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순-
dc.contributor.author장은하-
dc.creator장은하-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1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8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3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852-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인은 한국어를 통하여 사상, 감정, 가치관과 인격이 형성된다. 이때, 효과적인 우리말 사용 능력의 향상과 언어 문화에 대한 관심을 깊게 하고, 가치관이 올바른 인간을 기르고자 하는 것이 국어 교육의 목적이다. 국문학으로서의 고전은 민족적인 정서를 지니고 있으며 우리 조상이 남긴 문학 작품으로 항상 우리에게 어떤 규범을 제시해 주는 전형적인 것이다. 우리가 고전을 읽고 공부하는 것은 내 민족을 이해하고 민족적 교양을 갖춰 주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국어과 교육에 있어서 고전 교육은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고전 문학 교육이 교과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어느 정도며, 일선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지도되고 있는지, 고입 선발 고사에서 고전의 출제 빈도와 유형은 무엇인지, 또 학습자들의 고전 문학 작품에 대한 반응은 어떤지 설문·조사해 보았다. 그 내용으로는 Ⅱ장에서는 중학교 국어 교육의 일반적인 성격과 고전 문학 교육이 중학 교육의 단계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학습자들의 인지발달, 정서에 부합되는 고전 교육의 의의를 살펴 보았다. Ⅲ장에서는 고전 문학 교육이 실제로 어떻게 지도되고 있는가를 살핌에 있어 학습 교재로 쓰이는 1, 2, 3학년 국어 교과서에 실린 고전 문학 작품을 학년별, 학기별로 나누어 그 작품의 특성, 주제를 살폈고, 또 고전의 여러 갈래가 다양하게 수록되었는지, 학년별, 학기별로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 교과서 전체에서 고전 작품이 차지하는 분량, 갈래를 현대문과 비교·분석 해 보았다. 또한 최근 3년간 고입 선발 고사에 출제된 고전 문학 관련 문제를 살펴 교과서에서 현대문과의 불균형(분량, 갈래면)이 입시에서는 어떻게 다루어졌나를 살펴 보았다. Ⅳ장에서는 고전의 중요성과 교과서에서의 불균형을 학습자들은 어떻게 수용하는지 설문(20문항) 조사한 반응의 결과와 의미를 통해 우리에게 전해진 조상의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학습자들의 고전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Ⅲ장의 고전 교육의 실제에서 나타난 고전 작품의 한 갈래(시조)에 대한 치우침, 주제의 경직성, 양반에 치우친 작가층의 불균형, Ⅳ장의 고전 교육의 수용자인 학습자들의 반응을 통해 설문·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국어 교육을 위해 교과서의 학기별 체제를 학년별로, 시조에 편중된 고전 작품을 다양하게 수록·소개해 고전 문학 작품이 학교 현장에서 소중히 인식되며 중학생의 정서와 부합되는가의 여부를 살폈다. 조상의 얼이 배인 우리의 고전이 10대 청소년층인 학습자들에게도 '우리의 것'이라는 중요성을 일깨우는데 작은 도움이 되고자 한다.;The thought, emotion, value view and character of Koreans are formed through Korean. At this time,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improve the ability for effective our language use, deepen the interest about language culture, and try to grow the human being whose value view is right. The classical literature as Korean literature is what is the typical thing to suggest any norm to us at all times as the literary work which has folk emotion and which was left by our ancestors. The reason why we read and study the classical literature is for establishing the subjectivity by understanding my race and having the folk culture. So, in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he educ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s given much weight. In this thesis, the emxamination as to how is the relative importance that this educ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occupies in the textbook whole, how it is being quided in the education spot, and how the reaction of learners is was made. As the contents, first of all, the general lcharacter of the education of middle school and the significance of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to correspond with the cognition development and emotion of learners were examined. And, the comparison and examination as to how the relative importance is in the textbook to be used as a teaching materials for study, whether the various branches of classical literature are being recorded diversely, and whether the assignment by grade and semester is well-balanced were made. The thesis tries to be helpful to that the literary work of our ancestors transmitted to us through long years is recognized valuably in the school spot and to awakening the importance of our thing to the learners, by examining the result and meaning of the reaction on how the learners accept the importance of classical literature and the unbalance in the textboo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주의 범위와 방법 = 3 Ⅱ. 고전 문학 교육의 의의 = 6 A. 고전 문학 교육의 의의 = 6 B. 중학교 교육의 성격과 고전 문학 교육 = 8 Ⅲ. 고전 문학 교육의 실제 = 10 A. 제5차 교육 과정과의 관련성 = 10 B. 국어 교과서의 내용 분석 = 17 1. 1학년 교과서에 실린 고전 문학 작품 및 특성 = 21 2. 2학년 교과서에 실린 고전 문학 작품 및 특성 = 24 3. 3학년 교과서에 실린 고전 문학 작품 및 특성 = 29 C. 최근 3년간 고입 선발 고사의 고전 문제 출제 유형 = 34 Ⅳ. 고전 문학 학습의 실태 = 45 A. 설문을 통해 본 학습자의 반응 실태 = 45 B. 학습자 반응에 나타난 현상과 의미 = 58 Ⅴ. 고전 문학 교육의 개선 방향 = 62 A. 고전 문학 작품의 교과서 수록에서 나타난 문제점 = 62 1. 교과서에 실린 고전 문학 갈래·작가층의 재검토 = 62 2. 구비 문제 수록의 필요성 = 68 3. 교과서의 분량과 배정 시간 = 70 B. 학습자 반응에 나타난 문제점 = 72 Ⅵ. 결론 = 76 참고문헌 = 80 부록 = 82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766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고전문학교육-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국어교과서-
dc.title한국 고전 문학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현행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 centering around the present Korean language textbook-
dc.format.page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