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동사이동의 제약에 관한 통사적 연구

Title
동사이동의 제약에 관한 통사적 연구
Other Titles
(The) Syntax of Verb Movement in English
Authors
趙晟恩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Keywords
동사이동영문학이동이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혁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동사이동의 계약과 관련하여 다음의 세가지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첫째, 동사이동의 제약에 관한 언어간의 차이는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 UG)의 원리 체계안에서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가? 둘째, 문장부정이 나타날때 동사이동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이때 부정요소가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영향을 미친다면 어떠한 것인가? 세째, 부정문의 동사이동과 관련하여 영어에 나타나는 개별 언어적 특성인 do의 삽입은 설명될 수 있는가? 동사이동의 계약에 관련하여 영어와 불어간에 발견되는 어순의 차이를 명시적 구조(overt syntax)에서 일어나는, 굴절의 형태론적 처리과정의 여러 유형에 의해 설명하려는 입장이 있었다. 이것이 과거의 이동 이론에 의한 접근법이었다. 그러나 근래에 이러한 동사의 핵이동이 굴절요소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 아니고 단순히 동사가 어휘부에서 인출될때 선택되어 나온, 자질들의 형태론적 점검을 위한 것이라는 점검 이론이 대두하였다. 그 대표적 견해가 Chomsky(1992)의 최소이론이다. 본 논문에서는 점검 이론에 의한 접근법이, 이동 이론에 의한 접근법인, Pollock(1989)의 접근법이나 Chomsky(1988)의 접근법 보다 더 극대화된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 이유는 이동 이론에 의한 접근법에서 채택하고 있는 다음의 원리, (ⅰ) 접사이동 (ⅱ) 동사이동의 제약원리로서 공범주원리에 의존하지 않고 (ⅲ) 경제성 원리 (ⅱ) Agr의 동사자질의 강도만으로 동사이동과 그에 관련된 [동사 + 부사] 또는 [부사 + 동사]의 어순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공범주원리를 보편문법의 원리에서 제거하였다는 것은 그에 따른 보조개념들(지배, 차단범주, 의미역지배, 선행사 지배)의 제거를 가져왔다. 이는 Chomsky(1992)의 최소이론이 거둔 이론적 개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단순성 척도(simplicity metric)이나 영가설(null hyphothesis)에 접근하고자 하는 것이, 현대 문법 이론의 경향이고 이것이 학문연구의 당연한 귀결임을 볼 때, 최소이론은 이러한 측면에서도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부정어가 나타나는 동사이동의 계약현상에 관해서는 Chomsky(1988)과 Pollock(1989)의 공범주원리에 근거를 둔 분석이 단연 경험적 자료의 처리에 있어 우월하다. Laka(1990)은 시제성분통어조건이라는 문법에 별도의 조건을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Chomsky(1988)의 공조 없이는 모든 자료를 처리하지 못한다. 상대화된 최소성이론을 근간으로 삼는 Ouhalla(1990)의 경우, 분석의 근간이 되는 이론이 공범주원리 부문에서, 앞선 Chomsky(1988)과 Pollock(1989)의 접근보다 이론적 우위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경험적 자료의 처리에 미흡하다. Pesetsky(1989)의 시도는 Chomsky(1988)의 경제성 원리가 갖는 이접성을 피하고자, 하나의 통합된 선응원리 (Earliness Principle)를 제시하였으나, 실제 자료의 분석에 미흡함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Pollock(1989)과 Chomsky(1988)이 경험적 자료의 처리에 있어 단연 우월한 반면에 앞서 제기한 바와 같이 너무 많은 가설과 보조원리를 통해 분석을 꾀하고 있는 것이 문제라 하겠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과 아울러, 최소이론이 갖고 있는 문제가 없는지 고찰하기 위해 부정어가 나타나는 시제절의 동사이동문제에 최소이론을 적용해보았다. 이는 주로 앞서 제시한 둘째, 세째의 문제에 대한 해답과 직결되는 것인데 둘째 문제에서 not은 동사가 어휘부에서 인출될때 함께 선택되어 나오는 동사복합체의 구성요소가 아니므로 점검을 위한 핵이동에 있어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최소이론의 입장이라 하겠다. 즉 NegP의 핵위치는 동사가 점검을 위해 이동하는 위치가 아니기 때문이다. 세째, 부정문의 동사이동과 관련하여, 최소이론에 의한 접근법에서는 do를 어떤 작용의 결과로 도출의 중간에 삽입된다고 보지 않고 어휘부에서 인출되는 항목으로 보았다. 이러한 최소이론의 확대적용은 부정어가 나타나지 않았을 때의 시제절에서 동사이동의 제약문제를 해결할 해 보여 주었던 최소이론의 우수한 설명력에 다소 떨어지는 면모를 보이고 있다. 그 예로, 부정문의 동사이동에 있어 not과 never가 보여주는 차이, 부정문에서 do와 조동사가 함께 나올 수 없음을 설명하지 못하는 사실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계기는 최소이론의 폐기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이러한 단점의 극복을 통해 최소이론이 핵이동 현상의 설명을 위해 보다 나은 이론이 되기 위한 방향을 계시하기 위함이다. 