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8 Download: 0

전래동화 서술적 특성분석

Title
전래동화 서술적 특성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CRIPTIVE FEATURE OF THADITIONAL FAIRY TALES PRACTICED IN KINDERGARTED
Authors
박인실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Keywords
전래동화서술특성분석유아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우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래동화와 외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일련의 특정한 양식들을 서술적인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 15개 유치원에서 1년간 교육내용으로 사용된 동화이며 이를 다시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전공하였으며 3∼5년정도의 경력을 가진 유치원 교사에게 질문하여 46편을 선정하여 Max Lu¨thi의 연구를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기준에 의해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제면에서 두 전래동화는 권선징악을 가장 많이 다루었다. 보은에 대한 주제는 우리나라 전래동화에서만, 모험심과 로맨스는 외국 전래동화에서만 다루었다. 2. 인물의 실체성의 부족은 외국 전래동화에서 더 많이 표현되었고, 내면세계의 부족중 착한 마음씨 및 동정심의 표면적 행위를 서술한 동화는 우리나라 전래동화에서, 냉정함을 나타내는 표면적 행위의 서술은 외국 전래동화에서만 나타났다. 주변환경의 부족에서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서술은 두 전래동화에서 모두 미약하게 표현되었다. 3. 사건으로는 견강부약의 법칙, 불가능한 과제 부여와 원조자, 적중성의 법칙이 있다. 전래동화에서 부여된 불가능한 과제는 우리나라의 경우는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과제이나 외국의 경우는 비실용적이고 비현실적인 과제이다. 4. 전래동화의 공간은 일차원성의 공간으로 초현실자와 현실자는 자연스러운 만남을 한다. 인간과 대면하는 초현실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선녀, 용왕, 산신령이 등장하고, 외국의 경우는 마녀, 마귀할멈, 요정, 거인, 도깨비가 등장하고 공통적으로는 하나님, 도깨비이다. 5. 문체의 서술적 특성으로 주술적인 언어의 반복은 우리나라 전래동화에서는 한편도 나타나지 않고 외국 전래동화에서만 표현되었다. 모방으로 인한 사건의 반복은 우리나라 전래동화에서만 나타났다. 형태의 고정성에서 왕과 관계된 이야기는 외국 전래동화에, 나뭇군과 농부와 관계된 이야기는 우리나라 전래동화에서 많이 표현되었다. 전래동화 문체의 기저를 이루는 고립성은 우리나라와 외국 전래동화 모두에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전래동화는 단순히 꾸며진 이야기가 아닌 엄격한 형식과 법칙 속에서 서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외국 전래동화의 서술적 특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is study has made an analysis on our traditional fairy tales and a seres of specific modes appeared in the foreign traditional fairy tales from a descriptive aspect.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traditional fairy tales would be defined as the short and descriptive fictional style of literature possessing not merely a fabricated story but an amazing contents, and they were described under strict and rigid forms as well as abiding by the application of the law. An established theory related to the epoch of traditional fairy tales has still been the subject of controversy among the pertinent academic circles, and as for the most dominant hypothesis, there have been asserted by the theory of Indo-German, India theory, the theory of anthropology and historical and geographical methods. Secondly, the studies from the viewpoint of literary science for traditional fairy were initiated by Charles Perrault of France and they were achieved by Grimm of Germany on a full scale. Currently, the studies for traditional fairy tales have become the object of studies in the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the science of literature, folklore, psychology and pedagogics. etc. Thirdly, the theme of traditional fairy tales has treated, regardless of the Orient and the Occident, most largely the theme of rewarding the good and punishing the evil, and beside that, the though of requital of a favor, the grace of God, the though of filial devotion, brotherly love and adventure have been treated respectively. Fourthly, the personal figures appeared in the traditional fairy tales were revealed as the figures without possessing substance, internal world and environment, and they belong to the indenticald dimensions with each other without distinguishing a real world and surrealistic world with hitting the incident, propose and time, etc. Fifthly, the feature of literary style in traditional fairy tales were extremely contrasted with an introductory words, concluding remarks, the fixation of forms and reiteration method, and the most conspicuous feature appeared in the entire region of literary style in the traditional fairy tales constitutes the bais of literary style in the traditional fairy tales because of the isolation of its literary sty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