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인숙-
dc.contributor.author김영미-
dc.creator김영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2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0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8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099-
dc.description.abstract현대의학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여러가지 중증 질환이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나 뇌성마비만은 발생 빈도를 감소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일단 발생이 되면 완치가 어려워 의학적인 면 뿐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아동 발달에 있어서 가정의 중요성은 인식되어 왔으나 장애자 가족의 기능에 대해서는 별로 연구되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고 더우기 뇌성마비아동과 그 가족의 구체적인 연구는 더욱 드물다고 하겠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동을 가진 가족 중에서도 특히 아동의 양육을 일차적으로 전담하고 있는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 수준을 알아보고 그 상관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이 조사를 기본으로 하는 뇌성마비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강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탐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의 특수학교와 재활원, 장애자 복지관, 병원등의 7개기관에서 교육, 치료, 사회적 서비스를 받고있는 0 - 26세까지의 뇌성마비아 어머니 151명을 선정했다. 연구도구로는 Friedrich 가 개발한 단축형 스트레스척도 (QRS - F: Questionnaire on Resources and Stress - Friedrich 개발) 52문항과 McCubbin & Patterson 이 개발한 45문항의 대처행동척도 (CHIP : Coping Health Inventory for Parents) 가 각각 요인분석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상관계수, 단계적 중회귀분석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의 차이검증을 한 결과 아동의 연령과 장애정도는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아동의 성별, 출생순위, 중복장애는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과의 상관관계는 아동의 연령과는 부적 상관관계틀 나타냈고 장애정도와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아동의 연령이 낮을수록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은 높고 자애정도가 심할수록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동의 출생순위, 중복장애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의 차이검증을 한 곁과 어머니의 어떠한 일반적 특성도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을 설명해 주지 못했다. 그러나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과 어머니 스트레스 수준과의 상관관계는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그리고 동가가족 수가 적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 3. 아동과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중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가장 잘 예언해 줄 수 있는 변수들은 아동의 연령과 장애정도의 순서였다. 4.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대처행동 수준의 차이검증을 한 결과 아동의 출생순위에만 어머니의 대처행동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아울러 아동의 일반적 특성과 어머니의 대처행동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아동의 출생순위하고만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서 아동의 출생순서가 빠를수록 어머니의 대처행동 수준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5.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처행동 수준의 차이검증을 한 결과 연령과 학력이 대처행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그 나머지 일반적 사항과 대처행동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과 대처행동과의 상관관계는 어머니의 특성중 연령과는 부적 상관관계, 수입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나머지 어머니 관련 변수들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6. 아동과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중에 어머니 대처행동 수준을 예언해 줄 수 있는 변수들은 아동의 출생순위와 가족 월수입의 순서였다. 7. 각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행동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스트레스 Ⅰ,Ⅱ.Ⅲ는 대처행동 I Ⅱ와 모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스트레스 Ⅳ는 대처행동 Ⅱ 와는 부적으로, Ⅲ 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들은 스트레스 유형 Ⅰ,Ⅱ,Ⅲ,Ⅳ의 순서대로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고 있었고 이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대처 행동에는 유형 Ⅰ,Ⅱ 가 큰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어머니들의 대처행동 의존도는 유형 Ⅲ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들의 대처행동이 부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대처행동 Ⅲ의 유형인 의료진과의 상담, 부모들과의 모임 중에서 어느 것이 어머니의 스트레스 완충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못했다. 대체로 스트레스 총 수준과 대처행동 총 수준과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대처행동 수준이 낮고, 역으로 말하면 대처행동 수준이 낮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아동과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중 아동의 연령·장애정도가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에, 아동의 출생순위·어머니의 연령과 학력이 어머니의 대처행동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중 어느 것도 어머니 스트레스를 설명해 주지는 못했다. 그리고 아동과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중 아동의 연령·장애정도 어머니의 연령·동거가족수가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과, 아동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연령·가족 월수입이 어머니의 대처행동 수준과 각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수들은 아동의 연령과 장애정도였으며 어머니의 대처행동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수들은 아동의 출생순위와 가족 월수입이었다. 한편 각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행동 요인과는 대체로 높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나서 스트레스와 대처행동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리하여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뇌성마비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완충시킬 수 있는 사회사업적 접근 방법을 제언하였다.;According to the progression modern medicine, it is clear to reduce diversesevere illeness, but cerebral palsy is on the increase. So it becomes not only the problem of medicine but also that of society.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has been recognized very much in development of the children but there are a few studies and researches about the family function of the handicapped, especilly in the family of cerebral palsied children. Among the family members, i n particular the mothers has much responsibility for caring the cerebra palsied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stress, cop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stress and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m of cerebral palsied children's mothers. Based on the research, this study is designed for the program develpo-ment in order to lesson the stress and strengthen the coping behavior of cerebral palied chilren's mothers. The o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one hundred fifty-one mothers of cerebral palsied children who receive the service from the seven formal-agencies. This study uses as a tool "QRS-F : Questionnaire on the Resources and Stress" designed by Friedrich and " CHIP : Coping Health Inventory for Parents" designed by McCubbin and Patterson. The collected data anali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rough using SPSS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her's levels of stress depending upon the age and handicapped degree of the C.P. children. However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sex, birth order and multiple handicaps of the C.P. children did not affect the mothers stress. There was an invers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stress level and the age of the C.P. children and there was direc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mothre's stress level and the handicapped degree of the C.P. children. 2. The mother's gerneral characteristics did not affect the stress level. There were inver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ther's stress level and the mother age and family size. 3 . In use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etween the stress level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P. children and the mothers, the most predictive variables are the age and the handicapped degree of the C.P. children. 4. As for the mother's coping leve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g upon only the birth order of the C.P. children. And there was a very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coping level and C.P. children's birth order. 5. As for the mother's coping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deffernces depending upon the age and education degree of the mothers'. And there was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coping level and the mother age and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coping level and family income. 6. In the use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etween the mother's coping bevavior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P. children an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5 C.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6 A. 장애아와 가족 = 6 1. 장애아 가족의 일반적 문제 = 6 2. 뇌성마비아 가족 = 9 (1) 뇌성마비의 정의 및 증상 = 9 (2) 뇌성마비아 가족의 문제 = 11 B. 장애아 가족의 스트레스 = 14 1. 스트레스 = 14 (1) 스트레스 개념 정의 = 14 (2) 스트레스 과정 = 16 2. 장애아 가정의 스트레스 = 18 (1) 아동특성 = 19 (2) 부모특성 = 22 (3) 가족구조적 특성 = 25 C. 장애아 가족의 대처 = 28 1. 대처 = 28 (1) 대처개념 정의 및 기능 = 28 (2) 대처자원 = 34 2. 장애아 가족의 대처 = 36 (1) 대처자원 = 37 (2) 대처행동 = 40 Ⅲ. 연구방법 = 43 A. 연구대상 = 43 B. 연구도구 = 43 C. 자료처리 방법 = 45 Ⅳ. 연구결과 분석 및 해석 = 46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6 B. 연구목적에 대한 검증 = 51 Ⅴ. 결론 및 제언 = 71 참고문헌 = 75 뇌성마비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관한 설문 = 84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317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뇌성마비-
dc.subject아동-
dc.subject어머니-
dc.subject스트레스-
dc.subject대처행동-
dc.title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tresses and coping behaviors of the mothers with cerebral palsied children-
dc.format.page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