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74 Download: 0

만성질환아가족의 사회적지지와 가족기능간의 관계 연구

Title
만성질환아가족의 사회적지지와 가족기능간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ing in Families with chronically ill Children
Authors
김은진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만성질환아가족사회적지지가족기능간호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자형
Abstract
의료기술의 발달과 의료혜택의 증가로 인해 만성질환아가 가족과 함께 생활을 할 시간이 점차로 늘어나고 있다. 만성질환아는 가족에게 질병 간호, 가계 곤란, 스트레스 등과 같은 심리적, 신체적, 경제적 부담을 주기 때문에 간호사는 만성질환아가족이 갖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사정, 중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야한다 (Futcher, 1988). 따라서 만성질환아가족의 가족기능을 사정하고자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만성질환이 가족기능에 장애 원인이라는 결과(Scipien, 1986)와 함께 만성질환아가족기능이 보통이거나 정상아 가족기능과 비교하여 볼 때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도 보고 되고 있다. 한편으로 이와 같은 가족기능과 관련된 변인을 찾기 위하여 가족지지, 어머니지지, 사회적지지등을 가족기능과 관련시킨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가족지지, 어머니지지는 만성질환아가족의 가족구성원들이 가족단위나 성원단위로 지지체제의 기능을 하여 만성질환아의 성장 발달 뿐만 아니라 가족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사회적지지는 가족 환경의 좀 더 포괄적인 지지체제라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만성질환아가족의 가족기능에 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사회적지지와 가족기능이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알아보고 가족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 3개의 대학 병원에 입원 또는 외래로 추후관리 받는 만성질환아가족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한 환아 부모 9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1992년 3월 27일부터 1992년 4월 15일까지였다. 만성질환아가족의 사회적지지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도구로 Brandt 와 Weinert가 개발한 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PRQ)을 가족기능 측정도구는 Feetham 과 Roberts가 개발한 the Feetham Family Functioning Survey (FFFS)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전산 체제를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만성질환아가족의 유용한 지지자원으로는 배우자가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절박할 때및 가족중 질병이나 장애가 생긴 때와 같이 특정한 상황에서 전문가(의사, 간호사, 상담가)의 도움을 받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만성질환아가족의 사회적지지중 유용한 지지자원의 정도는 1.60으로 친, 인척으로 한정되었으나 지지자원에대한 만족도는 5.44로 최소 1점, 최고 6점에서 볼 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지각한 사회적지지도는 4.96으로 최소 1점, 최고 7점에서 볼 때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3. 만성질환아가족의 가족기능중 가족기능 수행정도및 중요도는 3.79 및 3.47로 최소 1점, 최고 7점에서 볼 때 보통 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가족기능 수행만족도는 5.76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전체적인 가족기능은 4.34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4. 만성질환아가족은 사회적지지가 높을 수록 가족기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한정된 지지자원을 활용하는 만성질환아가족이 보다 긍정적인 가족기능을 할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서 간호사는 특정한 상장에서 전문인의 역할을 잘 수행해야 할 뿐만 아니라 만성질환아가족이 사회적지지체제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야하며 지지체제를 좀 더 개발시켜서 만성질환아가족의 사회적지지를 적극 높혀 줄수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긍정적인 가족기능과 순상관관계를 갖는 사회적지지에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만성질환아가족이 보다 높은 사회적지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간호사업에 적극 일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Because chronic illness can add physical, emotional and financial burdens to the family, the professional pediatric nurse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famil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problems chronic illness in children might bring. Numerous studies have been done to assess family functioning in families with chronically ill children but the studies suggest there is no difference in family functioning whether there are or are not chronically ill children in the family even through it would seem logical that such an illness would impose an obstacle to family functioning. Other research has focused on family support, the mother's support and social support to identify factors which directly influence family functioning.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for factors having an impact on family functioning and social support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 parents of chronically ill children who were either hospitalized or outpatients in follow-up programs from three major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prepared questionnaire from March 27 to April 15, 1992. The tool used to measure the recognition of social support for the families of chronically ill children was based on the "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PRQ)" developed by Brandt and Weinert, and the tool used to measure family fuctioning was "the Feetham Family Functioning Survey (FFF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 an S.P.S.S. computer program.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1. The major available resource of social support was the spouse, but in case of urgent need, sickness or handicap, the resources were, in order, the spouse and professionals (doctor, nurse, couselor). 2. The available resources of families with chronically ill children was limited, but the mean satisfaction with these resources was 5.44 in a possible range of 1 to 6 and the mean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4.96 in a possible range of 1 to 7. 3. The mean family functioning was 4.34 in a possible range of 1 to 7. 4.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obtained between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ing(r=0.3440, p=0.000) :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family functioning. In the study of families with chronically ill children, as well as earlier studies of families with children who are mentally and physically changed, it is suggested that professional nurses should become part of the family support system because social support, that is energy, material and inform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family functio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