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8 Download: 0

비만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에 관한 연구

Title
비만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ogram for obesity prevention
Authors
김선희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강교육과
Keywords
비만예방프로그램개발평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비만과 관계된 요인을 중심으로 연구사례들을 검토하고, 비만예방교육이 한국의 일부 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의 지식과 태도, 습관을 개선하는 데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같은 목적달성을 위해 첫째, 대상자들의 비만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습관을 조사하고, 둘째, <건강과 비만> 교육 프로그램(Module)을 개발하여 셋째, 개발된 Module을 활용하여 비만예방교육의 유무가 여고생의 비만에 대한 지식,태도, 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게 된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Y여고 2학년 학생 40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실험설계는 Solomon Four Group Design에 의한 것이었고 실험처치로는 여고생의 비만예방을 위해 개발한 <건강과 비만>을 적용하였으며 연구의 종속변수로는 비만예방에 관한 지식, 태도, 습관의 세가지를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만예방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의 비만예방에 관한 지식수준은 대조군의 지식수준보다 높았다( p < 0.05). 2. 비만예방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의 비만예방에 관한 태도는 대조군의 태도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3. 비만예방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의 비만예방에 관한 습관은 대조군의 습관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4. 사전조사는 사후조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5. 세 종속변수인 지식, 태도, 습관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0).;Overweight and obesity are becoming one of the critical health problems facing modern industrialized socie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developed program for obesity prevention, after the need survey. Individual information,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pertaining to obesity were assessed via the need survey of 73 question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00 selected from Y Girls High School of Seoul Area.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n adaptation of the Solomon Four Group design. Data analysis consisted of T - 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to the program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knowledge scores about obesity prevention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2.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to the program demonstrated positively higher scores in attitudes about obesity prevention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3.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to the program demonstrated positively higher scores in practices about obesity prevention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4. "Pretesting"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ost-test 5.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Correlations coefficients among those three variables statistcally significant at the 0.001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