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1 Download: 0

여중생의 가족환경, 여성에 대한 태도와 월경증상과의 관계 연구

Title
여중생의 가족환경, 여성에 대한 태도와 월경증상과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Correlations among Family Environment, Attitudes toward women and Menstrual Symptoms of Middle School Girls
Authors
李喜淑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여중생가족환경월경증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사춘기는 성장, 발달단계에서 과도기적 성격을 띠고 있으므로, 각기 특이한 특성과 발달과업을 파악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이 시기에 개인의 태도 및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소와 개인의 변화 및 현상에 대한 이해는 태도 및 가치관 형성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King (1981)이 제시한 개념적 모형을 근거로 하여 여중생의 일차적 사회환경인 가족환경 및 개인이 일반적으로 지각하는 여성에 대한 태도와 성장, 발달 과정에서 경험하는 월경증상과의 관계를 파악하므로써 King의 사회체계와 개인체계간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시내 일개 여자중학교 2, 3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하여 초경을 한 후 6개월이상 월경을 경험한 자 200명에게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1년 4월 8일부터 4월 15일까지 7일간이었다. 사용된 도구로는 월경증상 측정도구로 Moos (1969) 가 개발한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MDQ)를, 가족환경 측정도구로는 Moos와 Insel(1974)의 Family Environment Scale(FES) R Form을, 여성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로는 Spence, Helmreich와 Stapp(1972)의 Attitudes Toward Women Scale(ATWS)을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에 의해 백분률, 산출평균,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월경증상 정도 측정에서는 1.ll-4.04의 점수범위에서 평균 1.83으로 나타내 일반적으로 월경증상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가족환경 정도 측정에서는 2.62-4.42의 점수범위에서 평균 3.41로 비교적 가족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여성에 대한 태도 정도 측정에서는 2.74-4.89의 점수범위에서 평균 4.15로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에 대한 태도가 진보적이고 적극적임을 알 수 있다. 2. 가설검정 결과 1) 제 1 가설 : "여중생의 가족환경 점수가 높을수록 월경증상 정도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r=-0.070, P=0.162) 2) 제 2 가설 : "여중생이 지각하는 여성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월경증상 정도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r=0.011, P=0.441) 그러나 월경증상 평균치를 중심으로 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가족환경 하위영역중 가족 체제유지 차원(r=0.247, P=0.011)과 여성에 대한 태도 하위영역중 사회적 성역할 (r=-0.064, P=0.027)과 가정에서의 성역할(r=-0.196, P=0.017)이 월경증상과 유의한 수준에서 관계가 있었으므로 제 1, 2 가설이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3) 제 3 가설 : "여중생의 가족환경 점수가 높을수록 여중생이 지각하는 여성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r=0.182, P:0.005 )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경제상태 (F=10.818, P=0.000), 부의 학력(F=5.225, P=0.001)과 부모의 학력(F=6.38, P=0.000), 월경의 규칙성 유무 (F=3.24, P=0.001 ), 초경전 월경지식 유무(F=1.98, P=0.049), 월경전 사전교육 제공자 (F=4.66, P=0.003)에 따라서 가족환경 점수와 차이가 있었다. 이는 경제상태와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월경이 규칙적이고 초경전 월경에 관한 지식이 높을수록, 가족환경 점수가 높았다. 또한 월경전 사전교육 제공자에 따라 가족환경 점수에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부의 학력(F=2.80, P=0.039)과 초경전 월경지식 유무(F=2.84, P=0.014)에 따라서 여성에 대한 태도와 차이가 있었다. 부의 학력이 높을수록, 초경전 월경지식이 높을수록 여성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대상자들의 가족환경, 여성에 대단 태도와 월경증상과의 관계가 지지되지 못하였으나, 가족환경과 여성에 대한 태도의 일부하위영역이 월경증상과의 관계가 지지되었다. 또한 가족환경과 여성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가 지지되어, King의 사회체계 개념과 개인체계개념간의 상호작용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King의 개념적 모형을 부분적으로나마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King's conceptual model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her social and personal systems, explicitly the relationships among environment, attitudes toward women and menstrual symptoms, menstruation being a phenomenon belonging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two hundred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of one girl's middle school in Seoul who had experienced menses for more than six months after menarche. Data were collected by an 84 item questionnaire from April 8th to 15th, 1991. The instruments, shortened and adapted for this study sample were the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MDQ) developed by Moos(1969), the Family Environment Scale (FES) R Form developed by Moos and Insel (1974) and the Attitudes Toward Women Scale (ATWS) developed by Spence, Helmreich and Stapp(1972). Data were analyzed by percentage, mean,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ronbach's Alpha of the instrument were, for the MDQ scale 0.933, the FES 0.871, and the ATWS 0.703. 2. The Menstrual symptom mean was 1.83 in a range of 1.11 to 4.04, a very low level. The Family Environment mean was 3.41 in a range of 2.62 to 4.24, suggesting a move from a more traditional to a more progressive family environment. The Attitudes Toward Women mean was 4.15 in a range of 2.74 to 4.89, a highly positive attitude toward women. 3. The two hypotheses predicting correlations between higher FES and ATWS scores and lower MDQ scores were not supported. A secondary hypotheses, that, higher FES scores would be related to higher ATWS scores, was supported (r= 0.189, P= 0.002). 4. N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related to the menstrual symptoms. 5.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higher family environment scores were higher economic status (F= 10.818, P=0.000), higher parental educational levels, father (F= 5.225, P=0.001) and mother (F= 6.38, P=0.00), and regularity of menses (F=3.24, P=0.001). Also premenarche instruction(F= 4.662, P=0.04) and the: identity of the instructor(primarily the teacher) related to higher family environment scores. 6.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attitudes toward women were higher father's educational level (F= 2.809, P= 0.039) and premenarche instruction (F= 2.84, P= 0.014). The low mean skew in the dependent variable may have accounted for the lack of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environment and attitudes toward women scores. When the dependent variable was divided into high and low symptom groups, there were relationships with a number of subscales of both independent variables. These relationships a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nvironment and attitudes toward women support King's Conceptual Model which relates social and personal systems, and concepts within the personal system. Recommendations for enhanced research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concepts, were ma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