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금-
dc.contributor.author최숙희-
dc.creator최숙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5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8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8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85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Korean kindergarten songs and dance between 1920 and 1930 by comparing concret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kindergarten songs and dance to those of Japan. Years from 1920 to 1930 was the developmental period of educational patriotism kindergarten.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concrete content of Korean kindergarten songs and dance between 1920 and 1930? 2. What is the concrete content of Japanese kindergarten songs and dance between 1920 and 1930? 3. What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focus of kindergarten songs and dance between 1920 and 1930?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wo kinds of material about kindergarten songs and dance: material about Korean kindergarten songs and dance of Cha Sabaek and Lee Young-bo who studied abroad in Japan and material about Japanese songs and dance of Tsuzikawagoro who invented the rhythmic dance and the expressive singing-danc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Koreann kindergarten songs and dance is categorized into the rhythmic dance and the expressive singing-dance. 63 sings of rhythmic dance are analyzed. 'The Song Book for Rhythmic Dance' has songs but has not dance. Material about the rhythmic dance and songs is analyzed through 227 songs with 63 songs which were written down on 'The Book for Songs and Dance' that was issued by a missionary. 'A Carp in the Pond' 'Gate of Kindergarten' and 'Tiny Pellet of Hall' which were overlapped by many editors have same words of song but have different dance. In 'Four Seasons' and 'Korean-Type Seesaw' movement was created uniquely by each editor. Only 15 child verse were purely made by Korean. Many translated Japanese songs were introduced into Korea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situation. 2. Japanese kindergarten songs are categorized into the rhythmic dance and the expressive singing-dance. 45 songs of the rhythmic dance are analyzed. But these 45songs were not created by Japanese but introduced in Japan from abroad. Tsuzikawagoro created dance only with introduced songs. 51 songs are for the expressive singing-dance. The musical notes of 46 songs except 'Come on firefly', 'Let's dance', 'A rabbit on the moon night' 'Sea' and 'Bamboo boat' were not described but words of song and dance were recorded 80 songs including 44 songs which were recorded in the 'Kindergarten Songs and Games' which was issued by a missionary are analyzed. 3. By analyzing contents between Korean kindergarten songs and dance and those of Japan, 27 Korean rhythmic dances were same as those of Japan 'Gosanhangjin' is Japanese song which was purely made by Japanese, By analyzing songs for expressive singing-dance between Korea and Japan, 36 Korean songs were influenced from Japan, 'Pigeon' 'Sound of footstep' and 'January Song' of 34 songs were same content and movement. Seven songs were same only in the content but words of Japanese song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words. 