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숙-
dc.contributor.author김미정-
dc.creator김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7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1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5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178-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aimed to understand developmental tendency according to sex in field independent - dependent cognitive styles and creativity, and thu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independent - dependent cognitive styles and creativity among 5- and 6-year-old children.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to be inspected in this study (Hypothesis 1) There will b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and creativity, (Hypothesis 2) The score on creativity will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ognitive style groups. Namely, the score on creativity of field independent children will be higher than field dependent ones. (Hypothesis 3) There will be no sex difference in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Hypothesis 4) There will be no sex difference in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4 children enrolled in 'S' preschool in Seoul. The Preschool Embedded Figures Test(PEFT) was administered to assess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to 124 children. Then 60 children classified as field independent-dependent group were tested by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Figural Form A. In analysis of dat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 one-way ANOVA, t-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cluded as follows: 1.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creativity. (r=.53, P<.01) 2. The score on creativ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ognitive style groups . Field independence group was more creative than field dependence one. (F=22.20,P<.01) As for relation between lower elements of creativity, field independent group was superior to field dependent one significantly in fluenc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except abstractness of titles. (P<.01) 3. Sex difference on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was not significant. 4. Sex difference on creativity was significant. (P<.05). That is females were more creative than males.;본 연구는 5·6세 유아를 대상으로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과 창의성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과 창의성의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1] 유아의 장독립성- 의존성과 창의성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2] 창의성 점수는 인지앙식 집단간에 의의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즉, 장독립적인 유아가 장의존전인 유아보다 창의성 점수 가 더 높을 것이다. [가설 3] 유아의 장독립성-의존성은 성에 따라 창이가 없을 것이다. [가설 4] 유아의 창의성은 성에 따라 차이가 없을 것이다. 본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S유치원에 다니는 남녀 유아 124명이다. 전체 연구대상 유아에게 유아용 인지양식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장독립성-의존성 집단으로 분류된 남녀 유아 60명에게 Torrance 창의적 사고력 검사의 도형검사 A형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수집된 자료로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해서 인지양식 검사점수와 창의성 점수간의 적률상관계수 r을 산출하였으며,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일원변량분석을 하였다. 가설3 을 검증하기 위해서 인지양식 경사 점수의 평균을 내어 t검증하였고, 가설 4에서는 창의성 원점수의 평균을 내어 t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과 창의성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r= .53, P< .01 ) 2. 인지양식 집단에 따라 창의성 점수는 의의있는 차이가 있었다. 장독립 집단이 장의존 집단보다 더 창의적이였다.(F = 22.20, P< .01) 창의성 각 하위요인과의 관계에서도 제목의 추상성을 제외한 유창성·독창성·정교성 요인에서 의의있게 우세했다.(P< .01) 3. 유아의 장독립성-의존성은 성에 따라 의의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유아의 창의성은 성에 따라 의의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P< .05) 즉, 여아가 남아보다 더 창의적이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인지양식 및 장독립성-의존성 = 5 B. 창의성 = 12 C.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과 창의성간의 관계 = 19 D. 연구의 가설 = 22 Ⅲ.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측정도구 = 24 C. 절차 = 27 D. 자료분석 = 30 Ⅳ. 결과 및 해석 = 31 Ⅴ. 논의 및 결론 = 38 A. 논의 = 38 B. 결론 = 40 참고문헌 = 41 부록 = 47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914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인지양식-
dc.subject창의성-
dc.subject장독립성-
dc.subject장의존성-
dc.title5, 6세 유아의 인지양식과 창의성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장독립성, 의존성 차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styles and creativity among 5-and 6-year-old children : based on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dc.format.page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