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88 Download: 0

일부 원인별로 본 간호진단의 활용정도와 간호수행정도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일부 원인별로 본 간호진단의 활용정도와 간호수행정도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PPLICATION LEVEL OF NURSING DIAGNOSIS AND NURSING IMPLEMENTATION LEVEL WITH ETIOLOGY
Authors
황혜연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간호진단간호수행간호교육NURSING DIAGNOSI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간호진단은 과학적 원리에 기초를 둔 간호활동에 대한 환자의 요구를 나타내주는 결론의 진술이며, 간호진단의 적용은 간호업무의 과학화를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부 원인별로 본 간호진단의 활용정도와 간호수행정도를 파악하여 간호진단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의 2개 대학부속병원과 영동지역의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10명 이었다. 연구도구는 NANDA(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이하 NANDA라 칭한다)가 발표한 72개의 간호진단 중 연구자가 관심있는 5개 진단을 중심으로 문헌을 참고로 설문지를 만들었으며, 신뢰도검사에서는 비효율적 기도청결 α=.8683, 영양결핍 α=.8425, 배뇨장애 α=.8047, 배변장애:변비 α=.8449, 배변장애:설사 α=.8447이었다. 자료수집은 설무지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수집기간은 1988년 3월 30일 부터 4월 21일까지 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원인별로 본 간호진단의 활용정도 "비효율적 기도청결" 중에서 가장 활용을 많이 하는 간호진단은 "기도내 분비물 과도로 인한 비효율적 기도청결" (M=2.318, SD=0.703), "통증으로 인한 비효율적 기도청결" (M=2.000, SD=0.606), "기도폐색으로 인한 비효율적 기도청결" (M=1.809, SD=0.552)의 순으로 나타났고, 가장 활용을 적게 하는 간호진단은 "흡연으로 인한 비효율적 기도청결" (M=1.335, SD=0.875)로 나타났다 "영양결핍"중에서 가장 활용을 많이 하는 간호진단은 "구토로 인한 영양결핍" (M=2.127, SD=0.637), "오심으로 인한 영양결핍" (M=2.100, SD=0.590), "설사로 인한 영양결핍" (M=2.064, SD=0.694), "식욕부진으로 인한 영양결핍" (M=2.045, SD=0.596)의 순으로 나타났고, 가장 활용을 적게 하는 간호진단은 "영양에 대한 지식결여로 인한 영양결핍" (M=1.300, SD=0.567)으로 나타났다. "배뇨장애"중에서 가장 활용을 많이 하는 간호진단은 "배뇨자세의 변화로 인한 배뇨장애" (M=2.136, SD=0.613)였고, 가장 활용을 적게 하는 간호진단은 "변매복으로 인한 배뇨장애" (M=1.464, SD=0.631)로 나타났다. "배변장애:변비"중에서 가장 활용을 많이 하는 간호진단은 "부동상태 및 운동부족으로 인한 변비" (M=2.300, SD=0.614), "부적당한 음식섭취로 인한 변비" (M=2.082, SD=0.744), "수술로 인한 변비" (M=2.045, SD=0.722)의 순으로 나타났고, 가장 활용을 적게 하는 간호진단은 "진정제나 마약복용, 혹은 약의 부작용으로 인한 변비" (M=1.391, SD=0.560)로 나타났다. "배변장애:설사"중에서 가장 활용을 많이 하는 간호진단은 "자극성 음식으로 인한 설사" (M=1.991, SD=0.628)였고, 가장 활용을 적게 하는 간호진단은 "스트레스와 불안으로 인한 설사" (M=1.727 SD=0.689)로 나타났다. 2. 원인별로 본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수행정도 "비효율적 기도청결"시 가장 두드러진 간호수행은 "활력징후를 측정한다"로 나타났으며, "의사에게 보고한다"는 간호수행도 두드러졌다. "영양결핍"시 가장 두드러진 간호수행은 "처방된 비경구적 수분 투여를 유지한다"로 나타났으며, "수분섭취와 배설량을 조사한다"와 "환자가 먹지 않는 이유에 대해 환자와 상의한다"는 간호수행도 높게 나타났다. "배뇨장애"시 가장 높게 나타난 간호수행은 "배뇨기능 문제로 인한 환자의 염려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였으며, "시간을 정해 놓고 앉혀서 방광훈련을 시킨다"도 높게 나타났다. "배변장애 : 변비"시 가장 높게 나타난 간호수행은 "처방된 하제를 주거나 관장을 실시한다"와 "환자에게 변비, 식이, 운동, 수분섭취에 대해 교육시킨다"로 나타났다. "배변장애 : 설사"시 가장 두드러진 간호수행은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로 나타났으며, "섭취량과 배설량의 균형을 유지한다"도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비효율적 기도청결"에서는 "기도내 분비물 과도로 인한 비효율적 기도청결"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영양결핍"에서는 "구토로 인한 영양결핍"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배뇨장애"에서는 "배뇨자세의 변화로 인한 배뇨장애"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배변장애 : 변비"에서는 "부동상태 및 운동부족으로 인한 변비"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배변장애 : 설사"에서는 "자극성음식으로 인한 설사"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간호수행에 있어서는 "비효율적 기도청결", "배변장애 : 설사"시는 진단적 간호수행을 주도 하였고, "영양결핍"시는 진단적, 치료적 간호수행을 주로 하였고, "배뇨장애", "배변장애 : 변비"시는 진단적, 교육적 간호수행을 주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application level of nursing diagnosis & nursing implementation level with etiology. The subject for this study were 110 nurses who had been engaged in two university hospitals in the province of Seoul & five general hospitals in the province of Youngdong.