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1 Download: 0

芳山韓兒 琴譜 中 伽倻琴譜의 다스름(調音)과 現行 다스름(調音)의 旋律 比較 硏究

Title
芳山韓兒 琴譜 中 伽倻琴譜의 다스름(調音)과 現行 다스름(調音)의 旋律 比較 硏究
Other Titles
(A) RESEARCH ON THE COMPOSITION OF MELODY BETWEEN DASRU˘M (調音) OF KAYAGU˘MBO (伽倻琴譜) IN THE PANGSANHANSSI GU˘MBO(芳山韓兒 琴譜) AND HYONHAENG (現行)
Authors
李榮實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방산한가야금보다스름조음선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종진
Abstract
한자로 調音·治音으로 쓰기도 하는 다스름은 本 曲을 연주하기 前에 各 악기들의 속도·호흡·音律을 조절하기 위한 曲으로서 現在 歌曲 앞에 羽調와 界面調 다스름이 있다. 그런데 1916年에 쓴 「芳山 韓氏 琴譜」(以下 「芳山」으로 생략 표기 하겠음)를 보면, 靈山會相 앞에 羽調와 界面調 다스름이 있는데, 이 曲은 歌曲의 다스름과는 전혀 다르며, 金 靜子 採譜 「正樂 伽倻琴譜」(이하 「現行」으로 생략 표기 하겠음)의 다스름과 비슷하다는 점이 주목된다. 따라서 「芳山」에 나타난 다스름과 「現行」에 나타난 다스름이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를 살펴 보기 위하여, 「芳山」의 다스름을 解讀하고 그것을 근거로 하여 「現行」 다스름 선율을 비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芳山」의 다스름 樂譜는 「芳山」의 靈山會相 樂譜와 달리 「芳山」의 靈山會相 絃名의 약자인 「□·禾·∼·心·月」의 口音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現行」의 「□·汰·∼□·□」이었다. 둘째, 「芳山」의 다스름은 章 구분이 되어 있지 않으나, 「現行」의 선율과 비교한 결과, 羽調 다스름은 2·4·6·9 行에서, 그리고 界面調 다스름은 2·5·10·13行에서 모두 「月·一·(□·一)」로 끝마치는 점으로 보아, 章의 표시만 없을 뿐 章 구분이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羽調 다스름 선율을 상호 비교한 결과, 音이 늘어난 部分, 줄어든 部分, 첨가된 部分, 그리고 서로 다른 部分의 네가지로 나타나는데. 이를 各各 보면, 全 5章에 걸쳐서 늘어난 部分은 27回 32拍 늘고, 줄어든 部分은 11回 13拍 줄었으며 첨가된 部分은 7回 8拍 音이 첨가되었다. 그리고 서로 다른 部分은 拍의 변화없이 6回 나타났다. 넷째, 界面調 다스름 선율을 상호 비교한 결과, 羽調 다스름과 마찬가지로 네가지 部分으로 나타나는데 먼저 늘어난 部分은 全 4章에 걸쳐서 39回 42拍 늘고, 줄어든 部分은 9回 13拍 줄었으며, 첨가된 部分은 3回 나타났다. 다섯째 「芳山」의 羽調 다스름 끝의 17∼21行(50拍)과 界面調 다스름 끝의 14∼17行(40拍)은 1916年의 「芳山」에는 기록되어 있으나 1930年代의 咸 和鎭氏가 만든 등사본 樂譜를 기초로 한 金 靜子採譜 「正樂 伽倻琴譜」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은 점으로 보아 1930年代 이후에는 사라진 것으로 보여진다.;Dasru˘m, Chou˘m(調音) or Chium(治音) in Chinese character, is the music for tuning tempo, rhythm and melody before playing the main music. At presnet, the two types of Dasru˘m, Ujo(羽調) and Kyemyo˘njo(界面調) Dasru˘m, are before Kagok(歌曲). According to the「Pangsan Hanssi Gu˘mbo(芳山韓氏 琴譜)」-hereinafter referred to as 「Pangsan(芳山)」-witten in 1916, Ujo and Kyemyo˘njo Dasru˘ms are before Yo˘ngsanhoesang(靈山會相). These two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Dasru˘m of Kagok and deserve more attention to similarity with that of 「Chongak Kayagumbo(正樂 伽倻琴譜)」- herein-after referred to as 「Hyonhaeng(現行)」- collected by Kim Jung-ja(金□子). Therefore, so 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sru˘m in 「pangsan」and that in 「Hyo˘nhaeng」, I decoded the Dasru˘m in 「Pangsan」and compared it with the melody of Dasru˘m i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Dasru˘m score of 「pangsan」, being different form Yo˘ngsanhoesang score of 「Pangsan」, is recorded with the kuu˘m(口音) of 「□. □. 心.月」, which is the abbreviation of Yo˘ngsanhoesang hyo˘nmyo˘ng(鉉名) of 「Pangsan」and these are the same as 「□. 太. ~. 伏, □」in 「Hyonhaeng」. Secondly, though the Dasru˘m of 「Pangsan」is not clearly divided by chapter, comparing iwth the melody of 「Hyo˘nhaeng」, it is thought that the Dasru˘m of 「Pangsan」is devided by chapter without chapter mark. I noticed it in view of the fact that Ujo Dasru˘m finishes as「月.□.(□.□)」at Haeng(行) 2·4·6·9 and Kyemy˘njo Dasru˘m at Haeng 2·5·10·13. Thirdly, by mutual comparison of the melody of Ujo Dasru˘m, four parts appears- increased, decreased, added and different each other parts. That is throughout the total 5 movements(章), 27 times(回)-32 beats(拍) increased in the increased part, 11 times-13 beats decreased in the decreased part, 7 times- 8 beats added in the added part and 6 times appeared without variation of the beats in the different each other part. Fourthly, by mutual comparison of the melody of Kyemyo˘njo Dasru˘m, four parts appears like Ujo Dasru˘m. That is, throughout the total 4 movements, 39 times-42 beats increased in the in creased part, 9 times- 13 beats decreased in the decreased part, 3 times-3 beats added in the added part and 3 times appears without variation of the beats in the different each other part. Fifthly, 17-21 Haeng (50 beats) and 14-17 Haengs(40 beats) of the last Ujo and Kyemyo˘njo Dasru˘ms respectively is recorded in the 「Pansan」in 1916 but not in the 「Cho˘bgak Kayagu˘mbo」collected by Kim Jung-ja based on the copy of the score in the 1930's made by Ham Hwa-ji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ose Haengs disappeared after the 1930'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