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0 Download: 0

人體의 形象性에 관한 繪畵的 表現 硏究

Title
人體의 形象性에 관한 繪畵的 表現 硏究
Other Titles
Study on Artistic Expression of Human Figure
Authors
朱惠贊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Keywords
인체회화적 표현누드형상성동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덕혜
Abstract
Since the dawn of civilization, the human being has been given the greatest weight in the motif of civilization. " The human being" that is common. simple. and easily approachable has been the steady object of concern in the every field of art. Today when the numerous picture styles about countless subjects coexist together, many painters make attempts at modernistic expression of human figures by new formative languages through steady studies and various experiments. In the west, they expressed a human body itself as a beautiful subject in their fundamental desires to revive human activities, brought forth the diversified canons of drawing as an object for persuit through a history. and a human figure has been diversely studied by the peculiarity of the times and painters. In the Orient, they put emphasis on the creation of supernaatural ideal in a figure painting, and this ideal was abstractly expressed sometimes with a real body or its comparison. What was more important in an oriental art would have been the beauty of ethics and morals rather than that of human bodies. To be sure, the most developed style in an oriental art was a figure painting and it reached the peak in a theoretical support of portrait grade at the Tang age. However. a reverence for the nature since ancient primitive ages developed " mountains and waters" and "flowers and birds", which were no more than scenes in figure paintings oneday, as their own genres, and a figure painting began to be on the downgrade. Later, a demoratic image of human-being appeared according to the popularity of a genre painting at the " Kim, Hong-do and Shin. Yoon-bok" ages which had approached modern senses. For a while, a landscape had been the main stream. The traditional painting circles. however, had got to study new expressions after the loss of national right and the star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ccording to the emphasis of the spirit of the times the subject itself became to have a reality and an appropriate expression techniques should have been explored. Such tendency have had not only a landscape but also a figure painting greatly change eventually. In case of a nude, western people picked it up as a subject and expressed overwhelmingly a lot in paintings or sculptures. But relatively, a nude in the Orient had great difficulties in its development due to the influence of oriental ethics, morals, and rules. Even in the modern art, a nude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an a costume picture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Therefore, it is urgent to explore new subject and technique of a nude and I think that a broader study of a figure painting is necessary out of the restricted characteristic of a figure painting. Thus far, I would like to present the new possibility of Human Figure by newly interpreting a figure of a human-being subjectively throughout writing out this thesis. In selecting a nude, I considered it an implied object of the abundant principles and elements of formativeness instead of considering it just a tender and weak woman body. through this thesis, I would have intended to explore the new expression method and the diversification of an angle of view to approach a nude in an oriental painting by realizing the inside of an object and seeking the new order and method of the formativeness and all these works would be accomplished by my subjective expression of a new image of a nude and its modernistic figure.;인류의 문화가 발생한 이래 그 문화속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온 것이 바로 인간을 주제로 한 것이다. 흔하고 단순하며 쉽게 접근할 수 있는 '人間'은 모든 예술분야에서 꾸준히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무수한 소재와 그에 따른 수많은 회화양식이 공존하는 오늘날, 많은 작가들이 인물화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다양한 실험으로 새로운 조형언어에 의한 현대적 인물표현을 시도하고 있다. 서양의 경우, 인간의 활동을 재현하려는 원초적인 욕구를 가지고 그 자체를 아름다운 주제로써 인체를 표현했고 역사를 통해 탐구의 대상으로 다양한 畵法을 낳게하는 母體가 되어, 인물의 형상은 시대적 특성과 작가의 개성에 따라 다각적으로 연구되어졌다. 동양에서의 인물화는 超自然的인 理想의 창조에 중점을 두었고 그 理想은 가끔 실제 신체나 그 신체의 비례에 있어서 추상적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동양 미술에서 중요한 것은 인체의 아름다움보다는 倫理道德의 아름다움이었다. 물론 古代 동양화에서 가장 발달한 것은 인물화였으며, 人物畵品論이 이론적 받침이 되어 唐代에 절정을 이루었다. 그러나 古代 原始時代부터 시작된 자연에 대한 敬畏感으로 인물화의 배경처리에 불과하던 山水, 花鳥가 각각 나름의 쟝르로 발전하면서 인물화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는 이조 중기에 이르러 풍속화가 유행하면서 平民的 人物像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후 산수화가 주류를 이루다가 國權이 상실하고 일제의 식민지 통치가 시작되면서 傳統畵壇에서는 새로운 표현을 연구하게 되었고, 시대정신을 강조하면서 소재 자체도 현실성을 띠게 되었으며, 그에 따른 적절한 표현 기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산수화 뿐만아니라 인물화에서도 큰 변화를 일으키게 하였다. 그러나 누드의 경우, 서양 사람들이 그림이나 조각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소재로 삼아 표현해 온데 비해 동양화의 누드는 倫理道德과 規範의 영향으로 그 발전이 어려웠다. 현대 미술에서도 누드화는 costume畵에 비해 質的, 量的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많은 연구와 새로운 기법의 모색이 시급하며, 제한된 인물화의 성격에서 벗어나 좀 더 폭 넓은 인물화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本人은 本 論文의 작업과정을 통해 인물의 형상을 주관적으로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인물형상성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인이 누드를 선택함에 있어서, 누드를 부드럽고 연약한 여체로만 보지 않고 풍부한 조형의 원리와 요소가 함축된 대상으로 보았다. 본인은 작업과정을 통해 누드의 새로운 이미지 표현과 현대적 형상성을 주관적으로 새롭게 표현함으로써, 대상의 내면성을 인식하고 조형상의 새로운 질서와 방법을 모색하여 동양화에 있어서 누드에 접근하는 시각의 다양성과 새로운 표현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