conflict factors. 3. Female teachers group shows higher level of conflict than male teachers group. The conflict level of male teachers group was higher than of female teachers group in only two variables: non-material opportunity and staff relationship. 4. The highest level of conflict is found among teachers with average career, and the level of teachers group with high career is comparatively low. The level of teachers group with average career is high in only two conflict factors, material inducements and non-material opportunity. In terms of desirable physical work conditions, school priorities and standards, decision-sharing, and administrative relationships. the highest level is found among teachers group with low career. 5. The conflict level goes down as the age level goes up, in general. The conflict level goes down as the age level goes up in all conflict factors expect non-meterial opportunity. 6. In terms of educational level, the conflict level does not show any statistical meaning. Also, in terms of conflict factors, all conflict factors do not show any statistical meaning expect the desirable physical work condition. 7. The conflict level of common teachers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chief teachers group. And the conflict level of common teachers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chief teachers group in all conflict factors. 8. In the conflict level of between the teachers' group in less-competitive region and the teachers' group in competitive region, there i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conflict factors, there is some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desirable physical work condition, school priorities and standards. But the rest of conflict factors do not show any statistically;오늘날 학교조직에서는 교육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규모의 확대, 관료화, 전문화의 경향으로 관료제의 역기능, 역할갈등 등의 교사의 작업세계에서 발생하는 갈등현상의 존재는 필연적이다. 이러한 갈등은 갈등의 관리여하에 따라 건설적이고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순기능을 발휘할 수도 있고 파괴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역기능을 발휘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학교의 관리자는 갈등을 분석, 진단, 처방함으로써 조직을 건강하게 하고 조직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적인 갈등관리를 꾀함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학교의 관리자가 효과적인 갈등관리를 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바, 학교조직구성원인 교사에게 야기되는 직업적 갈등수준을 갈등요인별로 파악하며 또한 갈등수준이 교사집단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국내외의 문헌을 통하여 갈등의 정의와 유형, 갈등의 기능과 영향, 갈등의 상황과 요인, 학교조직의 특성과 교사의 직업적 갈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서술하였으며 질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하였다. 질문지 문항은 모두 34문항이며 Gerhardt가 제작한 갈등측정질문지(C.A.Q.: Conflict Assessment Questionnaire)를 번역, 제작하였다. 질문지 문항은 C.A.Q.의 하위요인 8개를 기준으로 바람직한 근무환경, 물질적 대우, 사회적 대우, 학교의 우선사항과 기준, 의사결정에의 참여, 학생과의 관계, 관리자와의 관계, 동료교사와의 관계로 갈등요인을 분류하였다. 변인으로는 개인신상별 변인 (성별, 경력별, 연령별, 학력별, 직위별)과 교사들이 소속되어 있는 학교의 설립별, 급지별 변인이 고려되었다. 조사대상은 서울시내 공·사립중학교 27개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25개교에서 453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율은 90.6%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변인별 집단간 평균점을 산출하여 점수차를 비교하였고 각 변인별로 t분석, ANOVA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유의도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조사연구에 의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전체교사들의 갈등수준은 대체로 높은 편이다. 또한 갈등의 요인별로는 바람직한 근무환경, 물질적 대우, 의사결정에의 참여, 학교의 우선사항과 기준, 사회적 대우, 학생과의 관계, 관리자와의 관계, 동료교사와의 관계의 순으로 갈등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립학교의 교사집단이 사립학교의 교사집단보다 갈등이 더 높다. 또한 갈등의 요인별로는 모든 요인들에서 공립학교의 교사집단이 사립학교의 교사집단보다 갈등이 더 높다. 세째, 여교사집단이 남교사집단보다 갈등이 더 높다. 또한 갈등의 요인별로는 사회적 대우, 동료교사와의 관계만이 남교사집단이 여교사집단보다 갈등이 더 높다. 네째, 경력이 보통인 교사집단 (5-14년)이 갈등이 가장 높으며 경력이 많은 교사집단(15년 이상)의 갈등이 가장 낮다. 또한 갈등의 요인별로는 물질적 대우, 사회적 대우에서만 경력이 보통인 교사가 가장 높다. 바람직한 근무환경, 학교의 우선사항과 기준, 의사결정에의 참여, 관리자와의 관계에서는 경력이 적은 교사집단(5년 미만)이 가장 높다. 다섯째, 연령이 많아질수록 갈등이 낮아지고 있다. 또한 갈등의 요인별로는 사회적 대우만을 제외하고 모든 요인들에서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갈등이 낮아진다. 여섯째, 학력별 갈등수준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갈등의 요인별로는 바람직한 근무환경을 제외하고 모든 갈등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일곱째, 평교사집단이 주임교사집단보다 갈등이 더 높다. 또한 모든 갈등의 요인들에서 평교사집단이 주임교사집단보다 갈등이 더 높다. 여덟째, 비 경합지역의 교사집단과 경합지역의 교사집단간의 갈등수준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갈등의 요인별로는 바람직한 근무환경, 학교의 우선사항과 기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나머지 갈등요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