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1 Download: 0

제 5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 과정에 대한 고찰과 고입 선발 고사 국어과 문항 분석

Title
제 5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 과정에 대한 고찰과 고입 선발 고사 국어과 문항 분석
Other Titles
(A) Research On the Investigating the 5th Education Course of the Korean Language for Middle School and Analyzing the Questions of the High School Entrance Qualifying Exams
Authors
楊惠景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중학교국어과 교육 과정고입 선발 고사국어과 문항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호
Abstract
본 연구는 1988년 3월 1일부터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는 제5차 교육 과정의 중학교 국어과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을 고찰하여, 이를 기준으로 삼아 1989학년도부터 1992학년도까지의 고입 설발 고사 국어과 문항을 교육 과정의 국어과 교육 목표, 이원 목표 분류, 교과서 출제범위, 문항 제작의 일반적 기준에 의해 분석함으로써 고입 선발 고사 문항 제작 및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중학교 국어과 지도 및 학습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추출해 낼 수 있었다. 1. 현행 국어과 교육 과정은 학생들의 언어 기능 신장에 그 목적을 두고, 언어 사용의 과정을 중시하여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주체를 학생으로 삼았으며, 따라서 평가도 학생들의 언어 수행능력을 계발시켜 주는 것으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2. 현행 교육 과정의 중학교 국어과 교육 목표를 기준으로 선발 고사 문항을 분석한 결과, ‘국어 사용기증’의 신장에 해당하는 분야 중 <읽기>, <쓰기>의 출제 비율은 매년 높아지고 있으나, <말하기>, <듣기>영역은 아직까지 측정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어지식>은 매년 비슷한 문항수를 유지했으며, <문학>영역에서는 문학 작품의 이해와 감상에 필요한 기초지식 문항의 출제 비율이 낮아졌는데, 이는 국어과 선발 고사가 학생들의 언어 수행 능력 중에서 우선 <읽기>, <쓰기> 능력을 계발시켜 주는 평가로 전환되고 있으며, <말하기>, <듣기>영역 중에서 최소한 <듣기> 영역에 대한 평가가 고입 선발 고사에서 시행되어야 함을 나타내 주는 것이라고 보겠다. 3. 국어과 교육 목표의 내용 영역과 행동 영역을 바탕으로 이원 목적 분류표를 만들어 분석하였는데, <지식>, <이해>, <적용>, 정의적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이 알맞게 분포되어 국어 교육이 단편적인 지식을 측정하는 교육에서부터 점차 벗어나 학생들의 이해력과 적응력을 신장시키는 교육으로 지향되어야 함을 나타내 주었다. 4. 각 문항과 지문을 학년별 교과서 출제 범위에 따라 살펴보니, 학년별 출제 비율이 10:20:70으로 입시 요강에 제시된 수준으로 나타났다. 장르별 출제 비중은 실용문 보다는 예술문이, 운문보다는 산문이 많이 출제되었으나, 운문은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단원 비중에 비해 많은 문항이 출제되었다. 그 내용은 각 장르의 기본 성격과 기초적 내용을 묻는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5. 선다형 문항 제작 기준에서 어긋난 문항은 주로 부정적 지시문을 썼거나, 답지의 길이가 순서대로 배열되지 않았거나, 혹은 정답의 고른 배치에서 어긋난 것이었다. 1991학년도에 처음 실시된 주관식 평가는 문법의 이해도 함께 평가할 수는 있었으나 학생들의 종합적인 능력을 평가하는 데는 미비한 점이 많았다.;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5th Education Course of the Korean language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ich has been conducted since March 1st, 1988. This investigation, therefore, intends to provide the better testing materials for entering high school and to show the more advanced teaching methods and directions, analyzing the questions of the high school entrance qualifying exams during the period from 1989 to 1992 on the ground of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dual purpose classificaton, examining range of the text and the general standards of question-mak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e current curriculum aims at the improvements of the students' language using functions. Emphasizing the process of using the language and setting the students themselves as the subject in the sit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way of testing also should change language using abilities. 2. Studying the distribution of the examination questions, I found that which there has been some continuous increase in the portion of questions every year,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yet, "Speaking" and "Listening" can not be fully measured in the field of "Literature", however, the portion of the basic knowledge questions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goes down, which shows the directions of the exams are headed for developing the language-using abilities. 3. In the analysis of dual purpose classified table on the ground of the contents and behaviors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there is some proper ditribution of "Knowledge", "Understanding" and "Definition", which shows the necessity of chang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way of measurement in partial basic knowledge to the overall promotion in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skills. 4. Regarding the question-making range, the ratio by each grade contents turned out to be 10 : 20 : 70, as the requirements of the entrance exam directed. They depended more on the artistic works than on the practical works, and more on the prose than on the verse though the verse come out in the questions more often compared to relatively small part it took in the texts. 5. The questions against the rules of making multiple choice questions are mainly the negative directions, the lengths of the answers not in order or the partial distributon of the right answers. The questions requiring the subjective description of the answer - that is, not those of multiple choice - are efficient in evaluating the grammar understanding, yet unsatisfactory in examining the students' va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and thinking power though considering that way of answer - requiring questions only started from 1991.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