최소이론이 그 소개의 첫 단계인 만큼 이 이론이 갖고 있는 문제점으로 인해서 과거이론으로의 회귀나 이 이론의 이론내적인 진위를 논하는 것은 성급한 처사이다. 최소이론의 문제점을 보안하고, 언어의 본질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론으로 거듭나는 데에 있어서 하나의 방향을 계시하고자 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하겠다.;This thesis examines the principles governing the verbal inflection in regard to the articulated phrase structure. This study is very significant because by analyzing studying it, we can explain many phenomena such as the morphological process in verbal inflection and the relative orders between verb and adverb, Since Emonds(1986), many previous analyses of verbal syntax have made great contributions because they showed us that the morphological process in verbal morphology was based on syntactic rul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the phenomena on verbal movement and its morphology with a more explanatory analysis. For this purpose, the problems that we have to solve are as follows (ⅰ) differences of verb movement among languages. (ⅱ) the effect on verb-movement by negative element such as not, and Pas. (ⅲ) do support which is concerned with the restriction of verb movement. First of all, we can divide the present approaches into two kinds of approach Movement Theory-based Approach, Checking Theory-based Approach. Pollock(1989) and Chomsky(1988) belong within the framework of Movement-theory based approaches. The latter appeals to the Principle of Economy, ECP and Lasnik's Filter with regard to the English-French word order variation which results from the difference of verb movement. The former focuses on the tension between Quantification theory and Theta Theory. However these approaches are problematic because they accept many principles, assumptions and auxiliary hyphotheses throughout the analyses in contrast to them, the checking based approaches provide a more explanatory analyses for these phenomena. Chomsky(1992)'s minimalisty theory is representative in these currents. It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only with conceptually necessary grammatical levels and the minimum principles of Economy. The solution regarding (ⅱ) and (ⅲ) is mainly argued in the third and the forth chapters. Chomsky(1988) and Pollock(1989) explains the restictions on verbal movement in tensed clause with negative elements by appealing to ECP. They give a clear answer about many situations concerned with these topics. In spite of the explanatory power. we must consider the theoretic problems which result from many redundant principles, unnecessary grammatical levels and the disjunctiveness of the ECP. Ouhalla(1990), Laka(1990), Pesetsky(1989) are inferior to the previous analyses in explaning the data presented. Consequently, we can extend the minimalist theory to the problem concerned with verb movement in negative clause. To our disappointment, the miniamlist theory does not show as clear analysis as it did about the restrictions on verb movement without negative marker. However, this fact doesn't mean that the minimalist theory is useless. The realization of problem such as this can give a good oppurtunity of elaborating this theo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