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4 Download: 0

1930년대 연극과 관객 연구

Title
1930년대 연극과 관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Play and the Audience in the 1930s : Centering the Discussion on the Popularization
Authors
申娥玲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연극관객대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호순
Abstract
The audience is a indispensable component in the play. But the consciousness of the audience in the course of play-work composition, the terms of Korean play-history, was perceived equally as the meaning of deterioration of qualitative leva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y and the audience in the 1930s centering discussion on the popularization in order to over come the existing evaluation criteria and provide a new viewpoint. That period of the 1930s was perceived as the time of main trend-formation of modern play in korea, and then the positive effort to come close the play and the audience among the player was appeared concretely through the discussion of popularization. The summary of main subject's contents is as folowing. In the section Ⅱ, the significance of the audience in the play was investigated as a preliminary survey. In the section Ⅲ,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development-aspect of the discussion of popularization and its meaning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e audience and their companies such as the proletarian play,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dramatic-art, Yu Chi Jin, and The Chung Ang Mu-dae, In this course, the proletarian play was revealed to have more effort to approach the play for the mass of people, compared with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dramatic-art. But these associations produced the result that the play was isolated from the society and the audience by revealing the limitation of ideological trend. Unlike these phenomena, Yu Chi Jin looked for the debate of based on the concrete reality, and it can be seen that his theory of popularization can lead to the audience-centered. The Chung Ang Mu-dae in melodrama was organized based on the popular response, and the effort to pursue the artistic trend and at the same time the popular quality can be appeared, too. The debate of popularization by Yu Chi Jin and Chung ang Mu-dae in their practice could not sublimate for the general synthesis, however, and nontheless the theorectical achievement of the debate of popularization in the 1930s was appeared in terms of getting over the gab between the play and the audience based on the concrete reality. In the Ⅳ section, the critic-historical meaning of the discussion of popularization was drawn from the discussion above mentioned. The debate of popularization was followed by searching on the possibility of effective form so as to overco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y and the audience. Therefore the new performance style and the technique of the play were suggested along with the theorectical growth that the play could arrive at the genre-perception of general art based on the aesthectic generality of the audience. With this survey above stated, we can grasp the notable meanings of the discussion of the play-popularization. But the established evaluation on them didn't escape from the fixed-ideas of politic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This tendency descented from the following tradition that the good play is the high-brow one unable to get the response of the general audiene. So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not only in terms of getting over this outdated viewpoint, but also in view of the reevaluation on the debate of popularization in the 1930s.;연극에서 관객은 절대적인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연극사에서 연극 작품을 구성하는 과정 중에 관객을 의식한다는 것은, 작품의 질적수준의 저하라는 의미와 동일한 것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존의 평가기준을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1930년대 연극과 관객의 관계를 대중화론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1930년대는 한국 현대극의 주류가 형성되었다고 인정되는 시기이며, 연극과 관객을 접근시키고자 하는 연극인들의 적극적인 노력은 대중화론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예비적 고찰로서 연극에서의 관객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프로연극단체와 「극예술연구회」, 그리고 유치진과 「중앙무대」를 중심으로 그들의 연극관과 대상관객층에 따른 대중화론의 전개양상을 고찰하고 그 의미를 파악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프로연극측이 극연에 비해 대중에게 연극을 더욱 가까이 접근시키고자 하는 노력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당대 현실에 부합되지 않는 관념론적 경향으로 인해 각각 문화적 편견과 이데올로기적 배타성이라는 한계를 노출시킴으로써, 연극을 관객과 사회로부터 소외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유치진은 이와 달리 구체적인 현실성을 바탕으로 한 대중화론을 모색했으며, 그의 대중화론은 3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 극장무대에서의 관중본위라는 양상으로 전개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관중본위가 계기가 되어 신파극쪽에서도 대중적 호응을 바탕으로 한 「중앙무대」가 조직되어 예술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추구하고자 하는 노력을 보였다. 유치진과「중앙무대」의 대중화론은 그 실천에 있어서 보편적 종합화로 승화되지는 못했지만, 구체적 현실성을 바탕으로 연극과 관객의 거리를 단축시키고자 한 노력은 1930년대 대중화론의 이론적 성과로 평가되어야 하리라 생각된다. Ⅳ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통해 대중화론의 비평사적 의의를 추출해 보았다. 대중화론은 연극과 관객의 거리를 접근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양식적 가능성에 대한 모색이 뒤따르게 된다. 그러므로 새로운 공연양식과 극작기법을 제시하고, 이와함께 연극이란 관객의 미적보편성을 바탕으로 하는 보편적 예술이라는 쟝르적 인식에까지 도달함으로써 그 이론적 성장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서 연극 대중화론의 의의가 괄목한 것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기존 평가는 정치화나 상업화라는 고정된 인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좋은 연극이란 일반 관객의 호응을 얻을 수 없는 고답적인 것이라는 「극예술연구회」의 일반적 인식이 전통으로 내려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을 극복하고 1930년대 대중화론에 대한 재평가를 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