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3 Download: 0

형식도식(Formal Schema)이 영문 독해내용의 회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형식도식(Formal Schema)이 영문 독해내용의 회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Formal Schema on EFL Reading Comprehension
Authors
김은희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Keywords
형식도식Formal Schema영문독해영어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의 수사적 구조에 관한 배경지식인 형식도식이 독해와 회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 I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이야기체 구조가 회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는 같은 내용의 이야기인 경우 순서를 어긴 구조의 유형 (interleaved version)보다 정상적인 구조의 유형 (standard version)을 더 많이 회상하였고, 순서를 어긴 구조로 제시한 경우 만을 분석했을 때 투입된 순서 그대로 회상하기 보다는 이상적인 이야기 구조에 따라 회상한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Ⅱ에서는 대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설명문체 구조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담화구성력이 약한 유형이 (기술 집합형) 담화구성력이 강한 유형 (인과형, 비교형, 문제해결형) 보다 회상에서 뒤떨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유형의 유의도 검증 결과 기술집합형과 인과형 사이에만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위의 결과들은 학습자가 독해과정에서 형식도식의 영향을 받고 있을 뿐 아니라 형식도식을 이용하여 독해를 한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배경지식 중에서 형식도식의 영향만을 살펴보았는데 앞으로는 내용도식, 내용도식과 형식도식을 병행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rmal schema (knowledge relative to the formal, rhetorical organizational structures of different types of texts) on EFL reading comprehension. In Experiment Ⅰ, the effect of simple narrative formal schemata on reading and recall was investigated with the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quantity of their recall between standard and interleaved versions of simple stories, and that when stories violated the story schema, the temporal sequencing of the reader's recall, tended to reflect the story schematic order rather than the temporal order of representation in the story. In Experiment Ⅱ, the effect of four different expository prose pieces on reading and recall was investigated with the freshmen in the university.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more tightly organized patterns of causation, comparison, problem/solution generally facilitated the recall of specific ideas from a text more than the more loosely organized pattern called collection of descriptions.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e influence of formal schema on reading comprehension. We need further studies on not only content schema but also both content schema and formal schema to supplement this study on formal schem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