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인숙-
dc.contributor.author구혜영-
dc.creator구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2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2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9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23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전문직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의 네가지 모델인 속성, 과정, 할당, 권력모델을 틀로 삼아 한국 사회사업 전문직의 현 상태를 검토하여 봄으로써 전문직 확립에 이바지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Ⅰ장에서는 현재 한국 사회사업 전문직의 연구·분석을 위한 문제제기와 필요성을 밝혔다. 그리고 Ⅱ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전문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전문직의 개념과 전문직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의 제 모델을 고찰 하였다. 이 전문직이론 모델들은 전문직에 대한 사회학적인 접근들로서, 전문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과 속성을 제시함로으써 하나의 직업이 전문직인지 아닌지를 규정하게 되는 속성모델과, 전문직이 되는 단계를 설정하여 어떤 직업이 어느 단계·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과정모델을 포함한다. 또, 사회적으로 재가된 특정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다고 가정된 특정한 영역에 그 역할이 할당된 직업이 전문직이라고 보는 할당모델과 국가나 정부가 권력을 부여한 특정 직업이 전문직이라는 권력모델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모델들에 입각하여 Ⅲ장에서는 현 한국 사회사업의 상황을 분석·검토하였다. 속성모델에 의거하여 분석해 본 결과, 전문성의 양과 질적인 면에서 전문직으로서의 많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었고, 과정모델의 측면에서는, 전문직 발달과정의 최종단계에 이른지 겨우 1년 밖에 안된 실정이라 질적인 면에서 아직 많은 성장이 요구되는 상태에 있었다. 또한 할당모델에 따르면, 사회적 욕구가 아직 규정되어 있지 못한 사회사업 영역에 대해 문제해결 기능체로 할당하고 있지 않아 전문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권력모델의 측면에서는, 경제우선정책 및 복지법을 이용한 사회통제정책으로 사회사업이 권력을 국가로부터 부여받지 못하여 전문직으로 확립되어 있지 못했음을 살펴 보았다. 이상의 네 모델에 의거한 분석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한국 사회사업은 그 전문성과 인가면에서 아직 전문직으로서의 확립이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전문직 확립을 위한 방향제시를 결론에서 다루었다. 즉 사회사업 교육프로그램 전문단체, 자격증, 홍보활동, 업무조건개선, 사회복지사의 자질, 국가정책 등 네 모델이 시사하는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분류한 일곱 영역의 개선과 대책이 필요 함을 강조하였다.;By examining how Social Work as a profession stands in the present Korean society, based on the four profession theory models-trait model, process model, assignment model and power model-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in establishing it as a specialized profession. For this purpose, Chapter I reveals the problems related to Social work as a profession in the present Korean society together with the methodology i n approaching this subject. Then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dealing with definitions and theory models are discussed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overall concept of "profession". The four socio-logical theory models are: the trait model which stipulates whether an occupation is a profession or not by presenting the necessary conditions and traits; the process model which sets up stages in becoming a profession and then decides where a certain occupation stands; the assignment model which defines profession as an occupation assigned to a specific field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can best conduct the particular role sanctioned by society; the power model which regards profession as an occupation that society or government grants power to. Based on the perspectives presented by the above mentioned models, Chapter Ⅲ analyzes and examines the present conditions of Social Work in Korea. The trait model points out the controversies of Social Work as a profession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whereas the process model calls for more progress on the qualitative aspects since Social Work has very recently reached the final stag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assignment model, Social Work has not been recognized as a profession because its domain which still has not been able to define the social needs has not been assigned as a problem-solving system. In view of the power model on the other hand, Social Work has not been established as a profession because power is not granted by the government due to the economic-priority policy and the social-control policy which took advantage of the welfare law. Consequently, by integrating these results, Social Work in Korea is perceived as a still inadequately established profession since it is not fully specialized nor acknowledged. In conclusion, reformation in seven fields-Social Work education program, professional organizations, licence, Public Relations activity,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quality of Social Workers, and government policies-which have been classified by integrating the factors suggested in the four theory models together with their counterplans are emphasized as courses needed to be taken in establishing Social Work as a specialized prof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방법 = 3 Ⅱ. 전문직의 이론적 배경 = 4 A. 전문적인 개념 = 4 B. 전문직이론의 발달과정 = 6 C. 전문직이론의 제모델 = 8 Ⅲ. 한국 사회사업 전문직의 고찰 = 21 A. 속성모델 = 21 B. 과정모델 = 44 C. 할당모델 = 49 D. 권력모델 = 54 Ⅳ. 결론 : 전문직 확립을 위한 제언 = 64 참고문헌 = 70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736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사회사업-
dc.subject전문직-
dc.subject한국 사회사업-
dc.subject사회사업학-
dc.title사회 사업 전문직 확립을 위한 접근방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pproach Method in Establishing Social Work as a Profession-
dc.format.page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