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길자-
dc.contributor.author최정희-
dc.creator최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3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2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3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229-
dc.description.abstractThe high school chemical education in the fifth curriculum is so proscribed that it will be constituted classified into the TWO divisions: Off for the mere cultural education for general citizenship, and the other for the students who will major or engage in chemistry or other relative professionai occupations. In this study, first, the transitional traces of the chemical curriculum of our country were inquired into, second, the structure, content and experimental educat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Science Ⅱ' as a textbook for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cultural sciences and the 'Chemistry' as a textbook for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natural science, and, then, a comparison with the general trend of the science education if foreign countries was conducted,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3 desirable science education at the time of future curriculum revisi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upon this procedure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hemical education in he 5th curriculum is reflecti-ng the general tendency of the science education in foreign countries that pays an emphasis on understanding of the correlation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science history and science philosophy, suggesting this orientation in its educational aims and content. 2. The intention to organize textbooks classified into these for more cultural education and basic professional education is not satisfied. For, the composition of the both appeared rearly similiar to each other; the department of natural science deals with somewhat deepened contents, but, generally, there are no differences if the contents of the both; and, experimental education likewise consists of the same contents between the both. 3. If we wart likewise to have our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branched into the cultural education and the basic professional educa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science education as that for cultural accomplishment should be proposed various science curriculum-living science like a STS america's program, Science sociology, science history, and science philosophy etc.;제 5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학교육은 일반시민으로서 교양교육만을 필요로 하는 학생과 화학 또는 화학과 관련된 학문이나 직업에 종사할 학생으로 구분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화학과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보고, 교양으로서 화학을 배우는 비자연계 학생을 위한 교과서 '과학Ⅱ(하)'와 기초 전문교육으로 화학을 배우는 자연계 학생을 위한 교과서 '화학'의 구성, 내용, 실험교육을 비교한 뒤 외국 과학 교육 동향과의 비교를 통해, 앞으로 교육과정 개정시에 바람직한 과학 교육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상의 절차에 따라 이루어진 본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제 5차 교육과정에 따른 화학교육은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상호관계 이해, 과학사 및 과학철학을 강조하는 외국 과학교육 동향을 반영하여 교육목표와 내용에서 이러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2. 비자연계와 자연계 교과서의 구성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내용 비교결과, 내용에 있어서는 자연계가 조금 더 심도 있게 다루고 있을 뿐 차이가 없으며 실험교육에 있어서도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교양교육과 기초전문교육으로 구분하여 교과를 편성하려는 의도를 만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 3. 교양교육과 기초 전문 교육으로 과학교육과정이 분화되기 위해선, 교양으로서의 과학 교육 과정이 미국의 STS프로그램과 같은 생활 과학, 과학 사회학, 과학사 및 과학철학을 포함한 다양한 과학교과로 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재료 및 연구방법 = 2 Ⅱ. 본론 및 고찰 = 4 A. 고등학교 화학과 교육과정의 변천 비교 = 4 1. 편제와 단위수 변천 = 4 2. 화학과 목표의 변천 = 7 3. 화학과 내용변천 = 9 4. 제5차 교육과정에 따른 화학교육의 성격 = 10 B. 제5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학교과서의 구성 비교 = 11 1. 비자연계 6종 교과서의 구성비교 = 11 2. 자연계 6종 교과서의 구성비교 = 13 3. 비자연계 교과서와 자연계 교과서의 구성 비교 = 15 C. 제5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학교과서의 내용비교 = 17 1. 비자연계 교과서의 내용 = 17 2. 자연계 교과서의 내용 = 24 3. 비자연계와 자연계 교과서의 내용비교 = 34 D. 제5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학실험 비교 = 37 1. 비자연계 교과서의 화학실험 = 37 2. 자연계 교과서의 화학실험 = 42 3. 비자연계와 자연계의 실험비교 = 50 E. 외국 과학 교육의 동향과 제5차 화학교육 과정의 비교 = 54 Ⅲ. 결론 및 제언 = 59 참고문헌 = 62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009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육과정-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화학교과서-
dc.title제5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학교과서의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the High School Chemistry Textbooks in the 5th Curriculum-
dc.format.pageix,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화학교육분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