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9 Download: 0

朝鮮時代 後佛壁裏面 白衣觀音圖에 對한 硏究

Title
朝鮮時代 後佛壁裏面 白衣觀音圖에 對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white clothe Kwanhum painting
Authors
오세례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조선시대후불벽이면백의관음도미술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명대
Abstract
白衣觀音이 成立될 수 있었던 白衣에 對한 觀念은 大乘以前 「長阿含經」 第八 "□陀那經"에서 부터이다. 이 白衣를 觀音이 입을 수 있었던 것은 觀音이 方便의 根機에 따라 應現身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 보여진다. 이러한 觀音은 귀히 숭상되는 白蓮華에 白衣를 입고 住處하게 되어 白衣觀音이라 일컬어진다. 이들의 典據는 「大日經疏」 「阿利多羅陀羅尼經」 「不空□索陀羅尼經」 「白衣觀音神呪」 등에 있다고 보여지는데, 그 信仰은 治病, 延命 旅行 送子 등의 대상으로 발달한다. 중국에 소개된 백의관음의 백의는 보살상의 한 변화요소로서 繪畵에 導入되어 菩薩衣의 한유형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圖像은 水月觀音圖像에 白衣를 입히는 圖像으로도 나타나는데 禪墨畵로도 대단히 발전을 보게된다. 특히 고려에 와서 獨創的인 투명사라의 觀音과 阿彌陀의 脇侍로서 白衣의 觀音이 나타난다. 朝鮮時代에 와서는 寺刹 主殿 本尊 佛壇兩高柱間壁裏面에 白衣觀音像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는 白衣觀音이 白衣觀音으로서만이 아니라 모든 觀音을 대신한다고 보여지므로 중대한 변모라 생각된다. 寺刹의 主殿閣 本尊이 적어지고 光背도 없어지면서 兩高柱를 세워 壁을 설치하고 後佛壁畵와 그 裏面에 觀音圖가 생기게 된다. 특히 1430年에 지어진 無爲寺가 계획에 없었던 兩高柱를 세우고 壁을 쳐서 1476年 무렵 後佛壁畵를 그렸다. 이때 裏面에 그려진 것이 白衣觀音圖이다. 이것은 비슷한 시기에 1484年 瑞山 開心寺 大雄難 또한 유사한 高柱壁을 設置하고 지금은 없어졌으나 白衣觀音圖가 있었다고한다. 全山寺의 大寂光殿의 後佛壁裏面觀音圖는 종교화라기 보다는 일반적인 감상화라고까지 할 수 있다. 그리고 威鳳寺 白衣觀音까지는 立像의 표현이라고 할수 있다. 來蘇寺는 座勢, 興國寺는 半跏座의 像으로 나타난다. 모두가 각기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時代, 地域, 金魚에 따른 화풍의 差異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전각 후불벽 이면의 백의 관음도 양식은 당시 불화의 양식적 특징과 비교될 수 있다. 곧 같은 시대의 관음도 양상을 전각 후불벽 이면의 백의관음도를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고 하겠다.;Kwanhum dressed in White Clothe (白衣觀音) ground on the Esoteric Buddhism Scriptures (密敎經典) and a concept of White Clothe had existed long before. Especially in China, a new element to bring change to Bodhisattva come in , which assumed an aspect of paintings . But there was not a special research on Kwanhum dressed in White Clothe. The concept of White Clothe in Kwanhum dressed in White Clothe arose from Chapter 8, "San-Ta-Na Sutra" in Dish-Agama-sutra (長阿含經) before Mahayana Buddhism. It seems that Kwanhum dressed in White Clothe was able to dress the white clothe because of nirmana-Kaya (應化身) according to suitable to individual character and ability of Upaya(方便). And it is located in White lotus and revealed in each iconographics. In the East of China, Zen China Ink Painting (禪墨化) developed rapidly into a iconography, which is compounded a mold. Human beings prayed to Kwanhum for a long life free from diseases , sending Sons Matsu, an image displaying the beginning Of the world. The great Saint dressed in White Clothe stands for Kwanhum. In Korea, the statue of Kwanhum dressed in White Clothe existed and the belief of Kwanhum dressed the Original Kwanhum dressed in transparent calica and White Clothe from 'coming iconography' and the Western Paradise of Amitabha (西方淨士) in the Koryo period. In Choson Dynasty, a halo of Buddhist image in the main shrine of a temple has faded out after all . It was Kwanhum dressed in White Clothe that has been painted on the wall behind Buddha instead of the halo. Kwanhum dressed in White Clothe (白衣觀音) paintings in many famous temples will be explored and verified by several examples of other Kwanhum Paintings in the same temple or at about the time . The Painting of Kwanhum dressed in White Clothe behind Buddha Image has been one of the most peculiar parts in Korea. It is valuable and important in these respects of Kwanhum Belief Buddhist Temple and the history of Buddhist Art for me to study on the Painting of Kwanhum dressedin White Cloth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