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aire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30 to April 21, 1988. NANDA's nursing diagnoses were used to measure the application level of nursing diagnosis. All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pplication level of nursing diagnoses with etiology. 1) The greatest number of application of nursing diagnosis in "airway clearance ineffective" was "airway clearance ineffective related to excessive tracheobronchial secretion" (M=2.318, SD=0.703). The lowest number of application was "airway clearance ineffective related to smocking" (M=l.355, SD=0.875). 2) The greatest number of application of nursing diagnosis in "Alteration in nutrition: Less than body requirements" was "nutritional deficit related to vomiting" (M=2.127, SD=0.637). The lowest number of application was "nutritional deficit related to lack of knowledge about nutrition" (M=1.300, SD=0.567). 3) The greatest number of application of nursing diagnosis in "Alteration in pattern of urinary elimination" was "urinary disorder related to changes of urinary position" (M=2.136, SD=0.613). The lowest number of application was "urinary disorder related to fecal impaction" (M=1.464, SD=0.631). 4) The greatest number of application of nursing diagnosis in "Alteration in bowel elimination: constipation" was "constipation related to immobility & inadequate physical activitity" (M=2.300, SD=0.614). The lowest number of application was "constipation related to chronic use of sedatives or narcotics or side effects of medication" (M=l.391, SD=0.560). 5) The greatest number of application of nursing diagnosis in "Alteration in bowel elimination: diarrhea" was "diarrhea related to spicy food" (M=l.991, SD=0.628). The lowest number of application was "diarrhea related to stress and anxiety" (M=1.727, SD=0.689). 2, Nursing Implementation level according to nursing diagnosis with etiology. 1) The highest item in "airway clearance ineffective" was "vital sign check". The next highest item was "reported to doctor". 2) The highest item in "alteration in nutrition: less than body requirment" was "prescribed IV therapy was done. The next highest item were "I/O check" & "discussed about reason of inability to ingest with patient". 3) The highest item in "Alteration in pattern of urinary elimination" was "encourage to express of patient's feeling about urinary disorder". The next highest item was "conduct the patient to the commode or toilet for the bladder training at regular interval". 4) The highest item in "Alteration in bowel elimination: constipation" were "prescribed laxatives or enema was done" & "educate patient about constipation, diet, exercise & fluid intake". 5) The highest item in "Alteration in bowel elimination diarrhea" was "prescribed medication was done". The next highest item was "maintenance of I/O bal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