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4 Download: 0

텔리비젼중독의 실태와 인과적 분석

Title
텔리비젼중독의 실태와 인과적 분석
Other Titles
Study on the Phenomenon of Television(TV) Addiction
Authors
김기령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Keywords
텔리비젼중독사회심리학인과적 분석신문방송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중심의도는 TV시청에 나타나는 중독현상의 원인과 결과를 규명하므로써 텔리비젼 중독에 대한 종합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의 TV이용시 과다시청, 습관적 시청, TV밀착성, 무의식적 몰입, 反의지적 시청, 무차별적 시청 등 중독적 양상이 두드러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TV중독에 대한 정확한 인식은 희박한 실정이며 일부에서는 TV유해론이나 TV완전제거와 같은 극단적 주장만이 제기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실증적인 조사에 토대를 둔 TV중독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텔리비젼 중독이란 TV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이용자에 기인하는 문제라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왜 이러한 병적현상이 나타나는지 그리고 텔리비젼 중독이 현실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수용자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시청자에게 내재되어 있는 높은 소외감과 낮은 성취욕구는 각각 도피동기와 유희동기를 형성하여 결국 텔리비젼 중독을 유발하며 이러한 TV중독은 다시 'TV세계내 고립'과 '허구의 현실화'를 가져오므로써 시청자의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구조를 세웠다. 이러한 이론적 구조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연구가 고안되었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만18세 이상의 성인으로서, 응답자 스스로가 기입하도록 된 설문지를 총 360명에게 배부하였는데 실제로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자료는 322명분이 회수되었다. 1월 28일부터 30일까지, 2월 28일부터 3월 2일까지, 3월 28일부터 4월 2일까지 세 차례의 사전조사가 행해진 후 본 조사는 1992년 4월 8일부터 19일까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호화하여 전산처리 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이론적 구조에서 핵심인 TV중독자는 총 322명의 응답자 중 21%인 70명으로 나타났다. 우선 TV중독 이해의 기초작업으로서 성별, 연령, 교육정도, 경제수준, 직업, 종교 등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TV중독여부를 조사한 결과 교육정도, 경제수준, 직업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TV중독자는 교육정도를 기준으로 볼 때 중졸이하와 고졸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경제적 수준 면에서도 역시 하위권에서 중독자가 많이 나타난 반면, 상위권의 경우는 드물었다. 한편 직업의 유무에 따른 중독여부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無職인 경우 비자발적 실업자와 주부가 중독자의 대부분을 차지함이 밝혀졌고 직업 유형별로 볼 때는 노무직과 판매·서비스직 등 단순직 종사자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할 때 TV중독은 교육정도와 경제수준, 직업이라는 세 변인의 영향을 받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2. 텔리비젼 중독은 소외감이 낮고 성취욕구가 높은 사람들보다 소외감이 높고 성취욕구가 낮은 사람들에게 더 많이 나타나므로써 높은 소외감과 낮은 성취욕구로 인한 부정적 정서가 TV중독을 야기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나아가 TV중독여부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소외감과 성취욕구 하위개념들간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판별분석결과에 의하면 소외감만을 고려할 때 사회적 고립과 가치독특성, 기대·충족의 부조화 등이 TV중독을 유발하는 데 많은 영향력을 준 반면, 환경적 무력감이 미치는 영향은 적게 나타났다. 성취욕구의 경우 자기신뢰감이나 자기발전욕구는 TV중독여부에 커다란 영향을 주지만 사고의 긍정성은 그 영향력이 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3. 중독자의 경우 비중독자보다 TV세계내 고립과 허구의 현실화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즉 TV중독은 TV세계내 고립과 허구의 현실화라는 결과를 수반하므로써 시청자의 현실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더 나아가 TV중독의 결과적 현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각각의 하위현상별로 중독자와 비중독자간의 집단간 차이를 살펴 보았는데, TV세계내 고립에 있어선 TV맹종이나 TV잔상보다 TV집착성에서 집단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허구의 현실화는 감정적 차원이나 행동적 차원보다는 인지적 차원에서의 차이가 약간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높은 소외감+낮은 성취욕구 → TV중독 → TV세계내 고립+허구의 현실화라는 이론적 모델이 성립된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TV시청에 나타나는 중독증상은 TV자체에 기인하는 것으로 모든 시청자에게 발생되는 획일적 절대적 현상이 아니라 시청자 내부의 부정적 요인들이 작용한 결과이며 이는 다시 시청자의 감정, 사고, 행동의 諸 영역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추리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general model of TV addiction by examining the causes and results of this phenomenon. Despite the apparent proliferation of certain characteristics of TV addiction such as overviewing, habitual viewing, television adhesion, unconscious absorbtion, involuntary viewing, and indiscriminate viewing, a precise understanding of TV addiction is largely absent. Extremist views expressing the harmfulness of TV and the need for its elimination are generally the only voices addressing this phenomenon. Therefore, a critical need exists for TV addiction research based on positive analysis.