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社會的 不安感과 依服行動과의 관계

Title
社會的 不安感과 依服行動과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CURITY : INSECURITY AND CLOTHING BEHAVIOR OF GIRL'S HIGH SCHOOL IN SUNG NAM DISTRICT
Authors
이정현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사회적 불안감의복행동여고생성남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여고생의 의복행동을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의복을 통해 그들의 심리상태를 파악하고, 여고생들의 의복행동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사회적 적응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 의복행동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불안감과 의복행동 변인들과의 관계를 파악한다. 2. 학교구성 및 사회계층과 의복행동 변인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의복행동 변인들간의 관계를 비교분석한다. 3. 의복행동 변인에 대한 사회적 불안감, 학교구성, 사회계층의 독립적인 영향을 규명한다. 측정도구로 사회적 불안감 조사는 Lapitsky (1961)가 작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의복행동 조사는 Creekmore(1971)의 문항 및 국내 선행 연구에서 사용될 문항을 본 연구 대상자에게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가 인정된 문항을 사용하였다. 표집대상은 城南市內 17개교 고등학교중 학교의 특성과 지역성을 고려하여 인문계 여고, 상업계 야간여고, 상업계 남여공학, 상업계여고, 인문계 남녀공학 각1개교씩 선정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총 6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 평균,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일원분산분석, Duncan's Mutiple range test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불안감과 의복행동 변인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즉 사회적 불안감이 높을수록 정숙성과 사회적 인정성을 중요시하며, 사회적 안정감이 높을수록 의복만족도를 중요시 한다. 2. 의복행동 변인은 학교구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 심미성변인은 상업계 남녀공학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숙성 변인은 상업계 여고가 가장 높고 또한 의복만족도변인은 인문계 여고가 가장 높은 관심을 보였다. 3. 의복행동 변인은 사회계층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 상류계층에 속하는 집단일수록 심미성, 의복만족도가 높으며 하류계층에 속하는 집단일수록 의복만족도가 낮다. 4. 女高生들은 정숙성 변인이 높으며 의복의 선택, 착용시에 심미성 심리적 의존성, 사회적 인정성, 의복만족도의 순서로 중요도를 나타냈다. 5. 의복행동 변인 상호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즉, 심리적 의존성, 사회적 인정성을 중요시 할수록 심미성이 높으며 정숙성과 사회적 인정성을 중요시하는 집단은 심리적 의존성도 중요시하고 사회적 인정성, 의복만족도를 중요시할수록 정숙성도 중요시 한다. 6. 심미성은 사회계층과 학교구성에 따라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계층이 높을수록 심미성 변인 점수가 높았고, 상업계 고등학교가 인문계 고등학교보다 높았다. 7. 정숙성은 사회적 불안감, 학교구성에 따라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즉 사회적 불안감이 높을수록 정숙성이 높았고, 학교구성과도 관계를 보여 상업계 여고의 학생이 인문계 여고 학생보다 정숙성이 높았다. 8. 의복만족도는 사회적 불안감, 사회계층, 학교구성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즉 사회적 불안감이 낮을수록 또한 계층이 높을수록 인문계여고의 학생이 의복만족도가 높았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Aesthetic, psychological dependence Modesty, social Approval, clothing Satisfaction and Social Security-Insecurity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of clothing Behaviors by the type of school and socioeconomic status. The following nullhypotheses were established for this study. 1. There will b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curity-Insecurity and Subscales of the clothing Behaviors. 2. There will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scales of the clothing Behaviors according to type of school. 3. There will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scales of the clothing Behaviors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4. There will b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subscales of the clothing Behaviors. Clothing satisfaction was measured by Rim's Questionnaire (1974)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is study. For the Measurement of Aesthetic and psychological dependence and Modesty and social approval, the adapted for this study. The measurement for the social security-insecurity was adapted fromLapitsky's (1961) social security Inventory. Data were collected from 610 selected Girl's High School dwelling in Sung Nam.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distributio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ega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curity-Insecurity and clothing satisfaction, while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social security-insecurity and Modesty, and between social security-insecurity and Social Approval. 2. There was part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othing Behavior according to school constitution. And type of school directly affected Aesthetic and Modesty and clothing satisfaction. 3. There was part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othing Behaviors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And socioeconomic status directly affected Aesthetic and clothing satisfaction. 4.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Aestheti , paychological dependence, Modesty, Social Approval, clothing satisfaction.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Aesthetic and psychological dependence, Modesty, social approval and between psychological dependence and Modesty, Social Approval and between Modesty and Social Approval, clothing satisf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