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0 Download: 0

유치원 자유놀이시간의 운영에 관한 연구

Title
유치원 자유놀이시간의 운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OPERATION OF FREE PLAY PERIOD IN KINDERGARTEN
Authors
성원경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Keywords
유치원자유놀이시간운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환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out a tendency to the operation of "Free Play Period" implement by Kindergarten. The study questions are given as follows : 1. What are the purpose and value of free play period? 2. How are the environmental constitution and the educational instruments of free play period? 3. How dose the teacher perform for the behavior of guiding play during a free play period? 4. How is the practice operation of free play period in kindergarten? This study conducted a series of surveys on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free play hour with the selected subjects of 98 teachers assigned to kindergartens, and thus, an observation was made to the examples of free play hour enforced by four kindergartens. Finding of the study were revealed as follows : 1. It was appeared that as for the terminologies, "Free choice Activity" used many more than "Free Play Hour". (62.2%) With regard to the purpose and the value, an emphasis was placed on the unprejudiced growth of every region related to physical body, language, recognition, emotion and society etc. 2. As for the formation of environment, most of cases were arranged by interest area (79.6%), and the activity a contents were select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lesson, child's interest, and the level of development. 3. In the guidance of play, it was revealed that the teachers would always do observation of children's activities, participate in inducing, praising, and a role to help to be active. And on the other hand, it was appeared that to select educational instrument or to instruct activity or teaching behaviors were comparatively few to be seen. 4. As the result of observing the four kindergartens,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n apparent difference among the operational from of free play hour, the extent of fulfilling data, the contents of activities and the behaviors of teachers. Firstly, with regard to the play planning and the activity form, the form that the teachers would direct several activities with having the entire planning hour, the form that the children would conduct their activities through establishing a plan by themselves, the form that one would conduct activities according to one's interest without planning, etc., as differently disclosed respectively. Secondly, as for the extent equipped with data and the kinds, although the four kindergartens were all arranged by interest area, there was an extremely severe difference in the aspect of the contents. Thirdly, regarding the aspect of activities' contents, there appeared also a severe difference between the instance that overall activities were evenly stressed through out every interest areas and the instance that an extremely cognitive activities were emphasized. Fourthly, as for the behavior of play guidance by teacher, in the event that a diversified activity was carried out together with the equipped educational instruments according to the play planning, the guidance conduct by the teachers were diversified,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children were also full of life as well.;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자유놀이시간에 대한 전반적인 실제운영에 대한 것을 알아보려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자유놀이시간의 목적과 운영은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인가? 2. 자유놀이시간을 위한 실내공간구성과 교구준비는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인가? 3 .자유놀이시간에 교사의 역할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인가? 4. 사례를 통해 본 자유놀이시간의 운영 실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 98명을 대상으로 자유놀이시간의 목적 및 가치, 환경구성, 교사의 역할 등에 대한 질문지 조사를 하여 교육경력에 따라 t검증하였다. 4개, 유치원의 실제 자유놀이시간 운영을 관찰하였다. 관찰은 2회에 걸쳐 등원 후 자유놀이시간을 관찰하여 환경구성 및 자료준비상황, 활동의 종류, 활동의 형태, 평가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유놀이시간'보다는 '자유선택활동'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62.2%) 이러한 시간의 목적 및 가치에 대해서는 신체, 언어, 인지, 정서, 사회 등 모든 발달영역을 강조하였다. 자유놀이시간의 목적 및 가치에 대해서는 교사의 경력에 따른 두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실내공간구성과 교구의 준비에 대해서는 교육경력별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내환경은 흥미영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79.6%) 교구와 활동의 선정기준은 단원, 아동의 흥미, 발달수준을 모두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사의 역할은 2개 항목에서만 교육경력에 따른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필요할 때 도와주는 역할과 아동을 관찰하는 행동, 놀이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행동과 칭찬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을 지시하거나 교구와 활동에 대한 언어적 설명, 교구준비와 환경정리를 하는 행동은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경력이 적을수록 다음시간을 위한 준비를 하거나 도와주는 역할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자유놀이시간의 실제 운영은 4개 유치원간에 운영형태, 자료의 구비정도, 활동의 종류, 평가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가 나타났다. 첫째, 계획방법은 전체계획시간을 갖는 형태, 아동 스스로 계획하는 형태, 계획 없이 활동하는 형태 등으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실내환경구성 및 교구의 준비정도면에서 보면 4개 유치원모두 흥미영역별로 배치되어 있었으나 자료의 구비정도와 질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활동의 종류와 내용면에서도 흥미영역 전반에 걸친 다양한 활동이 고르게 강조되는 곳과 인지적인 활동을 강조하는 곳 사이에 심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평가는 전반적으로 자유놀이시간중에 교사와 아동이 개별 혹은 활동별로 이루어지는 형태가 주로 나타났고 전체평가시간이나 개인 평가표가 활용되는 경우도 있었다. 교사의 놀이지도 행동에서 나타난 차이는 자유놀이시간의 활동내용, 자료의 구비정도와 관련되어 나타났다. 즉, 놀이계획에 따라 충분한 교구를 갖추고 다양한 종류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교사의 지도행동도 다양했고 아동과의 상호작용도 활발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