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TV addic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accomodator. Rather than questioning the problems inherent in television itself, I have started from the assumption that TV addiction is rooted in the viewer, thusly attempting to address the causes of such pathological phenomena and ,the influence of TV addiction on real life. Thus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theoretical structure that a high level of alienation and low achievement aspirations respectively lead to an escapist and pleasure-seeking impulse that causes TV addiction. This addiction, in turn, leads to "isolation in the TV world" and "illusionary actualization of fiction," thus affecting the viewer's life.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research this .theory. The questionnaire was targeted at adults 18 years and older living in Seoul who were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themselves. Of the 36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22 were collected and used in actual analysis.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over three periods (January 28-January 30, February 28 - March 2, and March 28 - April 2) after which the final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April 8 to April 19, 1992. The collected data was computeriz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V addicts -- the focus of this study -- composed 21%, i.e., 70, of the 322 polled. As a basic task in understanding TV addiction, the statistical variables of sex, age, education, economic standing, profession, and religion were factored into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ducation, economic standing, and profession were correlative factors in TV addiction. To elaborate, TV addicts were mostly middle-school graduates or less or high-school graduates. In addition, those low on the economic scale were more prone to TV addiction while those who were affluent were not. The absence or presence of employ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V addic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unemployed, those involuntarily unemployed and housewives comprised most TV addicts. As to the type of employment, manual laborers, salespersons, and service providers -- "simple" laborers -- comprised a majority of addicts. Based on such results, we may interpret the data as demonstrating a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 economic standing, and profession and TV addiction. 2. TV addiction was more often apparent in those people highly alienated with low achievement aspirations thus; showing that TV addiction is caused by feelings of alienation and low aspirations. To further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ubconcepts of alienation and aspiration, discriminant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iscriminant analysis, such alienation subconcepts as social isolation and value peculiarity were influential in causing TV addiction while environmental powerlessness had little influence. In the case of aspirations, such subconcepts as self-confidence and self-development aspirations were influential while positive thinking was not. 3. Isolation in the TV world and illusionary actualization of fiction were more apparent in Tv addicts than in non-addicts. By advancing "TV world isolation" and "illusionary actualization," TV addiction was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real lives of viewers. To determine the relative development of the subconcepts of TV world isolation and illusionary actualization, a 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were that among the subconcepts of TV world isolation, TV attachment was high and the use of other mediums low in TV addicts. With regard to illusionary actualization of fiction, the development of the action dimension was weaker than the cognitive and emotional dimensions. Based of the overall results, the theoretical model of "high alienation + low achievement aspirations → TV addiction → TV world isolation + illusionary actualization" is formed. Therefore, in conclusion, we may infer that the symptoms of addiction apparent in certain television-viewing habits are not uniform or absolute phenomena rooted in television itself but rather are the results of negative factors internal to the viewer himself. The addiction, in turn, harmfully influences many areas of the viewer's emotions, thinking, and ac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