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 한국신문에 나타난 Bad뉴스에 관한 연구
- Other Titles
- STUDY ON BAD NEWS IN THE KOREAN PRESS
- Authors
- 李忠雅
- Issue Date
- 1991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Keywords
- 한국신문; Bad뉴스; 언론; 신문방송학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bstract
- 매스 미디어를 통해 구성된 현실이 수용자의 현실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저널리즘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다. 더욱이 언론이 사회현실을 직시하고, 문제점을 지적, 비판을 가하는 환경의 감시자로서의 임무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언론이 구성하는 현실의 중요성은 결정적이다.
사회제반문제와 사건을 보도하고, 비판적 기능을 수행하는 뉴스보도가 Bad 뉴스이다. 즉 Bad 뉴스란 사회의 갈등, 부정적 요소를 소재로 하여, 사회문제와 사건들을 파헤치고 비판하는 뉴스보도를 지칭한다.
Bad 뉴스가 언론의 본질적 속성을 대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Bad 뉴스의 양적 증가와 현실왜곡의 문제가 한편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통해 Bad 뉴스와 언론, 언론관행, 언론환경 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 신문에 나타나는 Bad 뉴스의 경향을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뉴스기사에서 Bad 뉴스는 Good 뉴스나 중립적 뉴스보다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뉴스주제별로 분류하였을 때 사회적 주제를 다룬 뉴스기사에서 Bad 뉴스가 가장 많았으며, 반대로 문화적 주제를 다룬 뉴스기사에서는 Bad 뉴스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둘째, Bad 뉴스는 Good 뉴스나 중립적 뉴스보다 지면 구성상 상대적으로 높은 뉴스가치의 중요성을 부여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목의 크기만 보았을 때에도 Bad 뉴스의 제목은 Good 뉴스나 중립적 뉴스의 제목보다 컸다. 그러나 면별구성상 기사의 위치에서는 뉴스성향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면배치에서 종합면의 경우 중립적 뉴스가 Bad뉴스보다 더 많이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ad뉴스의 정보원을 살펴본 결과 정부, 경찰, 검찰 및 법원과 같은 관공서 중심의 정보원이 일반사회단체 중심의 정보원 비중보다 훨씬 많이 나타났다. 뉴스채널의 이용에서 기자들은 비공식채널보다 공식채널에 더 의존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정보원의 지위에 따른 이용 빈도를 살펴본 결과 권력층의 수가 비권력층이나 중간계층의 수보다 훨씬 컸다.
네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모두 Bad뉴스를 다룰 때 주제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Bad뉴스의 기사를 작성하는 방식에서 동아일보는 조선일보보다 스트레이트기사, 심층·해설 기사 혹은 기획·정밀 기사로 작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조선일보는 동아일보보다 피처 기사나 탐사보도기사로 Bad뉴스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섯째 언론환경의 변화에 따른 뉴스성향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언론환경이 변화하면서 Good 뉴스와 중립적 뉴스는 감소한 반면 Bad뉴스는 증가했다. 그러나 뉴스주제나 정보원의 이용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In journalism, it has been the principal matter of discussion that the reality constructed by means of mass media influences receivers on the perception of reality. Besides, the reality constructed by the press is crucially important in that the press plays a decisive role to supervise the environments: to face up the reality of society, to point out the problems and to criticize them.
Such storeis as this is called 'bad news' since it reports the social events and problems in general and simultaneously performs a critical function. Therefore, bad news refers to the reports dealing with primarily negative factors such as trouble and disagreement in society, while investigating and criticizing social problems.
Although bad news represents the intrinsic nature of the press, problems have been raised on the uncontrolled increase of bad news in quantity and on the distortion of reality.
This study,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d news and the press, the routine and the environments of the press. The trends of bad news and relevant problems in the press in Korea were examined by mans of content analysis.
With those concerns the brief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ws stories on the whole contained much more bad news than good or neutral news. The frequency of bad news was highest with the stories of social subject whereas lowest with the stories of cultural metters.
Second, higher value was usually placed on bad news rather than on good or neutral news in the production of the news. With regard to the size of headlines, bad news had bigger headlines than those of good or neutral new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nature of news as to the position within a page. On the contrary, neutral news was more frequently positioned on the front page than bad news in the page layout.
Third, news information came mainly from bureaucratic news source - such as the Government, the police, the prosecution and the court of justice - rather than from the source of the common social organization. In case of channels, journalists depended more on routine channels than informal channels. In the social status of news sources, those from the powerful class had much higher frequency than the source from the non-powerful or middle class.
Fourt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electing bad news between the Dong-A Ilbo and the Chosun Ilbo in consideration of news topics. But in the way of organization of bad news, the Dong-A Ilbo used more of straight, depth and interpretive or enterprise and precision stories than the Chosun Ilbo. On the other hands, feature and investigative stories were more favored in the Chosun Ilbo.
Fifth,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news dimens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press circumstances. The shift from a controlling to alleviating press system caused a change in the news dimension: while good or neutral news has been diminished, bad news increased. And yet there appeared no difference in news topics or the use of the news source.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