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7 Download: 0

授業裝學의 問題 및 그 改善에 關한 一硏究

Title
授業裝學의 問題 및 그 改善에 關한 一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A STATUS AND ITS IMPROVEMENT OF CURRENT INSTRUCTIONAL SUPERVISION OF KYEONGGI SECONDARY EDUCATION
Authors
金節子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Keywords
수업장학문제개선경기도중등교육교육행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NEED FOR THE STUDY Many overlapping approaches have been voiced to the concept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ts realization into practice, but it is often difficult to conceptualize instructional supervision in its entirety on account of its comprehensiveness. Thus,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meaning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analyzing a status of kyeonggi instructional supervision operated in secondary school setting, and indentifying the necessary solutions.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was to bring into focus the following: 1. The establishment of a concept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2. Analyses of a status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3. Its improvement of current instructional supervision. METHODOLOGY The method employed for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cording units through extensive survey and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s and researches. FINDING OF THE STUDY Major finding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nalyses of a status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a) Schools are more bureaucratically oriented than professionally oriented owing to solid administrative climate b) Individualization of instructional proces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ontent and student's ability level is neglected. c) A variety of situations in instructional supervision is not accounted. d) Teachers and supervisors don't have enough professional competence and an atmosphere for them to devote themselves in improv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should be created. CONCLUS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1. The system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should be open and reorganized. 2. The curriculum for a variety of situations and its various sub-programs such as curriculum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and reformed continuously. 3. The instructional supervision should be approached with a variety of situations. 4. All those supervisors, administrators and teachers should be autonomously take part in intensive in-service training activities through lifelong and lifewide learning.;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장학의 의미와 본질을 분석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그 개념이 시사하는 바에 따라 수업장학관을 정립한 뒤에 수업현장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그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연구 목적과 관련된 국내외의 연구논문을 수집 분석하고 그 문헌 속에 나타난 여러 견해와 쟁점을 분류 통합하는 문헌적 접근방법을 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문제는 ① 수업장학의 본질을 어떻게 분석하며 그 개념을 어떻게 정립할 것인가? ② 수업장학의 문제는 무엇이며 ③그 수업장학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있다. 따라서 제2장에서는 수업장학의 개념, 수업장학의 체제, 수업장학의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고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 수업장학의 실태를 경기도 교육현장의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제 2장에서 논의된 수업장학의 이론과 현장의 수업장학 실태를 대조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① 수업장학의 체제면에서 관리기능이 장학기능을 압도하고 있다. ② 학교현장에서는 학습의 과정보다도 학습의 결과를 중시하고 있다. ③ 수업장학을 위한 접근 방법이 획일화 되어 있다. ④ 장학담당자의 자질이 부족하고 전문성 제고를 위한 여건이 조성되어 있지 못하다. 제 4장에서는 제3장에서 얻어진 수업장학의 문제점의 개선방향을 탐색하였다. 이 개선방향의 모색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장학의 체제면에서 수업장학 조직이 개방되어야 한다로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면 ① 수업장학 조직의 개편 ② 장학업무의 간소화 ③ 재정적 지원의 강화 이다. 둘째, 수업장학의 목표면에서 부단한 교육과정 개발이 뒤따라야 한다로 ① 시대성과 지역성에 맞는 부단한 교육과정 개발 ② 교육과정 개발에 부수되는 하위 프로그램 개발을 제시했다. 세째, 수업장학의 방법 면에서 획일화를 지양해야 한다는 것으로 그 방법면에서 ① 외부장학 ② 학교간 협동장학 ③ 교내 장학 ④ 자기장학의 선택적 접근 및 병행을 들고 있다. 네째, 수업장학의 경우 장학담당자의 자질면에서 교실 중심의 수평적 장학을 위한 전문성이 제고되어야 한다 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① 직전 교육과정의 정비 ② 현직연수를 통한 수업장학 요원의 육성 ③ 부단한 자기 연수 등을 들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