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화-
dc.contributor.author최옥화-
dc.creator최옥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6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4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7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43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아버지의 배경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알아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부산시내에 거주하고 있는 아버지 248명과 그의 자녀 24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 측정도구는 1978년 행동과학연구소에서 제작한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 평정척도이고, 아버지용 측정도구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한 양육태도 질문지이다. 아버지의 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차이와 사회적 능력 하위요인들의 차이는 3원변량분석 하였고, 아버지의 애정적-자율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하위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로 알아보았다. 이상의 연구절차에 의거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추출하였다. 1. 아버지의 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서는 대졸이상의 학력을 지닌 아버지들의 자녀들이 고졸이하의 학력을 지닌 아버지 자녀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2. 아버지의 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하위요인들의 차이에서 학력이 고졸이하인 아버지의 자녀들은 대졸이상인 아버지의 자녀들보다 내적통계를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졸이상의 학력을 지닌 아버지의 자녀들은 성취감, 호기심, 학교에서의 위안감에서 고졸이하의 학력을 지닌 아버지의 자녀들 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교사에의 의존성에서는 고졸이하의 학력을 지닌 아버지의 자녀들과 전문직에 종사하는 아버지의 자녀들이 더 의존적 인것으로 나타났다. 3. 아버지의 애정적-자율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사회적 능력 하위요인 중에서 교사에의 의존성과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가 애정적-자율적 양육태도를 취할수록 더욱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background and his child's social competence. To accomplish this study, each 248 fathers and their children in Pusan area have been selected as the object of this study. The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hild's social competence was the evelaution measure for child'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which The Korean Behavioal Science Research Center suggested in 1978, and a questionnaire based upon the preceding studies to examine the father's fostering attitude. And in measuring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tself and its subfactors according to their fathers' age, acadmic background and occupation, the three-way ANOVA has been used, and as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affective-autonomous attitude and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its subfactors, Pearson correlation has been used. And the conclusions based upon the results from such investigating procedures are as follows; 1. investigating child's social competence in accordance with his father's age, academic background and occupation, it is revealed that children whose father had somewhat higher degree of scholarship over the university level marked high scores of social competence than those with a father whose academic background ranked below the high-school level. 2. As for the subfactors of child's age, acadmic background and occupation, it is revealed that children whose fathers' academic backgrounds ranked below the high-school level showed themselves as having better ability in self-controlling than those whose fathers' acadmic backgrounds overpassed the university level, whereas the latter group marked high scores of feeling of accomplishment, curiosity and comfort at school than the former group. As for the dependence on teacher, children who had a father with academic background of lower level and those who had a father engaged in the professional job showed themselves as more dependent than others. 3. The affective-autonomous attitude of a father didn't show any correlation with his child's social competence, but it showed correlation with child's dependence on teacher among the other subfactors. That is to say that the more a father takes an affective-autonmous attitude, the more his child becomes independ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및 문제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 = 3 B. 아버지-자녀관계 = 6 C. 사회적 능력 = 9 D. 양육태도 = 13 Ⅲ. 연구방법 = 17 A. 연구대상 = 17 B. 측정 도구 = 19 C. 연구절차 = 20 Ⅳ. 결과및 해석 = 22 A. 아버지의 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차이 = 22 B. 아버지의 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하위요인들의 차이 = 23 C. 아버지의 애정적-자율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상관 관계 = 32 Ⅴ. 요약및 결론 = 33 A. 요약 = 33 B. 논의및 결론 = 34 참고문헌 = 36 부록 = 41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445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아버지-
dc.subject배경-
dc.subject유아-
dc.subject사회적 능력-
dc.subject유아교육-
dc.title아버지의 배경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BACKGROUND AND CHILD'S SOCIAL COMPETENCE-
dc.format.page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