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제5차 교육과정에 있어서 환경교육에 대한 내용의 분석

Title
제5차 교육과정에 있어서 환경교육에 대한 내용의 분석
Other Titles
(AN) INPLICATION OF ENVIRONMENTAL INSSUES IN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KOREAN HIGH SCHOOL BIOLOGY
Authors
윤미영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생물교육분야
Keywords
교육과정환경교육생물교과고등학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용재
Abstract
본 논문은 제5차 교육과정의 개정(문교부 고시 제88-7호, 1988.3.31)과 교과서 개편을 계기로, 우리나라 고등학교 생물 교과과정에 있어서 환경교육 내용이 차지하는 비중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이유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개정된 생물 교과서와 구 교과서를 비교·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물 교과과정의 전반적 변화 1) 현행 생물 교과과정은 기본적으로 종전 생물 Ⅰ·Ⅱ가 각각 과학Ⅰ(상)·생물로 과목명이 변경되었다. 2) 현행 과학Ⅰ(상)의 '생물의 영양' 단원은 종전 생물Ⅰ의 '사람의 영양'의 범위가 확대된 것으로 무기영양과 호흡이 강조되었으나, 종전 '생식과 발생' '유전과 친화'는 '생명의 연속성'이라는 한 단원으로 축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종전 생물Ⅰ의 '생물의 다양성' 단원은 현행 '생물'로 옮겨졌고 종전 생물Ⅱ의 '조절과 항상성' 단원은 현행 과학Ⅰ(상)의 '생물의 항상성'으로 옮겨졌다. 3)현행 과학Ⅰ(상) 교과서의 총 면수는 215면으로 종전 생물Ⅰ교과서의 262면에 비해 감소하였고, 현행 생물 교과서는 263면으로 종전 생물Ⅱ의 232면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보아 인문계 학생들은 교양인으로 갖추어야 할 내용을, 자연계 학생들은 학문적인 기초를 습득하게 하려는 교육 방침이 엿보인다. 2. 환경 단원의 변화 1) 환경에 대한 단원은 종전의 교과서와 비교해 볼때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면의 수나 그림, 표, 문항 수에 있어서 약간씩 감소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문제가 생물 교과과정에 시의성있게 반영되지 못한 것으로 보여져, 우리나라 교과서 편제의 경직성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단, 인구문제·환경오염 내용은 종전에 비해 강조되었다. 2) 환경교육의 영역을 10개로 나누어 볼 때, 현행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에는 인공환경과 공업화의 내용이 누락되어 있어 앞으로 개선되어야 한다고 본다. 3) 생물 교과서의 내용만으로는 환경교육의 보다 큰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보여지며, 학교교육이외의 가정교육, 사회교육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하고, 환경교육에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 기재의 개발이 시급하며, 장기적으로는 환경교육을 위한 독립된 교과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Til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biology of the 5th curriculum and to analyse the causes it. The method was used that the new textbooks (eight Science and seven Biology) was compared to the old text-books (the Biology I and lI )in terms of the concepts and the occupancy of environment issues. The results of analysis 1. the changes of the subject name. 2. little change of contents of environment subjects. 3. the emphasis on the population problem and environmental population. The proposal for the improvement 1. the immediate reflection of the trend of increasing the concern of environment problems in the curriculum. 2. the various program development for the environment education on the purpose of teaching the serious human existance problem. 3. the introduction of the unit ''The Environment" into the textbook for the long ter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