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응연-
dc.contributor.author오소자-
dc.creator오소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9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4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5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459-
dc.description.abstract本 硏究의 目的은 학습우수아와 학습과진아 및 학습지진아의 심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요인을 밝히고 그에 따른 효율적인 學習方法의 발견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각 집단간의 학습습관과 학습 흥미면의 차이, 인성 특성 및 가정환경 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학업성취와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대상 학생은 서울특별시내의 사립여자중학교 1個校의 1 , 2학년 學生중 知能指數와 학업성적과의 상관에 의하여 학습우수아 집단 69명과 학습과진아 집단 16명, 학습지진아 집단68명이 선정되었으며 이들에게 학습습관 검사와 학습흥미 검사, 인성검사 및 가정환경진단 검사를 실시하여 t 檢證에 의한 각 집단간의 차의 意義度를 살펴 보았다. 검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습관면에서는 학습우수아 집단이 학습지진아 집단에 비하여 동기, 기술, 여다 요인, 총점등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고 과진아 집단도 학습지진아 집단에 비해 동기요인과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 학습흥미영역중 학습우수아 집단은 어문학, 사회, 수학, 생물, 물상, 미술, 음악, 실과 영역에서 학습지진아 집단에 비해 각각 높은 흥미를 나타내고, 학습과진아 집단에 비해서는 어문학 영역에서 높은 흥미를 나타내고 기타 영역에서는 각 집단간의 유의한 차를 볼수 없었다. 즉 학습우수아 집단은 知的 思考力을 요구하는 領域에서 높은 흥미를 보였고 타집단에서는 별로 흥미를 보이지 않았다. 3. 인성 特性에 있어서 학습우수아 집단이 타집단에 비해 안정성, 사회성, 支配性, 자율성. 성취성 및 신경증적 경향, 정신병적 경향, 반사회적 경향이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고, 활동성과 사려성, 남향성은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4 . 가정환경요인 中 학습우수아 집단은 사회상승과 성취요인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학습지진아 집단과 유의한 차를 보였으며, 학습우수아 집단은 상호태도, 疑結力, 개방, 친애, 自律 요인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학습지진아 집단은 역할기대와 물질지향, 전통에서 학습우수아 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학습과진아 집단은 학습우수아 집단에 비해 역할기대요인에서, 학습지진아 집단에 비해서는 사회상승과 성취 요인에서 높은 點數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학습습관, 학습흥미, 인성 및 가정환경과 학업성취와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높은 학업성취를 이루기 위해서는 학업성취와 相關이 높은 바람직한 인성 形成과 개인의 학습흥미에 적합한 效率的인 指導方安의 마련, 그리고 교육적인 환경조성과 교수방법의 開發 실시로 능률적인 학습습관을 가지게 하며 좋은 가정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이 絶對的안 요소임을 알 수 있다.;This study aims at preparing materials which suggest effective teaching methods by compar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student, over achiever and slow learner. Comparisons of learning habit, academic interest, personality traits, home environment between the three groups are made. Subjects were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attending junior middle girl school. According to the I.Q. and academic achievement 68 children were selected for excellent students among the 657 children. Also, 16 children for over achievers and 69 children for slow learners were chosen among the 657 children.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Standardized Learning Habit Test, Academic Interest Test, Personality Test and Home Environment Test. Collected materials were compared by t-Test between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ll elements of learning habit show differences between excellent and slow learners. Also, motivation and total score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over achievers and slow learners. 2. Compared with slow learners, excellent students show higher degree of interest in the field of cognitive thinking such as literary, social, mathematic and scientific interest. Also, only literary interest differs significantly between over achievers and excellent students. 3. Emotional stability, dominance,, sociability and autonomy among personality traits elements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excellent student and the other groups. For general activity, reflectiveness and masculinity, no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4. All elements of family background except a traditional and material eleme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cellent student and slow learners. Excellent students show higher scores than the other groups in the degree of coherence, mutual attitude, amiability, achievement, autonomy, openness and social rise. Slow learners show higher scores than excellent students in role expectancy and material direction. Over achievers show higher scores than excellent students in role expectancy. Also, over achievers show higher scores than slow learners in social rise and achievement. From the result mentioned above, it can be found that learning habit, academic interest, personality and family background are closely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ls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evelopment of desirable personality,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cademic interest, the good family background and the efficient learning habit supported by both the form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are absolute elements in 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ⅴ Ⅰ. 緖論 = 1 A. 硏究의 必要性 = 1 B. 硏究의 目的 = 3 C. 硏究의 問題 = 3 Ⅱ. 理論的 背景 = 4 A. 學習 優秀兒 過進兒 및 遲進兒의 槪念 = 4 B. 學習 優秀兒 過進兒 및 遲進兒의 諸 特性 = 8 C. 先行硏究의 槪觀 = 12 Ⅲ. 硏究 對象 方法 및 節次 = 18 A. 硏究 對象 = 18 B. 測定 道具 = 20 C. 資料 處理의 節次 및 方法 = 21 Ⅳ. 結果 및 解釋 = 23 A. 對象集團의 學習習慣要因 比較 = 23 B. 對象集團의 學習興味領域 比較 = 24 C. 對象集團의 人性特性 比較 = 26 D. 對象集團의 家庭環境要因 比較 = 31 Ⅴ. 論議 및 結論 = 37 A. 要約 및 論議 = 37 B. 結論 = 41 C. 提言 = 42 참고문헌 = 44 ABSTRACT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969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학습 우수아-
dc.subject과진아-
dc.subject지진아-
dc.subject심리적 특성-
dc.title學習 優秀兒, 過進兒 및 遲進兒의 心理的 特性에 關한 比較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ISON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EXCELLENT STUDENT, OVER ACHIEVER AND SLOW LEARNER-
dc.format.page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