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귀윤-
dc.contributor.author오세분-
dc.creator오세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0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0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0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022-
dc.description.abstract교과서 중심, 교사중심, 내용암기에 치중한 주입식 일제 수업형태가 오랫동안 비판되어 오면서 일부 일반학교는 획일성을 탈피, 아동들 본래의 자주성을 존중하고 개개 학생의 흥미와 요구에 맞는 교육을 하고자 하는 새로운 교육방법 모색의 움직임이 열린교육을 통해 이루어져 왔었다. 학급단 인원수가 점차 감소 추세에 있어 그 적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열린 교육에의 교육계 관심이 고조되어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린 교육에 대한 이론적 연구나 실제적 연구가 아직은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열린교육 실시의 가능성이 확대되어 가는 시점에서 현재 행해지고 있는 열린교육 운영에 대해 교사와 아동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열린교육의 효과, 시행상의 문제 및 개선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실정에 보다 알맞은 열린교육 교수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열린교육에 참여 경험이 있는 48명, 열린교육 경험을 가진 아동 105명을 대상으로 열린교육 운영에 인식과 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열린교육 운영에 대한 교사·아동 두 집단간 인식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증을 하였으며 각각의 집단에만 해당하는 문항은 의견 빈도상의 집중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를 산출, 백분율로 환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A. 열린교육 운영에 대한 인식 1. 아동의 역할, 학습환경, 교수방법, 평가, 아동의 집단구성,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비교에서 교사·아동간에 많은 인식의 차이(전체 33문항 중에서 17개 문항에서 유의한 차가 있었음)가 있었다. 또한 평균에서는 아동의 반응이 교사의 반응보다 긍정적 이었다. 2. 교사의 역할면에서 환경의 구성자, 교수자, 동료교사의 협동적 작업, 전문가로서 성장을 위한 개인적 노력에서는 긍정적 답변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록자의 역할'은 충분하게 하고 있지 못하다는 부정적 인식의 답변이 31.3%나 되었다. 3. 교사를 중심으로한 일방적 지식 전달을 배제하고 피교육자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는 데서 열린교육에로의 교수방법 개선에 대한 교사의 반응이 매우 긍정적이었다. 4. 열린공간보다는 교사의 열린교육 실천의지가 더 중요하며 기존구조에 알맞게 충분히 실시할 수 있다는 내용이 많았다. 한편 열린공간이 꼭 필요하다고 한 이유로는 자료이용과 정보교류에 더욱 편리하다는 지적이 가장 많았다. 5. 열린교육의 전망에 긍정적 반응을 한 경우는 68.2%로 부정적인 것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긍정적 이유로는 미래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인간상을 키우기에 바람직한 교수방법이며 획일화 탈피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라는 지적이 많았다. B. 실태 및 개선방안 1. 열린교육의 긍정적 효과로 교사는 '적극적이며 자율적인 문제해결 능력의 증진, 능력에 따른 학습지도 가능, 아동의 책임감, 협동심, 사회성, 창의력, 표현력 발달'을 뽑고 있으며(전체 77.6%) 아동은 '자유스럽게 활동 할 수 있는 점, 학습자료가 풍부해서 공부에 도움이 된다는 점, 능력에 맞는 개별지도를 받을 수 있는 점' 등을 열린교육공부방법의 좋은 점으로 지적하였다. 2. 열린교육에 대한 아동의 선호경향이 매우 긍정적이었으나 '진학 후 적응을 하기 위해서"라는 것도 10.7%나 되었다. 3. 열린교육 시행상의 문제점과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이 교육환경, 평 가, 교사, 아동, 학부모, 기타 측면에서 제시되었다. 다양한 교수자료의 부족, 과다한 학급인원수, 결과 중심적인 기존 평가방법의 계속적 사용, 자료 제작 및 개발문제, 아동의 규율훈련, 열린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이해부족, 그 외 관리자들의 편견, 4년마다 순환근무로 인한 연구 활동의 계속적 진행이 어렵다는 것 등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점차적인 학급인원수 경감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전문기관에 의한 기준화된 평가척도의 개발, 자료제작 및 개발을 하는 전문연구기관의 활성화, 지속적이며 일관성 있는 아동의 규율훈련, 정기적인 학부모 교육, 열린교육 적용 학교간의 정보에 대한 활발한 상호교류 등이 제안되었다.;Expository teaching method has long been criticized by educators and concerned people. As the results, open-education program came to the ore as an alternative to such a stereo-type teaching strategies. In Korea, a movement of class-size reduction is bringing a possiblity of open-education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school for an effective teac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 problems and issues related to practices and management of open-education and ways to improve it's effectiveness. Forty-eight(48) teachers and one-hundred-five(105) childre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their experiences with open-education. their perception and opinions were gathered and tabulated for analyses. Main focus of the statistical analyses was on the fi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regarding the their perception and opin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A. Perception of Open-Education 1.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participated groups in perception of students role, learning environment, teaching method evaluation, grouping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2. Both groups favored teachers roles in open space education such as positive involvement of preparing teaching materials, professional improvement and communication between fellow teachers. 3. The program was favored by the teacher group for inducing the student to play a positive role in learning activities 4. In open education system, teachers intention of the practice was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open space itself. B. practices and Ways to Improvement 1. Teachers pointed out the following as the advantages of open education: improvement of positive and autonomous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operation, social activity, creativity, ability of expression on the part of students. 2. Open education was prefered to tradition teaching method by the students. 3. Learning environment, evaluation and roles of various concerning groups were pointed out as the areas to be considered for improving effectiveness of open education. The follwing were also found as the related problems and issues needed to be in 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 large ciass-size, summative evaluation system, childrens discipline, negative supports from parents and viased views of some administrative people against the progra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설 = 1 B. 연구문제 = 5 C. 연구의 제한점 = 6 Ⅱ. 열린교육의 개념 = 7 A. 열린교육의 정의 = 7 B. 열린교육의 특징 = 10 C. 열린교육의 운영 = 18 D. 선행연구 = 30 Ⅲ. 연구방법 = 37 A. 연구대상 = 37 B. 연구도구 = 38 C. 자료처리 = 40 Ⅳ. 결과 및 해석 = 41 A. 열린교육 운영에 대한 인식 = 41 B. 신태 및 개선방안 = 58 Ⅴ. 요약 및 결론 = 70 A. 요약 = 70 B. 결론 = 73 참고문헌 = 74 부록 = 79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160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국민학교-
dc.subject열린교육-
dc.subject운영-
dc.subject실태-
dc.subject.ddc300-
dc.title국민학교에서의 열린교육 운영에 대한 인식 및 실태·개선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Implementation of Open-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c.format.page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