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대도시주변 농촌지역의 정주체계에 관한 연구

Title
대도시주변 농촌지역의 정주체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TTLEMENT SYSTEMS OF RURAL AREA IN METROPOLITAN PEREPHERY : A CASE OF KWANG-GUN, KYONGGI-DO
Authors
최희선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지리교육분야
Keywords
대도시주변농촌지역정주체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운식
Abstract
After 1960s, our country has been growing in manufacture and service industries because of concentrated investment in branch of industries that economic efficiency is very high. This resurts, after 1980s, according to suburbanization, a lively studies on the suburbs of metropolitan area have been performed. Specially rural area Seoul metropolitan periphery is mainly theme of those studies. Because this area different from another rural area in spatial. Hereupon, in this study has analysised settlement system on rural area of metropolitan periphery as case of KwangJu-Gun, Kyonggi province. This area is a influence circle of metropolitan economic growth, The focus of analysis is commercial and industrial facilities. In order to analysis, readjust theories on settlement system and collect materials data for analysis. In order to measure of a living sphereand centrality of residents in KwangJu county. This study makes inquiries on questionaires. In this study selected Davies·s location coefficient method in order to measure the centrality of KwangJu county. This method is based on basic principles that the central facilities are proportioned to population size in distribution of commodities ane services. Also, in order to analysis of location ane distribution pattern of commercial and industrial facililies are analysised as its location coefficient. Commercial and industrial facilities are located the fringes of main arterial in rural area of metropolitan periphery. A category of service is increasing its facilities for the residents and outer people. Most of industrial facilities are paltry as a small business. In a living sphere analysis, a special branch of service facilities are located at core of central area. Facilities of Ⅰ,Ⅱclass and cenvenient facilities are situated on KwangJu up(town) and each of residential area. In this way. location of facilities and settlement of a living sphere are different from another rural area. Comparing with another rural area, central area is small in number. Comoare 1971 with 1991, in 1991, Ⅳ class subdivide into Vclass. This things mean that urban functions are influxing in rural area. An investigation findings of settlement consciousness indicate that residents want to enlarge industrial zone. Also, in sector of development, residents want to detain extra-agricultural income (ex, agriculture and industry site), Like this relation to development of commerial an industrial zone. In conclusion, Settlement system of rural area on the outskirts of metropolitan is deeply relation to development of commercial and industry. Those of facilities located to fringes of main arterial and revitalized the functions of a living sphere and central hierarchy systems and that expand the peripheral villiage or extinguish the villiage itself. Also, rural area of metropolitan periphery appears the confusion of land use in accordance with unlawful divert for land use. Therefore, rural settlement system takes into considerration to the regional planning. That is coexist of urban and rural characteristics rather rural itself.;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급속한 도시화와 더불어 경제구조는 투자효율이 높은 산업에 집중투자함으로써 제조업과 서비스산업 부문이 급성장해 오고 있다. 이에 따른 결과로 1980년대 이후 교외화가 진행되면서 대도시 근교지역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서울주변의 농촌지역은 공간적으로 사회경제적 성격이 일반농촌의 경우와 매우 상이하게 나타나 주요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영향권내에 있다고 생각되는 경기도 광주군을 사례로하여 상·공업 시설에 초점을 맞추어 수도권주변 농촌지역의 정주체계를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정주체계에 관한 제 이론들을 살피고 각종 자료의 통계치를 정리했으며 광주군 주민의 생활권과 중심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광주군의 중심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avies 입지계수에 의한 기능지수법을 채택했는데 이 방법은 재화와 서비스의 배분에서 그 자체가 중심적인 각 시설물이 서비스되는 인구수에 비례한다는 기본원리에서 출발한다. 또한 상·공업시설의 분포 및 입지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입지계수(IQ)를 구하여 서비스업과 공업시설의 특화정도를 알아보았다. 수도권주변 농촌지역의 상·공업시설은 대부분 도로변에 입지하는데 서비스업은 근린주민을 위한 시설과 외지인을 위한 시설이 함께 증가하며, 공업시설은 대부분 영세군소업체를 나타났다. 생활권 분석에 있어서는 전문성을 요하는 서비스 부문에서 고차중심지를 이용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1,2 계층의 시설과 편익시설은 광주읍 소재지와 거주지내 시설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시설의 입지와 생활권 분석에 따른 정주체계도 일반농촌의 경우와 다르게 나타났다. 그 중의 하나가 1,2계층의 격차와 동일계층내 면소재지들의 중심기능보다 높거나 차이가 거의 없는 마을이 다수 나타나고 있는 점이다. 또한 중심지 수가 타지역에 비해 적게 나타나며, 71년에 비해 91년에는 4계층이 복잡하게 세분화되고 5계층까지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는 전반적으로 도시적 성격이 유입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주민정주의식조사에서도 읍면발전방향에 대한 응답에 43%정도가 공업지역을 원했으며, 우선개발부분에 대해서도 농외소득(공장유치 등)의 개발이 33%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상공업지역으로 발전하기를 원한다는 응답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수도권주변 농촌지역의 정주체계는 상·공업 발달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상·공업시설은 도로변을 중심으로 선상으로 나타나며 수도권주변지역의 중심지 계층과 생활권의 기능을 활성화 하였고, 주변마을들을 확대하거나 마을자체를 소멸시키기도 했다. 또한 토지의 불법전용 등으로 토지이용의 무질서를 대두하게 되는데 이러한 여러 가지를 감안하여 농촌계획적 입장보다는 도시-농촌적인 성격이 공존하는 지역특성을 감안하여 농촌정주체계를 바로 잡아햐 한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