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우리나라 고등학교 생물영역 교과서와 BSCS녹판의 교육목표 비교 분석

Title
우리나라 고등학교 생물영역 교과서와 BSCS녹판의 교육목표 비교 분석
Other Titles
Comparative Analysis of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of Korea and the BSCS(Green Version) of the United States
Authors
金明宣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생물교육분야
Keywords
고등학교생물영역 교과서생물 교과서BSCS교육목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순자
Abstract
본 연구는 과학교육목표 분류틀을 이용하여 현행 우리나라 고등학교 생물영역교과서(과학Ⅰ상, 생물)의 교육목표를 분류·분석하여 현 교육목표가 지향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미국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중의 하나인 BSCS녹판(제7판)의 교육목표를 분류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정 및 운영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교과서에서 사람의 기관계 부분의 내용에 근거해 추출한 교육목표를 분석한 결과, 행동 범주에서는 전반적으로 이해(44.2%)영역을 가장 중시하였고, 지식(36.0%), 탐구(9.9%), 적용(6.3%), 태도·흥미(3.6%)영역 순의 분포를 보였다. 특히 지식과 이해 두 영역의 목표를 포함한 비율은 80.2%로 행동 범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상황 범주에서는 과학적 상황이 89.6%로 거의 대부분이었고, 개인적 상황은 9.5%, 사회적 상황은 0.9%의 비율을 보였으나, 기술적 상황의 목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과학교과 목표에 포함되어 있는 과학-기술-사회의 상호관계에 대한 내용을 소홀히 하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2. BSCS녹판 교과서에서 국내 교과서와 같은 부분의 내용을 근거로 추출한 교육목표를 분석한 결과, 행동 범주는 전반적으로 이해(40.9%)영역을 가장 강조하였고, 지식(32.4%), 탐구(11.4%), 적용(10.5%), 태도·흥미(4.8%)영역의 순서를 보였다. 이중 지식과 이해의 목표를 합친 비율이 73.33%로 전체 비율의 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의 범주는 과학적 상황이 84.2%로 가장 많이 강조되고 있었고, 개인적 상황은 13.9%, 사회적 상황은 1.9%의 비율을 보였다. 그러나 기술적 상황의 목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우리나라 교과서와 BSCS녹판 교육목표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행동 범주에서 강조되고 있는 영역의 순서는 두 교과서에서 모두 지식과 이해, 탐구, 적용, 태도·흥미 순으로 같게 나타났으며, 그 비율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국내 교과서는 BSCS녹판 교과서에 비해 지식과 이해영역만이 높은 비율을 보였고, 반면에 BSCS녹판 교과서는 지식과 이해영역을 제외한 탐구, 적용, 태도·흥미의 영역에서 모두 조금씩 높은 비율을 보였다. 상황의 범주는 두 교과서 모두 과학적 상황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영역에서 BSCS녹판에 비해 국내 교과서가 편중된 면을 보이고 있다. 개인적 상황은 BSCS녹판 교과서에서 좀 더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 사회적 상황은 두 교과서에서 모두 소홀히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적 상황의 목표는 두 교과서 모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우리나라 고등학교 생물영역 교과서의 목표들은 전반적으로 과학의 지식과 이해면에 편중되어 있으며, 적용, 탐구영역은 부족하고, 정의적 영역에 해당하는 태도·흥미영역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 또 과학-기술-사회의 상호작용에 관한 부분에 대해서 소홀히 다루어지거나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편시에는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at the present educational objective tries to aim at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present educational objective of the high school textbook(Science I, Biology)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to make suggestions for the reform of future curriculu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educational objective was extracted from the contents of human organ system of the Korean textbook. In the behavior dimension of the classification frame corrected and established through literature survey, the comprehension(44.2 %) category was generally most emphasized and the categories of knowledge(36.0%), inquiry(9.9%) application(6.3%), and attitude·interest(3.6%) followed in order. It is noticeable that the sum of knowledge and comprehension objectives reached 80.2%. As for the context dimension, the scientific context occupied 89.6%, the individual context 9.5%, and the social context 0.9%, but it appeared that there was no objective in the technical context.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Science-Technology-Society objective was neglected. 2. The educational objective was extracted from the BSCS which has same contents as Korean textbook. objective in the technical context.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Science-Technology-Society objective was neglected. 2. The educational objective was extracted from the BSCS which has same contents as Korean textbook. In the behavior dimension, the comprehension(40.9 %) category was generally most emphasized, the categories of knowledge(32.4%), inquiry(11.4%), application(10.5%) and attitude·interest(4.8%) followed in order. It is noticeable that the sum of the knowledge and comprehension objective reached 73.3 % of the whole. As for the context dimension, the scientifitic context occupied 84.2%, the individual context 13.9%, and the social context 1.9%. But, it appeared that there was no objective in the technical context. 3. The major finding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of Korea and the BSCS(Green Version) of the United States are as follows: The order of categories emphasized in the behavior dimension was knowledge, comprehension, inquiry, application, and attitude·interest in both textbooks, but not the same proportion. In the Korean textbook, only the categories of knowledge and comprehension occupied a little more than the BSCS. On the other hand, in the BSCS, except for the categories of knowledge and comprehension, the categories of inquiry, application, and attitude·interest occupied a little more. As for the context dimension, the scientific context occupied most of the part in both textbooks. In this category, Korean textbook gave too much importance. It appeared that, in the individual context, the BSCS occupied a little more, and the social context was neglected in both textbooks. There was no objective in the technical context in both textbooks. 4. Through the major findings of this analysis as above, following things can be concluded. The objective of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of Korea is generally emphasizing the categories of knowledge while comprehension of science, the categories of application and inquiry are insufficient, and the category of attitude * interest included in the affective category is neglected. The interaction of Science-Technology-Society is neglected, or not treated.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subjects discussed above must be considered at the time of revision of future curricul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