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정문-
dc.contributor.author선우수미-
dc.creator선우수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2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8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0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828-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analyzes to compare the contents of the Korean, Japanese, and American textbooks with each other in the meteorological and oceanographical field of the earth science. This examination may be useful to revise Korean textbooks in earth sciences in the future. Two American textbooks, respectively pressed in 1981 and 1987 provide the least amount of information in the content of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while the amounts of information in the Korean and Japanese textbooks are almost equal. The Korean and Japanese textbooks emphasize the section of 'air's circulation' assigning more number of pages. However, the emphasis American textbook (1987) is put on the section of 'ocean and current'. The kinds of experiments in Korean textbooks are similiar to those in Japanese textbooks bu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American textbooks. The largest portion of the total number of experiments is in the area of 'air's circulation' in the Korean and Japanese Textbooks, while the area of 'ocean and current' has the largest portion in American textbook in 1987. In addition, the field of 'experimental observation' shows the highest weight in the experimental area of all textbooks. Korean and Japanese textbooks include more figures than American textbooks. American textbooks, however, include more photographs, questions and less graphs than Korean and Japanese textbooks. The number of table is smaller than that of figures or photographs or graphs in all the textbooks. According to T, F value by Romey method, American textbook (1987) has a tendency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more participation than Korean and Japanese textbooks, leading to their interests and motivation.;본 연구는 현행 사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과학 I (하), 지구과학 교과서 각 5종과 미국, 일본의 지구과학 교과서에서 특히 기상과 해양학 영역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를 통해 앞으로 있을 우리나라 지구과학 교과서의 개편이나 편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1. 3개국 교과서의 기상과 해양학 영역의 내용을 비교해 본 결과 미국 교과서의 경우 대체로 우리나라 교과서에 비해 누락된 내용이 더 많으나 날씨와 기후 분야, 해양과 해류 분야에서는 추가된 내용이 더 많다. 일본 교과서는 대체로 우리나라와 공통적인 내용이 많으며 해양학 영역은 누락된 내용이 더 많다. 2. 각 분야별 내용의 비중은 우리나라와 일본은 대기의 순환 분야 (한국 38.6%, 일본3 6.1%)에서, 미국은 모두 해양과 해류 분야(1981년판 교과서 36.7%, 1987년판 42.6%)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내었다. 3. 우리나라와 미국의 교과서에서는 실험 내용이 대체로 다르며 일본의 경우는 우리나라와 실험 내용이 유사하다. 4. 실험의 비중은 우리나라와 일본은 대기의 순환 분야(한국 45.7%, 일본 37.5%)에서, 미국은 1981년판 교과서는 날씨와 기후 분야(33.4%)에서, 1987년판 교과서는 해양과 해류 분야(38.5%)에서 가장 놓았다. 5. 실험 영역별로는 3개국 모두 실험 관찰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비중(한국 65 7%, 일본 57.1%)을 차지하나 미국의 경우는 1981년판에서 55.6%, 1987년판에서 30.7%로 감소되어 한 영역에 치우치는 경향이 약화되고 전 영역에 걸쳐 다양한 형태의 실험들이 포함되어 있다, 6. 자료 구성에서 우리나라와 일본의 경우는 사진의 수에 비해 그림의 수가 많은 반면 미국의 경우는 그림의 수에 비해 사진의 수가 더 많다. 또한 표의 수는 3개국 모두 대체로 적은 편이며, 그래프의 수는 미국이 우리나라와 일본에 비해 훨씬 적으나 문제의 수는 3개국 중 가장 많다. 7. Romey 법의 T와 F값에 의하면, 기상과 해양학 영역에서 1987년판 미국 교과서는 그 평균값이 0.43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높아 학생들의 학습활동 참여를 비교적 높게 포함한다. 또한 T와 F의 평균값은 우리나라 (0.18)와 일본 (0.14)의 교과서가 교사 중심 주의의 주입식 내용을 더 많이 포함한 교과서임을 보여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자료 및 연구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본론 및 고찰 = 6 A. 지구과학의 영역별 비중도 = 6 B. 기상과 해양학 영역의 내용 비교 분석 = 13 C. 실험에 대한 비교 분석 = 41 D. 교과서의 자료 구성 비교 = 55 E. Romey법에 의한 교과서의 비교분석 = 57 Ⅲ. 결론 = 62 참고문헌 = 65 부록 = 68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621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미국-
dc.subject일본-
dc.subject지구과학 교과서-
dc.subject기상-
dc.subject해양학-
dc.title한국, 미국, 일본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중 기상과 해양학 영역의 학습 및 실험 내용의 비교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the Earth Science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of High School Textbooks in Korean, Japan and U.S.A.-
dc.format.page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지구과학교육분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