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숙-
dc.contributor.author윤애희-
dc.creator윤애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4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6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48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공놀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각-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지각-운동능력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나타낼 것인가? 2.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신체상(body image) 영역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나타낼 것인가? 3.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공간과 방향(space & direction) 영역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나타낼 것인가? 4.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균형과 측면감(balance & laterality) 영역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나타낼 것인가? 5.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눈과 손, 눈과 발의 협응력(eye-hand, eye-foot coordination) 영역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나타낼 것인가? 6.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소근육조절능력 (fine muscle control) 영역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나타낼 것인가? 7.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리듬과 근신경조절능력 (rhythm과 neuromuscular control) 영역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나타낼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 아파트지역에 위치한 D유치원, Y유치원 원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씩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Braley, W. T의 The sensory motor skills program중 지각-운동능력경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의 프로그램은 Jack, Capon의 지각-운동발달 (perceptual -motor development) 중 공놀이활동(ball activity)을 재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집단과의 차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지각-운동능력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5) 2.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신체상 영역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5) 3.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공간과 방향 영역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균형과 측면감 영역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5) 5.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눈과 손, 눈과 발의 협응력 영역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소근육조절 영역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5) 7. 실험집단은 통계집단과 비교하여, 리듬과 근신경조절 영역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for the ball activities's effect in the kindergartn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ollowing problems are included: 1. Will the experimental group show higher grade than a controlled group in the aspect of perceptual-motor ability? 2. Will the experimental group show higher grade than a controlled group in the aspect of body-image? 3. Will the experimental group show higher grade than a controlled group in the aspect of space and direction? 4. Will the experimental group show higher grade than a controlled group in the aspect of balance and laterality? 5. Will the experimental group show higher grade than a controlled group in the aspect of eye-hand, eye-foot coordination? 6. Will the experimental group show higher grade than a controlled group in aspect of fine muscle control? 7. Will the experimental group show higher grade than a controlled group in the aspcet of rhythm and neuromuscular contr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children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led group have each 20 children) who attended the kindergarten where are located in Kangnam, Yoido area in Seoul. The tool was perceptual-motor ability test in the sensory-motor program done by Braley, W. T. Perceptual-motor programs used to restructure the ball activity in the perceptual-motor development done by Jack, Capon. For the present study, the data were processed with the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perceptual-motor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differed from the controlled group by an acceptable degree of 5%. 2. In the body-image, the experimental group differed from the controlled group by an acceptable degree of 5%. 3. In the space and direction, the experimental group differed from the controlled group by an unacceptable degree of less than 5%. 4. In the balance and laterality, the experimental group differed from the controlled group by an acceptable degree of 5% 5. In the eye-hand, eye-foot coordination, the experimental group differed from the controlled group by an unacceptable degree of less than 5%. 6. In the fine muscle control, the experimental group differed from the controlled group by an acceptable degree of 5%. 7. In the rhythm and neuromuscular control, the experimental group differed from the controlled group by an unacceptable degree of less than 5%.-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지각 - 운동의 제 이론 = 4 B. 지각 -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 11 Ⅲ. 연구방법 = 18 A. 연구대상 = 18 B. 측정도구 = 18 C. 연구절차 = 21 D. 자료처리 = 23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5 Ⅴ. 요약 및 결론 = 30 참고문헌 = 33 부록 = 37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80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공놀이-
dc.subject유아-
dc.subject지각-
dc.subject운동능력-
dc.title공놀이 활동이 유아의 지각·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the Ball Activities for Kindergartner-
dc.format.page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