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94 Download: 0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의 적응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의 적응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ARITAL ADJUSTMENT OVER THE FAMILY LIFE CYCLE : in case of nuclear family couple in Seoul
Authors
김정원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가족생활주기부부적응핵가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Degree
Master
Advisors
이동원
Abstract
현대가족이 제도적 가족에서 우애적 가족으로 변화해 가고 있는 가족의 변화추세에 비추어, 한국의 도시 핵가족의 부부관계는 어떠한 상황에 있으며, 부부간의 평등성에 기초한 우애적 관계가 가족주기에 따라서 어떻게 다른가를 보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1차적 목적이다. 또 결혼생활 제 부문별로 부부간의 의견일치정도를 측정하여 가족 주기에 따른 부부적응의 양상을 파악하고, 부부의 적응과 결혼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밝히려는 것이 본 논문의 2차적 목적이다. 부부관계는 가족주기의 발달단계에 따라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는 가족발달론적 입장에 입각하여 가족생활주기를 주된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부부간의 적응상태를 알아 볼 결혼생활의 제 부문은, 역할구조적 측면, 애정 및 성생활, 의사소통, 여가활동부문이다. 1차분석에서는 남편과 부인 각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여 상기한 결혼생활의 제 부문에서 평등적 성향과 우애의 속성이 부부관계에서 나타나는 여부를 가족주기별, 성별 및 태도와 행동별로 분석하였다. 2차분석에서는 분석단위를 부부로 하여 의견일치정도에 따른 부부의 적응점수를 측정하여, 이를 가족주기별로 보아 적응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들은 Burgess의 Companionship Model을 사용하였고, 여기에 우애적 가족의 특성을 논한 제 학자들의 개념을 종합하여 구성하였다. 본 조사의 대상은 서울시 아파트에 거주하는 중류이상의 핵가족 부부로서 이혼, 별거, 사별, 재혼하지 않은 271쌍의 부부이며, 조사방법은 질문지법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역할구조적측면에서의 결과이다. ① 부부 모두에게서 신전통주의적 역할태도가 높고, 남편보다는 부인이 더욱 평등주의적 역할태도를 보였다. ② 치료적역할, 오락적역할과 같은 우애적 가족에서 중시되는 역할이 Ⅰ주기 부부에게서 배우자의 역할로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졌다. ③ 역할수행에 있어서 남편은 수입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부인은 가사일과 자녀양육을 담당하는 것은 전통적 역할규범과 동일하였으나 기대는 여기에 비해서 평등지향적으로 나타났다. ④ 도시 핵가족부부의 역할공유가 종래 남편의 역할담당영역이었던 부문에서 이루어지며, 실제로 역할행동수행은 수입자의 역할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부인이 담당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제 영역에서 볼 때 비교적 Ⅰ주기에서 역할공유를 보였다. 둘째, Ⅰ주기가 우애적 가족에서의 부부관계의 성격을 가장 많이 갖고 있었다. 즉 Ⅰ주기 부부는 애정표현이 겉으로도 자유롭고, 성생활에 있어서 전통적인 태도에서 벗어나서 부부가 평등한 입장에서 상호만족을 추구하며, 일방적이 아닌 쌍방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부부당사자들이 감정 및 애정에 관한 대화가 많고 부부가 함께하는 여가활동이 많았다. 셋째, 응답자부부의 적응상태는 대체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가족주기별로 보면 Ⅰ주기에서 적응이 잘 이루어지고, 점차 나빠지다가 Ⅲ주기, Ⅴ주기를 거치면서 두 번의 반전을 보이고 Ⅵ주기에서 가장 적응이 잘되는 곡선적변화유형을 나타내었다. 넷째, 부부의 적응상태와 결혼생활만족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부부간에 의견차이가 적어 적응이 잘될수록 결혼생활에도 만족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가족주기에 따른 부부의 적응양상을 밝히고, 또 우애에 기반한 부부관계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을 밝혀 냄으로써, 앞으로의 부부관계에 대한 사회적 연구의 기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Modern family system is from institutional family to companionship family.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Korean urban marital relation in nuclear family is based on mutually equal companionship or not, and, if it is, to study modes of the relation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And the second purpose is to measure the degree of married couple's consensus in four areas in marital relationship, to examine the pattern of marital adjustment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and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degree and the degree of consensus. Family life cycle is selected as an important independent variable, because marital life has to be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two people's dynamic adjustment. So, it is desirable to study the adjustment of married couple from the point of family developmental approach. Married couple's adjustment is investigated in these respects such as role strcture, affection and sex life communication, and leisure activity. The primary analysis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qu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ionship is shown or not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sex distinction, attitude and behavior. It is achieved through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n this analysis wife and husband are used as units individually. The secondary analysis is to measure the adjustment score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rried cauple's consensus and to research the pattern of adjustment in accordance with family life cycle. Burgess companionship model is used as an analysis frame and concepts of many scholars who dealt with characteristics of companionship family are integrated.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are 271 nuclear family couples living in apartments in Seoul. It excludes couples who divorced, separated from their spouses, separated by death and remarried. Research method is questionaire matho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ples in the first stage show many characteristics of companionship family. Second, Adjustment degree is changed i n curve pattern. Third, There is positive relation between couple's adjustment scor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married life. This study has a meaning to be a basis of further sociological studies on marital relationshi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