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호성희-
dc.creator호성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4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8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1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808-
dc.description.abstract현대 다원주의적 예술의 측면에서는 어떤 재료를 사용하든지 예술가의 자기정체성은 그의 작품에서 보여 진다. 조형예술에서 예술가의 정체성은 시각적 양식에서 찾을 수 있다. 시각적 양식에 표현된 것의 기본적 계기는 예술가의 예술의욕(Kunstwollen)으로 부터 나온다. 이 예술의욕이 본질적인 것을 추구하고자함을 추상충동이라 한다. 추상충동은 20세기 초반의 조형예술가들의 조형하려는 의지와 결합되어 조형예술가들의 독자적 양식에 따라 다양한 표현방법을 보여 주었으며, 회화가 색과 형의 시각적 질서를 보여 주는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본 연구자는 서예양식을 통해서 추상충동, 즉 정신과정으로서 추상행위를 표현하고자 한다. 동양에서는 서예가 개인의 심신수양의 정도를 가늠하는 척도인 만큼, 서예양식은 정신의 내적 과정을 외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본 연구자는 서예양식에 의한 추상행위 표현의 장으로서 견섬유에 착색발염법(着色拔染法)을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몇가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서예양식에 의해 표현되어진 추상행위는 서예양식의 일회적이고 순간적 성향으로 하여 우연성을 가진다. 그러나 추상행위가 본래 합법칙적 성격을 가지므로, 서예양식에 의한 추상행위의 표현에서 의도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다. 오히려 서예양식은 우연을 뚜렷이 반복하여 필연에 다다르는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조형의 양식은 물질에 표현되며, 물질은 정신 표현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물질 스스로를 드러 낸다. 따라서 물질과 정신은 유리될 수 없으며, 이 둘의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표현은 예술가 개인의 독창적 일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는 추상표현의 기본적의도가 본질추구였으므로, 본질로서의 실체를 제시하고자 견섬유의 질감을 살리고자 하였다. 견섬유 자체의 물질감을 주장함으로써 가시적 효과뿐 아니라 실체적 표현을 주장하고자 한다. 그러나 실체표현으로서 물질감의 표현보다는 정신과정으로서 추상행위의 표현이 보다 어려운 과제였다. 본 연구자의 조형표현을 위한 앞으로의 작업에서 재료연구와 추상행위의 합법칙적 형식과 질서에 대한 계속적 연구가 요구된다.;In the present pluralistic art scene, the self-identity of an artist is seen through one's work, whatever material one is using for one's work. In the plastic art, the self-identity of an artist is found in the visual mode. The basic motive of what is expressed in the visual mode comes from the artist's willingness towards the art(Kunstwol1en). This artist's willingness towards the art trying to pursue the essence of the things is called abstract impulse. The plastic artists in the early 20th century with their willingness to do formation combined with this abstract impulse showed the various expression methods in their peculiar expression mode, and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painting would be the one which can show the visual order of color and style. I tryed to express my abstract impulse - the abstract act through mental process - through the calligraphic styles. In the East, the calligraphy is thought to be the measure which can measure one's mental accomplishments and the calligraphic styles to be the possibility to express one's internal spiritual accomplishments outwards. I studied the discharging dye method on silk as a way to express my abstract act and could come to several conclusions. Firstly, the abstract act expressed by calligraphic styles has the contingent propensit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y itself, which is done by just one-time and momental action. However, since the abstract act is thought to work under a certain kind of logics in its essence, the intential propensity can't be disregarded in the abstract act through calligraphy. The calligraphic style makes it possible to reach the intentional expression through the accidental and momental repetition. Secondly, the style of the formation, which would be through with mental action, is expressed with material, and so the material, exposing itself, is also can be regarded to play the role of the mental expression. Accordingly, material and spirit can't be seperated, and it's through with creative work by artists to keep harmony and balance between each other. Lastly, I tryed to stress on the texture of silk as a means to suggest the substance as its essence since my basic intention of abstract expression was for the pursuit of essence. By insisting on materialistic feeling of silk, I tryed to find not only the visual effects but also substantial expression of it. However, I found it was more difficult task to express my abstract act as the mental process than to present materialistic feeling as the substantial expression. In my future work for the plastic expression, the continued study on the materials and the logical form and order of the abstract act seem to be requi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 1 C. 연구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조형의지의 대두 = 3 B. 조형양식으로서 추상 = 5 C. 추상행위과정에 의한 조형 = 7 D. 서예양식에 의한 조형표현 = 8 E. 추상행위와 물질표현 = 10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12 A. 형성과정 = 12 1. 서예적 표현 = 12 2. 색채표현 = 15 3. 화면에서의 물질감 표현 = 16 B. 제작과정 = 17 1. 염색기법과 재료의 특징 = 17 a. 착색호방염 = 17 b. 착색발염 = 17 c. 호료 = 18 d. 발염제 = 19 e. 본 연구자의 호료를 이용한 염색에 필요한 조제 = 20 2. 재료의 준비 및 작업과정 = 20 a. 천 = 21 b. 염료 = 21 c. 색호 = 21 d. 착색발염호 = 22 e. 작업과정 = 22 C. 작품분석 = 24 Ⅴ. 결론 = 45 참고문헌 = 47 ABSTRACT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965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추상행위-
dc.subject조형표현-
dc.subject생활미술-
dc.subject미술학-
dc.title추상행위(抽象行爲)의 조형표현(造形表現)-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PLASTIC EXPRESSION OF THE ABSTACT ACT-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활미술학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