25songs were composed by Japanese. In 'Rolling over and over', 'Kindergarten' and 'Sunflower', dance was created by Lee Young-bo. By analyzing songs except songs for expressive dance between Korean and Japan, 15 songs were composed by Japanese. Many Korean kindergarten songs and dance were introduced from Japan. These were not purely created by Japanese but introduced in Korea through Japan. But ways of dancing in harmous with the song was clearly introduced from Japan because of rhythmic dance and expressive singing-dance which were invented by Tsuzikawagoro. Nevertheless the fact that Korean kindergarten songs and dance were taught only as Korean words turns out that the Korean kindergarten takes an important role in educational patriotism before independence form Japan.;본 연구는 1920년~1930년대에 급격히 발달된 유치원 교육 확충에 따라서 새롭게 나타난 유희와 창가에 대한 한국의 유치원 유희와 창가의 구체적인 내용과 특성을 日本의 것과 비교 분석하여 그 영향을 파악 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1920년~1930년대 한국 유치원 유희와 창가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 2. 1920년~1930년대 日本 유치원 유희와 창가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 3. 1920년~ 1930년대 한국과 日本의 유희와 창가간에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본 연구는 日本 유학 출신자들인 차사백, 이영보가 遊戱 및 唱歌에 관한 자료와 日本의 表情遊戱와 律動遊戱의 창시자인 土川五朗의 저작을 연구자료의 중심으로 하여 그 곳에 수록된 곡들을 비교 분석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 유치원 유희와 창가는 율동유희와 표정유희로 분류되며 본 연구에서 다룬 율동유희는 모두 53곡이며 「율동유희곡집」에는 동작이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다. 표정유희와 창가에 관한 자료는 선교사가 발간한 「유희창가집」에 수록된 63곡을 포함하여 모두 227곡을 분석하였으며 이중 12곡에는 가사 없이 곡과 동작만 수록되어있다. 편자에 따라 중복되어 수록된 「연못에 잉어」「유치원문」「싸락눈」에서는 가사는 같으나 동작이 상이하였다. 「사시절」「널뛰기」는 편자가 독자적으로 직접 동작을 창작하였다. 창가 분석 결과 시대적 여건에 의해서 日本의 창가를 번역한 것이 많았으며 순수하게 한국사람에 의해서 창작된 동요는 15곡이었다. 2. 日本 유치원 유희와 창가는 역시 율동유희와 표정유희로 분류되는데 본 연구에서 다룬 律動遊戱는 모두 45곡이다. 그러나 이 곡들은 日本人에 의한 창작곡이 아니고 외국곡에 맞추어서 편자인 土川五朗이 동작만 창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表情遊戱곡은 모두 51곡이며 「개똥벌레 오너라」(はたるこいこぃ)」춤추자(ぉどり)」, 「달밤에 토끼 (月夜の兎)」,「바다(海)」, 「참대배(笹の舟)」,의 5곡을 제외하고 46곡에는 악보가 기술되어 있지 않고 가사와 동작만 수록되어 있다. 창가 분석에서 다룬 자료는 선교사에 의해서 발간된 「Kindergarten Songs and Games」에 수록된 44곡을 포함하여 모두 80곡이었다. 3. 한국과 日本의 遊戱와 唱歌에 있어서 내용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律動遊戱가 日本 것과 동일한 것은 27곡 있었으며 순수하게 日本人 작곡자에 의한 것은 高山行進 한곡뿐이다. 表情遊戱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日本에 영향을 받은 것은 모두 36곡으로 이중 「비닭이」 「신소래」「정월노래」는 가사, 내용 동작이 모두 일치하며 가사 내용만 일치하는 것은 7곡이었다. 그러나 한국 자료의 가사는 모두 한국말로 번역되어 있었다. 이외 25곡은 日本人에 의해서 작곡 되었으며 이중 「때굴때굴」「유치원」「해바라기」에는 이영보가 동작을 창작하여 수록하였음을 발견 하였다. 창가간의 관계는 위의 表情遊戱에서 분석하였던 것을 제외하고 日本의 창가집에 기준을 두어 분석한 결과 15곡이 日本人에 의해서 작곡된 곡임을 발견 하였다. 이와 같이 한국의 유치원 유희와 창가는 日本에서 도입한 것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日本의 자료에 수록된 곡이 日本人에 의해 창작된 것이 아니므로 日本을통해서 외국의 유희곡을 도입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律動遊戱 및 表情遊戱는 日本人 土川五朗의 창안이었음으로 곡이나 가사에 맞추어서 춤을 추는 방법은 日本에서 도입한 것이 명확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유치원 유희와 창가가 한국어만으로 지도 되었다는 사실은 해방전 한국 유치원이 민족교육의 중요한 역할을 지켰음을 증명하고 있다. 또한 한국인에 의해 창작된 것으로 명확하게 표시된 창가곡은 15곡임을 확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硏究의 必要性 = 1 B. 硏究의 目的 및 問題 = 2 C. 硏究方法 = 3 Ⅱ. 幼稚園 遊戱 및 唱歌發達의 時代的 背景 = 5 A. 한국의 幼稚園 遊戱 및 唱歌 = 5 B. 日本의 幼稚園 遊戱 및 唱歌 = 11 Ⅲ. 遊戱 및 唱歌의 內容分析 = 17 A. 律動遊戱의 分析 = 17 B. 表惰遊戱 및 唱歌分析 = 30 Ⅳ. 要約 및 結論 = 134 A. 要約 = 134 B. 結論 = 136 參考文獻 = 138 附錄 = 140 ABSTRACT = 1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986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우리나라-
dc.subject유치원 노래-
dc.subject율동-
dc.subject유희-
dc.subject창가-
dc.title우리나라 유치원 노래 및 율동에 미친 일본의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920년~1930년대 유희 및 창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Korean Kindergrarten Song and Dance between 1920 and 1930-
dc.format.page1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